[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 3VQrYwymo4c
[ET48-1-1]1994. [홍익대학교 2007-1]
Laura (A)[had] seen her father and her uncle (B)[died] (C)[of] organ failure in (D)[their] mid 40s.
[ET48-1-1]1994. [see 목적어 원형 부정사]
정답 - B : [died] → [die] : see(지각 동사) 목적어 원형 부정사
C : 직접적인 원인으로 'of'를 사용하고 있다.
[해석] 로라는 아버지와 삼촌이 40대 중반에 신체 기관의 기능부전으로 죽는 모습을 본 적이 있었다.
[핵심 문법] 5(-6) 형식 Ⅰ
(1) 지각 동사 + 목적어 + 원형 부정사
'see'와 'hear'로 대표되는 지각 동사는 목적어 다음에 원형 부정사를 써야 한다.
① see, look at, watch, observe, notice, perceive, cf. discern
I saw him cross / *to cross the street. "나는 그가 길을 건너는 것을 보았다."
'to 부정사'의 'to'는 전치사는 아니지만 전치사 출신으로 'A to B'는 'A에서 B로 향한다'라는 뜻으로 A와 B는 전후 관계를 나타낸다. 여기서 보는 사건과 길을 건너는 사건은 동시 사건으로 전후 관계가 없으므로 'to'를 사용하지 않는다.
cf. I saw them to be noxious. "나는 그들이 역겨운 사람들임을 알았다."
외양이나 하는 짓거리를 보고서 추론 과정을 거쳐 '역겨운 사람임'을 안 것이므로 전후 관계가 발생하므로 'to 부정사'를 쓴 것이 맞다.
I saw them be noxious. (동시 사건) "나는 그들이 역겹게 구는 것을 보았다."
cf. I saw him to be impolite. (전후 관계) "그가 무례한 사람임을 알았다."
I saw him be impolite. (동시 사건) "그가 무례하게 구는 것을 보았다."
cf. I saw her to be / *be sick. "나는 그녀가 아프다는 것을 알았다."
'be sick'는 '아프게 굴다'라는 뜻이 될 수 없으므로 동시 사건일 수 없다. 안색이나 힘들어하는 것을 보고서 추론 과정을 거친 후에 안 것이므로 'to 부정사'를 쓰는 것이 맞다.
cf. Seeing flight to be / *be impossible, he surrendered. “탈출이 불가능함을 깨닫고 투항했다.”
I can't see many people suffer. "많은 사람들이 고통받는 것을 묵과할 수 없다."
고통을 보면서 가만히 있는 것은 동시 사건이므로 '원형 부정사'를 사용한다.
They looked at him swim. (의도적인 관찰) "그들은 그가 수영하는 것을 바라보았다."
I watched him play. (움직임을 따라가는 관찰) "나는 그가 플레이하는 것을 관찰했다."
*I watched them to be obnoxious.
'see'와 달리 'watch'는 지각의 의미로만 쓰여서 추론 과정이 개입될 수 없다.
I watched *that they were obnoxious.
'see'와 달리 'watch'는 'that 절'을 목적어로 취하지 못한다.
I saw her *have entered the room.
지각 동사 'see'는 동시 사건을 나타내므로 결과 등을 나타내는 완료가 따를 수가 없다.
cf. I saw the library to have burned down. "나는 그 도서관이 불에 타 무너졌음을 알았다."
화자가 본 것은 화재 사건이 아니고 폐허가 된 도서관일 것이다. 여러 가지 흔적으로 보어 추론 관정을 거쳐 안 것이므로 전후 관계를 나타내는 부정사를 사용하는 것이 맞다.
He observed the thief open the lock of the door. "그는 도둑이 문 자물쇠를 여는 것을 보았다."
They noticed me come in. "그들은 내가 들어가는 것을 알아차렸다."
cf. I noticed him to have a peculiar habit. "나는 그에게 이상한 버릇이 있는 것을 알게 되었다."
= I noticed that he has a peculiar habit.
버릇은 하나의 행위가 아니라 반복적 행위를 통해 알게 되는 것이므로 부정사를 사용한다.
You will perceive the fish rise out of the water. "물고기가 수면으로 뛰어오르는 것을 보게될 거다."
'perceive'는 'see'나 'notice'로 바꿔 써도 되는 약간 딱딱한 표현이다.
cf. On entering his house, she at once perceived him (to be) a methodical person.
"그의 집에 들어가자 마자 그녀는 즉시 그가 꼼꼼한 사람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perceive'는 지각 동사로보다는 'think'와 같은 개념 동사로 훨씬 많이 쓰인다.
cf. We discerned it to be a man. "우리는 그것이 한 남자임을 구별해냈다."
'discern'은 조심스럽게 정밀하게 여러 가지를 자세히 본 후에 구별하는 것이기 때문에 '지각 동사 + 목적어 + 원형 부정사'로는 쓰이지 않는다.
② hear, listen to, overhear, feel
I heard him *to laugh / laugh.
듣는 사건과 웃는 사건은 동시 사건이므로 원형 부정사가 따르는 것이 맞다.
I've heard ( ) say that he is a genius. "그가 천재라고 말하는 것을 들은 적이 있다."
I've heard ( ) tell of stranger sights than that. "그보다 더 이상한 광경에 대해 말하는 것을 들은 적이 있다."
'say'나 'tell'이 따를 때 목적어가 생략되는 경우가 있다.
I listened to her sing. "나는 그녀가 노래하는 것을 들었다."
I overheard them talk about me. "나에 대해 그들이 말하는 것을 엿들었다."
I felt something creep on the back. "나는 등에 무언가 기고 있는 것을 느꼈다."
느끼는 것과 기는 것은 동시 사건이므로 원형 부정사가 따른다.
He felt his hair stand on end. (동시 사건) "그는 머리칼이 곧추 서는 느낌이었다."
cf. I felt this to be necessary. (전후 관계) "나는 이것이 필요한 것이라 생각했습니다."
지각 동사가 아니고 'think'와 비슷한 뜻이다.
③ find
'find'는 지각 동사가 아니지만 원형 부정사가 따를 때가 있다.
They found the business pay. "그 장사가 수지가 맞음을 알았다."
I found this place agree with me better than Naples. "이곳이 나폴리보다 내게 알맞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I found my attention wander. "나는 주의가 산만해지는 것을 알았다."
She found the interest of the subject increase. "그녀는 주제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 것을 알았다."
You will find the lock go the better for a little oil.
"약간의 기름칠을 하면 자물쇠가 더 잘 작동하는 것을 알게 될 거다."
자신의 개인적인 체험으로 상당히 즉시적으로 알게 될 때 사용하는데 상당히 낡은 표현으로 오늘날에는 별로 사용하지 않는다.
cf. I found the box to contain nothing. "그 상자에 아무것도 들어있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박스를 열어 보거나 스캐닝을 해 본 후에(전후 관계) 알았다는 뜻이므로 부정사를 사용한다.
cf. I found it to be nine inches long. "그게 길이가 9 인치임을 알았다."
재본 후에(전후 관계) 알았다는 뜻이므로 부정사를 사용한다.
④ have known 목적어 (to) V
I've not known anything like this happen. "이와 같은 일이 일어나는 것을 겪어 본 적이 없다."
I never knew anyone do so much in so short a time.
"누군가가 그렇게 짧은 시간에 그렇게 많은 일을 하는 것을 격어본 적이 없었다."
We have never known him speak in public. "그가 남들 앞에서 말하는 것을 본 적이 없다."
We have never known him to speak in public. (Am E)
'know'(본 적이 있다, 알고 있다)가 완료 시제나 과거 시제로 쓰일 때 원형을 쓰는 것은 영국식 표현이고 미국식은 'to 부정사'를 사용한다.
I have known him to get up at three o'clock in the morning.
"나는 그가 새벽 3시에 일어난다는 것을 알고 있다."
사건이 아니고 습관인 경우에는 공히 'to 부정사'를 사용한다.
'편입 문법 3000 Plu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391회] (0) | 2021.04.04 |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390회] (0) | 2021.04.02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388회] (0) | 2021.04.02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387회] (0) | 2021.04.02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386회] (0) | 2021.04.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