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입 문법 3000 Plus2022. 7. 20. 15:10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https://youtu.be/Gvt0PgOrIn8

 

3809.* [서경대학교 2019]

(A)[A tour of] showroom houses (B)[is holding] at Sunrise Court, the (C)[newest residential] property (D)[in the state].

3809. [중간 동사가 아닌 경우]

정답 - B : [is holding] → [is being held] : 'hold'는 '열다, 개최하다'의 뜻으로 'open'과 달리 타동사로만 쓰인다. 즉 중간 동사(middle verbs)로 사용되지 못한다. 적용 기간이 줄어든 경우이므로, 문맥상 요즘이므로 'is held'가 아니라 'is being held'가 사용되어야 한다.

[해석] 선라이즈 코트에서 집 보여주는 투어가 열리고 있는 중이다. 그 주에서 가장 새로운 부동산 단지에서.

[ET28-1-3]0953. [경희대학교 2009]

Typically, (A)[more trade fairs] (B)[are holding] in the fall than in (C)[any other] month (D)[because of] the weather in this region.

[ET28-1-3]0953. [중간 동사가 아닌 경우]

정답 - B : [are holding] → [are held] : 'hold'는 ‘열다, 개최하다’의 뜻으로는 'open'과 달리 타동사로만 쓰인다. 따라서 주어가 'trade fairs'이므로 수동태로 쓰여야 한다. 반복적이므로 진행 수동이 아니라 그냥 수동이 맞다.

[해석] 이 지역에서는 날씨 때문에 어떤 달보다도 가을에 무역박람회가 더 많이 열리는 것이 일반적이다.

3810.* [수원대학교 2019]

The word famous means "very well known." [ ] in placed in front of a word frequently means "not," INFAMOUS does not mean "not famous." Rather, it means that someone or something is very famous in an unfavorable way.

(A) However (B) When (C) Before (D) Although

3810. [접속사의 의미상의 선택]

정답 - D : [Although] : 'in'이 주어이고 'means'가 정동사이고 'INFAMOUS'가 주어이고 'does'가 정동사이므로 두 개의 절을 연결하는 접속사가 있어야 한다. 내용상 'Although'이 적합하다.

A : 'However'는 접속사가 아니라 접속 부사로 두 개의 절을 연결하지 못한다. 물론 'however old'처럼 'however'가 자체로 부사로 역할을 하는 양보절이 되면 양보 접속사가 될 수는 있다. 본문에서는 'However'가 단독으로 부사 역할을 하려면 '어떤 방법이라도'의 뜻이 되어야 하는데 '어떤 방법으로 흔히 not을 의미하더라도'의 뜻이 되어야 하는데 의미상 아주 이상하다.

B, C : '단어 앞에 놓인 'in'은 흔히 "not"을 의미할 '나 '단어 앞에 놓인 'in'이 흔히 "not"을 의미하기 '은 문맥상 적합하지 않다.

[해석] 'famous'라는 단어는 "아주 유명한"을 의미한다. 단어 앞에 놓인 'in'은 흔히 "not"을 의미하지 INFAMOUS는 "not famous"를 의미하지 않는다. 오히려 그건 누군가 또는 뭔가가 나쁜 식으로 아주 유명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3811.***[아주대학교 2019]

The mathematical growth model assumes that resources are unlimited, [ ] in the real world.

(A) which rarely is the case

(B) which is rarely a case

(C) which is rarely the case

(D) that is rarely a case

(E) that is rarely the case

3811. ['a case'와 'the case + 부정 부사의 위치]

정답 - C : which is rarely the case : 그건 좀처럼 사실이 아니다 : 부정 부사인 'rarely'(= seldom)의 위치는 'not'과 마찬가지로 기능사 뒤에 위치 시킨다. 여기서 'is'는 기능사이므로 그 뒤에 위치시키는 것이 원칙이다. 물론 'not'과 달리 부정 부사는 제로 기능사 뒤 본동사 앞에 위치시킨다. Apparently he rarely spoke to anyone. 여기서 'zero 기능사 + rarely + 본동사(spoke)'로 위치시키고 있다.

'a case'는 '하나의 경우'란 뜻이고 'the case'는 정관사가 붙어 유일성을 나타내서 'true'나 'correct'의 뜻으로 사용된다.

A : 전혀 사용되지 못하는 것은 아니나 교과서 문법으로는 'rarely'의 위치가 잘못된 것이다.

B : 'a case'는 부정관사의 사용이 적합지 않다.

D, E : 계속적 용법에는 'that'을 사용하지 않는다.

[해석] 수학적 성장 모델은 자원은 무한하다고 가정하지만 그건 실 세계에서는 좀처럼 사실이 아니다.

3811.***[중앙대학교 2019]

But, as the pleasure which I hope to give by the Poems (A)[now presented to] the Reader must (B)[depend entirely on] just notions upon this subject, and, (C)[thus] it is in itself of high importance to our taste and moral feelings, I cannot content myself with these detached remarks. (D)[No error.]

3811. [접속 부사와 접속사]

정답 - C : [thus] → [as] : 'as(접속사) the pleasure ~ (주어) must (정동사)' 뒤에 ', and, thus it(주어) is(정동사)가 따르고 뒤에 주절인 'I(주어) 'cannot'(정동사)가 따르고 있다. ', and, thus, ~'는 삽입적 병치로 전체를 빼도 그만이다. 빼도 그만이지만 연결 관계는 문법에 따라야 한다. 삽입적 병치를 무시하고, 즉 'coma'를 제외하고 보면 'and [thus] it is ~ to ~feelings, I cannot ~'으로 이어진다.

맨 앞의 'as the pleasure ~'와 'and [thus] it is ~'가 이어지려면 'thus'(접속 부사)가 의미상으로 연결되어야 하는데 '전적으로 달려있고 따라서 그 자체로 매우 중요하다'로 의미상 연결이 되지 않는다. '전적으로 달려있고 그리고 그 자체로 아주 중요하기 때문에'가 주절(I cannot ~)과 연결이 되어야 한다. 그래서 'as'를 반복해서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오타] 'our taste and taste and moral feeling'는 오타로 'our taste and moral feelings'로 고쳤다.

[원본] William Wordsworth - Preface to Lyrical Ballads

(C)[as] it is in itself of the highest importance to our taste and moral feelings,

(A)[now presented to] the Reader → [I now present to] the Reader

문제로 만들기 위해 과거 분사의 후치 수식인 'now presented to the Reader'를 사용했지만 주어가 'I'로 앞에서 나왔으므로 연속해서 같은 주어를 사용한 'I now present to the Reader'가 적합하다.

[해석] 하지만 지금 독자에게 제시된 시들을 가지고 제가 제공하기 원하는 즐거움은 전적으로 이 주제에 관한 적합한 개념들에 전적으로 의존해야만 하고 또 그 자체로 즐거움은 우리의 취향과 도덕적 생각에 아주 중요하기 때문에 저는 이런 동떨어진 말들에 대해 만족할 수가 없습니다.

Posted by 연우리
편입 문법 3000 Plus2022. 7. 18. 13:03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https://youtu.be/Qt8CFKyfKzU

 

3805. [서경대학교 2019]

Ms. Janson (A)[joined] (B)[several professional realtor] associations (C)[so that] better network with (D)[other like-minded individuals] in the industry.]

3805. ['so that 절'과 'so as to V]

정답 - C : [so that] → [so as to] : 여기서 'better'는 동사로 '개선하다, 향상시키다'의 뜻이다. 물론 접속사 'that'이 있으면 주어가 먼저 따라야 한다. 'so as to V'로 목적 용법으로 연결해야 한다.

[해석] 잰슨 부인은 몇 개의 전문 부동사 협회에 가입했다. 업계에서 같은 마인드의 사람들과의 네트워크를 개선하기 위해서.

3806.* [서경대학교 2019]

Ceramics are (A)[often used] as superconductors because (B)[they] do not need to (C)[be cooled to] as low a temperature (D)[than] other current-bearing compounds.

3806.* [비절 비교의 전치사 탈락과 'as 형용사 a 명사' 앞의 전치사]

정답 - D : [than] → [as] : 앞에 'as'가 있으므로 당연히 'as'로 상관되어야 한다.

C : 'be cooled to' 뒤에는 'as 형용사 a N'이 한 덩어리이므로 '전치사 to'는 사용되어야 한다.

'cooled as low as 5 degrees Celsius'로 비절 비교가 따르면 '전치사 to'는 탈락시킨다.

[해석] 세라믹은 종종 초전도체로 사용되는데 그건 세라믹은 다른 전류를 옮기는 합성물과 같은 낮은 온도로 내릴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3807. [한국산기대학교 2019]

The Romans were statled to see their enemies had battle flags made of an unknown fabric: silk. Within decades, silk was being worn by the wealthy families of Rome. The silk craze grew over the centuries, and [ ].

(A) neither did the price of silk

(B) neither had the price of silk

(C) so had the price of silk

(D) so did the price of silk

3807. [긍정문 + ~도 그래, 부정문 + ~도 아니야]

정답 - D : so did the price of silk' : 앞에 긍정문이 있으므로 '~도 그래'는 'so'를 사용해야 한다. 앞의 동사가 'grew'로 과거이므로 기능사도 과거형인 'did'를 사용한다.

A, B : 앞이 부정문이 아니므로 'neither'를 사용하지 않는다.

[해석] 로마인들은 자신들의 적이 알려지지 않은 천인 실크로 만든 전투 깃발을 보고서 놀랐다. 수십 년 내에 실크는 로마의 부유한 집안들이 입고 나니게 되었다. 실크에 대한 탐욕은 그 수 세기 동안 커졌고 마찬가지로 실크의 가격도 올랐다.

3808.* [중앙대학교 2019]

The summation of his work in the physical sciences is sometimes (A)[called] the Newtonian Synthesis, since he (B)[had taken] the various ideas about cosmology, matter, and motion (C)[proposed] by the likes of Galileo, Copernicus, and Kepler. (D)[No error.]

3808. [불필요한 대과거]

정답 - B : [had taken] → [took] : 대과거는 위치상 나중 나왔는데 이전임을 표시하는 용법으로 근처에 과거가 있을 때 사용된다. 본문은 근처에 과거가 없어서 대과거를 쓸 이유가 없다.

C : 'the various ideas ~ proposed ~'에서 'proposed'는 후치 수식 분사로 관계절로 전환하면 'which had been proposed ~'가 될 수 있는데 'which'를 삭제하면 'had been'도 탈락시켜야 한다. 여기에 대과거가 숨어 있을 수 있지만 앞의 'had taken'은 위치상으로 먼저 나온 것이므로 대과거를 표시할 이유가 없다. 그래서 과거형인 'took'를 사용해야 한다.

[해석] 물리 과학에 있어서의 그의 연구의 요약은 종종 뉴턴 종합 체계라 불리기도 하는데 그것은 그가 갈릴레오, 코페르니쿠스, 케플러가 제안했었던 우주학, 물질, 그리고 운동에 관한 다양한 개념들을 채택했기 때문이다.

Posted by 연우리
편입 문법 3000 Plus2022. 7. 15. 15:15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  miCXaTEQY8g

3801. [숭실대학교 2019]

(A)[No] amount of fire or freshness can challenge (B)[that] a man will (C)[store up] (D)[in] his ghostly heart.

3801. ['challenge'와 'that과 what']

정답 - B : [that] → [what]  : 원래 'calumniate'[kəl Λmnièit](중상[비방]하다)와 같은 어원 출신인 'challenge'는 'that 절'을 목적어로 취하지 못한다. 설사 취한다 하더라도 여기서는 'store'의 목적어 자리가 비어 있어서 곤란하다. 선행사 포함의 관계사인 'what'을 사용해야 'challenge'의 목적어 자리와 'store'의 목적어 자리 양쪽을 채울 수 있다. 

'challenge'는 여기서 '자극하다' 정도로 사용되고 있다.

A : no amount of ~ : 아무리 많은 ~라도 아니다 :  Not even the maximum amount of something (would be sufficient to have an impact or cause something to happen)

[해석]   아무리 대단한 열정과 참신함이라도 남자가 그의 유령 같은 마음에 쌓아둔 것을 자극할 수 없다.

[원본]   핏 제럴드 「위대한 개츠비」

 

3802.* [아주대학교 2019]

The snow goose need not bathe to make itself white. [          ] do anything but be yourself.

(A) Neither do you need

(B) Neither you need

(C) Neither need you

(D) You either not

(E) Nor you need

3802. [부정어구 선행에 따른 주어-기능사 도치 + '본동사 need와 조동사 need']

정답 - C : [Neither need you]  : 'not + either'인 'Neither'가 앞으로 선행하면 필히 주어-기능사 도치가 발생해야 한다. 'need'를 조동사 취급하면 기능사인 'need'를 주어 앞으로 도치시키면 된다. 'need'가 조동사로 사용되고 있으므로 뒤에는 원형이 따른다.

A : 'need'를 본동사 취급하면 기능사가 없으므로 대조동사인 'do, does, did'를 사용한다. 대조동사(기능사)인 'do'가 앞으로 도치되었으니까 뒤따르는 'need'는 본동사이므로 당연히 목적어로 'to 부정사'가 따라야 한다.

B : 'Neither'의 선행에도 필수적인 주어-기능사 도치가 발생하지 않고 있어서 곤란하다.

D : 최소한 'either'는 'not' 뒤에 사용된다.

E : 'and + or'의 뜻인 'Nor'도 선행되면 주어-기능사 도치가 필히 발생해야 한다.

[해석]   흰기러기는 희어지기 위해 물속에 들어갈 필요가 없다. 당신도 어떤 것도 할 필요가 없다. 그저 자신이 되기만 하면 된다.

[원본]   노자(Lao-tse [láudzΛ])

 

3803.* [중앙대학교 2019]

(A)[In a policy brief], research reported (B)[almost decade ago] by National Council on the Teaching of English (NCTE), (C)[declared there] "are many faces of English Language Learners (ELLs)." Some statistics provide evidence supporting this declaration. (D)[No error].

3803. ['극단 약화사 almost']

정답 - B : [almost decade ago] → [almost a decade ago]  : 극단 약화사인 'almost' 뒤에는 극단이 될 수 있는 분명한 숫자가 나와야 하므로 최소한 'a decade'가 사용되어야 한다.

A : a policy brief ← a brief on policies : 정책 보고서

C : 'declared'는 선언 시점을 염두에 두고 과거형을 사용하고 있지만 뒤에 따르는 'are'는 지금도 적용되는 사실로서 현재 연관성을 나타내고 있다.

[해석]   정책 보고서에서 국가 영어 교육 위원회가 거의 10 년 전에 발표한 연구 선언에 따르면 "영어 학습자들은 많은 얼굴이 있다고 한다." 이 선언을 지지하는 증거를 제시하는 통계치들도 있다.

[PT67-3]2862. [세종대학교 2004-1]

(A)[So far] (B)[most] a million (C)[different] species of insects have been (D)[identified] and named.

[PT67-3]2862. ['most'와 '극단 약화사 almost']

정답 - B : [most] → [almost] : 정확한 숫자 앞에는 막연한 숫자인 'most'를 붙이지 않는다수사 앞에는 '거의'란 뜻의 극단 약화사인 'almost'를 쓴다물론 'more than'도 가능하다.

[해석지금까지 거의 백만 종의 상이한 곤충들이 확인되고 명명됐다.

[PT67-2]2861. ⋆⋆ [인천대학교 2007-1]

(A)[Even though] his reputation was declining, (B)[almost] people (C)[were] willing to admit that (D)[he] was an eminent scientist.

[PT67-2]2861. [양화사 most와 극단 약화사 almost]

정답 - B : [almost] → [most] : 극단 약화사인 'almost'는 막연한 수인 'people'과 연결될 수 없다. ‘대부분을 뜻하는 'most'가 쓰여야 한다.

[해석비록 명성은 기울고 있었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가 저명한 과학자임을 기꺼이 인정했다.

 

3804.* [아주대학교 2019]

Masculinity has tended to be [                ] as femininity in the modern world.

(A) as a construct fissured and complex

(B) as a fissured and complex construct

(C) as fissured and complex construct

(D) as fissured and complex a construct

(E) as fissured and as complex construct

3804. ['as 형용사 a N as']

정답 - D : [as fissured and complex a construct  : 여기서 'construct'는 명사로 사용되고 있다. 동사라면 'be constructed'가 되어야 한다. 'constructive'가 형용사죠. 'construct'는 명사로는 가산 명사입니다. 가산 명사라면 최소한 'a'라도 붙어서 사용되어야 합니다. 

Masculinity has tended to be an y fissured and complex

femininity has tended to be an x fissured and complex

x와 y를 둘 다 'as'로 바꿔서 연결하면 동등 비교가 만들어진다. 'an as fissured and complex'에서 'as'가 비교 종속절 접속사로 사용되기 위해 자기절의 앞으로 이동하면 'as'로 사용되고 반복되는 것은 생략하고 'femininity (has tended to be ~)'만 남게 된다.

y는 'as'로 바꾸면 원래는 'an *as fissured and complex construct'가 되는데 '한정사인 a' 뒤에는 보통 부사가 따르는 자리도 아니고 특히나 뒤의 요소와 상관되는 부사는 따를 수가 없다. 그래서 'as fissured and complex'를 부정관사 앞으로 함께 이동시킨다. 그러면 'as fissured and complex a construct'가 되고 길지만 이걸 한 덩어리로 취급합니다. 그래서 보통 'as 형용사 a N as'로 기억하라고 하는 겁니다. 'too 형용사 as a N to V'도 마찬가지입니다.

A : 'fissured and complex'를 뒤로 이동시키는 것은 안됩니다.

B : 'as'만 홀로 앞으로 이동시키면 안 됩니다.

C : 가산 명사인 'construct'는 최소한 'a'가 사용되어야 합니다.

E : 역시 'a'가 없이 사용될 수 없다.

[해석]  현대 세계에서 남성성은 여성성과 마찬가지로 뜯어진 복잡한 형태를 갖게 된 바 있다.

Posted by 연우리
편입 문법 3000 Plus2022. 7. 13. 21:38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 YjHO7DLzlUI

3797. [수원대학교 2019]

If you look (A)[closely] at the eastern sky tonight, you (B)[may] see the rocket (C)[sending] up into a (D)[circular] path around the earth.

3797. [목적 보어 능동과 수동]

정답 - C : [sending] → [being sent] : 'sending'은 현재 분사로 능동인데 로켓은 보내는 게 아니고 보내지는 것으로 곤란하다. 수동이면 과거 분사(sent)를 사용하는 데 지금은 진행의 뜻이 분명하므로 'being sent'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A : 'closely'는 '빈틈없이, 밀접하게; 면밀하게, 열심히; 검소하게'의 뜻의 부사고 'close'는 부사로는 '가까이에, 친숙하게; 꼭 맞게; 빽빽이'의 뜻이다.

[해석]   오늘밤 동쪽 하늘을 면밀히 바라보면 로켓이 지구 주변의 원형 궤도로 보내지고 있는 것을 아마도 보게 될 것이다.

 

3798. [숭실대학교 2019]

For many teachers, this year's (A)[uprising] is decades in the making. The country's roughly 3.2 million full-time public-school teachers are (B)[experiencing] some of the worst wage stagnation of any profession, (C)[earning] less on average, in inflation-adjusted dollars, than they (D)[doing] in 1900, according to Department of Education data.

3798. [비교 종속절 주격의 주어 + 정동사]

정답 - D : [doing] → [did] : 'than 이후의 비교 종속절'에서 주격의 주어가 나오면 준동사가 아니라 정동사(여기서는 과거)가 사용되어야 한다.

C : 'earning ~'은 등위가 아니고 'experiencing'에 걸려 있는 계속적 용법이다.

A : 단수인 'uprising'의 보어는 'in the making'이고 'decades'는 'in the making'을 수식하는 단위다.

[해석]    많은 교사들에게 올해의 반란은 수십 년째 진행되고 있다. 나라의 320 만 풀타임 교사들은 전문직의 최악의 임금 정체의 일부를 겪고 있다. 평균적으로 덜 받고 그것도 인플레에 영향을 받은 달러로. 1900 년에 받었던 것보다 적게.

 

3799. [수원대학교 2019]

(A)[Not until] the end of the 19th century (B)[was] serious efforts (C)[made] to separate psychology (D)[from] philosophy.

3799. [부정어구 선행으로 인한 도치와 주어 동사의 일치]

정답 - B : [was] → [were]  : 'Not until ~'의 선행으로 주어와 기능사(여기서는 'was')가 도치되어 있으므로 주어은 'efforts'로 복수형이다. 당연히 'were'가 사용되어야 한다.

[해석]    19 세기 말이 되어서야 심리학과 철학을 분리하고자 하는 진지한 노력들이 있었다.

 

3800.* [숭실대학교 2019]

"People ask me what I want (A)[to remember for], and I generally say peace and human rights," he says. "I think it's a basic right of a human being (B)[to have a home] that's decent in which (C)[to raise children], and to have an adequate amount of health care and to have an adequate amount of education (D)[to take advantage] of whatever talent God may have given them."

3800. [간접 의문문 흔적 자리 + 전치사 구 + to 부정사]

정답 - A : [to remember for] → [to be remembered for] : 'for'는 '에 관해서'의 뜻이고 의문사 'what'이 그 자리를 채우게 된다. 'to remember'를 사용하면 'remember'의 목적어 자리가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능동으로 '기억되다'의 뜻으로 'to be remembered for'를 사용해야 한다.

C : 'in which'는 전치사 구의 형태로 뒤에 간단한 형태인 부정사가 따를 수 있다. 그리고 'that's decent'와 'in which to raise children'는 이중 한정을 하고 있다.

[해석]   "사람들은 제게 묻죠. 제가 무엇과 관련해서 기억되기를 원하는 지를요. 전 일반적으로 평화와 인권이라고 말하죠."라고 그는 말한다. "전 기본적인 인권이라고 생각해요. 아이들을 키울 수 있는 괜찮은 집을 갖는 것과 충분한 의료 보험을 갖고 하나님이 주신 어떤 재능이든 이용할 수 있는 충분한 교육을 받는 것 말이죠."

 

Posted by 연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