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법2021. 5. 11. 07:44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 dl-hz3nIlsk

#1.   The trial was called the VAMP regimen. Some of the clinical associates—the junior doctors assisting on the ward—refused to take part. They thought Freireich was insane. "I had to do it all myself," Freireich said. "I had to order the drugs. I had to mix them. I had to inject them. I had to do the blood counts. I had to measure the bleeding. I had to do the bone marrows. I had to count the slides." There were thirteen children in the initial round of the trial. The first was a young girl. Freireich started her off with a dose that turned out to be too high, and she almost died. He sat with her for hours. He kept her going with antibiotics and respirators. She pulled through, only to die later when her cancer returned. But Frei and Freireich were learning. They tinkered with the protocol and moved on to patient number two. Her name was Janice. She recovered, as (A)[   ] the next child and the next child. It was a start.

 

#2.   "It's going to be all right, Joe. I promise you."

    "Who are you?"

    The sunlight was now surrounding her as (B)[    ] the darkness before, revealing the Bugs Bunny T-shirt she was wearing.

    "Why, Joe." Her luminous smile lit her face and reached out to touch him, embrace him, enfold him in love. "I'm Bonnie."

 

#1.  빈칸 (A)에 들어갈 단어는?

#2.  빈칸 (B)에 들어갈 단어는?

 

[#1. 해석]   "실험은 VAMP 치료법이라고 불렸다. 클리닉의 일부 동료들, 병동에서 돕는 신참 의사들도 참여하기를 거부했다. 그들은 프라이레이크 박사가 미쳤다고 생각했다. "모든 것을 저 혼자 했어야만 했어요."라고 프라이레이크 박사는 말했다. "약도 제가 주문하고요. 제가 섞어야만 했어요. 주사도 직접 놓고요. 혈구 산정도 제가 해야 했고요. 출혈 측정도 제가 했고요. 골수 측정도 제가 했어야 해요. 슬라이드 카운트도 제가 했어요." 실험의 첫 단계에는 13 명의 아이들이 있었어요. 첫 시도는 어린 여자애였어요. 프라이레이크 박사는 너무 높은 분량의 약으로 시작했고 겐 거의 죽을뻔했어요. 그는 몇 시간을 게와 함께 앉아 있었어요. 항생제와 호흡기로 겔 지탱시켰죠. 겐 이겨냈지만 암이 재발했을 땐 사망하고 말았죠. 하지만 프레이 박사와 프레이라이크 박사는 배우고 있었죠. 그들은 어설프게 프로토콜을 고쳐가면서 환자 2번으로 나아갔죠. 그녀의 이름은 제니스였어요. 그녀는 회복했죠. 다음 환자와 다음 환자가 그랬듯이요. 그게 시작이었죠.

[#2. 해석]   "조, 그건 괜찮을 거예요. 약속드릴게요."

     "넌 누구니?"

     햇빛이 이제 그 애를 둘러싸고 있었다. 전에 어둠이 겔 둘러싸고 있었듯이. 그래서 게가 입고 있었던 벅스 바니 티셔츠를 드러내 보였다.

     "조 아저씨, 왜요?" 게의 빛나는 미소가 얼굴을 환하게 빛내고 다가와 그를 만지고 껴안고 사랑스럽게 껴안고자 했다. "전 보니에요." 

[정답]   1. (A) : did      2. (B) : had

 

[어휘 또는 표현]

regimen [rédʒəmən] : [의학] 섭생, 요양법; 꾸준하고 엄한 훈련

start someone off with ~ : 누구를 ~로 시작하다

I'll start him off with easy reading that moves up from there. 

겐 쉬운 읽기로 시작해서 발전해 나가는 식으로 할 겁니다."

['as 양태 도치형' 'did'와 'had']

She recovered, as (A)[did] the next child and the next child. 

'as the next child and the next child did'

'~듯이'를 나타내는 'as'를 '양태의 as'라고 하는데 'as 주어 대조동사'의 순서를 'as 대조동사 주어'의 순서로 사용하는 것을 양태 도치형이라고 한다. 대조동사를 먼저 사용함으로써 마찬가지인 것이 따름을 먼저 밝히는 장점이 있다. 본문에서는 'recovered'가 과거이므로 양태의 대조동사도 'did'를 사용하고 있다. 

The sunlight was now surrounding her as (B)[had] the darkness before ~

'before'가 있으므로 양태의 대조동사는 'had (surrounded)'에서 'had'를 사용해야 한다.

 

[PT5-13]0139. ⋆ [세종대학교 2004-1]

Asteroids travel around the sun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as ________.

(A) the planets        (B) the planets are       (C) do the planets        (D) does the planets

[PT5-13]0139. [양태 도치형]

정답 - C : 'as'가 접속사로 '~하듯이, ~처럼'의 뜻으로 쓰일 때 이를 '양태 접속사 as'라 한다. 'as the plants do'를 'as do the plants'로 바꿔 쓸 수 있는데 이를 양태 부사절 도치형이라 한다.

B : 주절의 동사가 일반 동사이므로(travel) 'be 동사'를 써서는 안 된다.

A : 이 문장은 비교 종속절이 아니고 양태 부사 절이므로 주어만 있고 동사가 없으면 안 된다.

D : 양태 부사절 도치형은 가능하지만 주어가 'the planets'로 복수형이므로 단수 일치형인 'does'를 사용하면 곤란하다.

[해석] 소행성은 행성들과 마찬가지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태양 주위를 움직인다.

 

'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교 종속절 내의 대동사  (0) 2021.05.13
as, than 비교 도치형 ★★  (0) 2021.05.12
That will do it.과 That should do it. 인식형?  (0) 2021.05.09
반복 회피의 one 추가 1 편  (0) 2021.05.07
반복 회피의 one과 that ★★  (0) 2021.05.06
Posted by 연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