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입 문법 3000 Plus2021. 7. 2. 14:04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DdR58Lu5TVw

[PT62-19]2733.  [경희대학교 2009]

올바른 표현을 고르시오.

(A) If I will be you, I would buy a new car.

(B) If he has been more careful, the accident wouldn't have happened.

(C) I heard you saw a great movie last night. I wish I have gone with you.

(D) I got an invitation to my sister's graduation. I wouldn't have been able to go without the invitation.

[PT62-19]2733. [가정법]

정답 - D : 'without the invitation'에 따른 가정법 과거완료의 귀결절이다.

[해석여동생 졸업식 초대장을 받았다초대장이 없었더라면 갈 수 없었을 것이었다.

A : [will be] → [were] : 귀결절에 'would buy'가 있으므로 가정법 과거의 조건절이 필요하다.

[해석내가 너라면 새 차를 살 거다.

B : [has been] → [had been] : 귀결절이 'wouldn't have happened'로 가정법 과거 완료이므로 조건절은 당연 가정법 과거 완료여야 한다.

[해석그가 너 주의했었더라면 그 사고는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다.

C : [have gone] → [had gone] : 앞에 'last night'가 있으므로 과거에 대한 이야기이고 따라서 'wish' 다음에는 가정법 과거 완료가 쓰여야 한다.

[해석어젯밤에 멋진 영화를 봤다며함께 갈 걸 그랬다.

 

[PT62-20]2734. [대구대학교 2004-1]

If _____________, I'm sure I could have gotten some tickets for you.

(A) I knew          (B) I had known            (C) I had been known         (D) I have known

[PT62-20]2734. [가정법 과거 완료]

정답 - B : 귀결절이 가정법 과거 완료이므로 조건절은 가정법 과거 완료여야 한다. 'I'm sure'는 삽입된 것이므로 가정법과는 무관하다앞에 있다고 보아도 무방하다. = I'm sure that if I had ~, I could ~.

[해석내가 알았더라면 네게 표를 좀 구해줄 수 있었을 거라고 나는 확신한다.

 

[ET63-1-1]2735. [아주대학교 2005-1]

If you (A)[had not stayed] (B)[out] late last night, you (C)[would not] (D)[have felt] so tired now.

[ET63-1-1]2735. [혼합 가정법]

정답 - D : [have felt] → [feel] : 지금에 대한 언급이므로(now) 가정법 과거가 쓰여야 한다결국 혼합 가정법이 쓰인 경우이다.

[해석네가 어젯밤 늦게 밖에 머물지 않았더라면 지금 그렇게 피곤하지는 않을 거다.

 

[ET63-1-2]2736. ⋆⋆ [가톨릭대학교 2007-2]

I ______ happy to see him, but unfortunately I didn't have time.

(A) had been         (B) have been         (C) would have been        (D) will have been

[ET63-1-2]2736. [가정법과 직설법의 혼합형]

정답 - C : 'but 이하'가 '직설법의 과거 언급'이므로 귀결절에 해당되는 부분은 '가정법 과거 완료'여야 한다.

but unfortunately I didn't have time = if I had had time

[해석기쁘게 그를 만났을 수도 있었는데 안타깝게도 시간이 없었다.

 

[핵심문법가정법과 직설법의 혼합형

'가정법 조건절대신에 '직설법'이 쓰이고 '귀결절'만 '가정법'이 쓰인 경우를 말한다.

귀결절 가정법 과거완료
ⓐ The flower would have grown well,
꽃이 잘 자랄 수도 있었었는데, (과거 언급)
조건절을 대신한 직설법 과거
ⓐ but (that) I did not water it.
except (that)
save (that)
그런데 물을 주지 않았거든.” (과거 언급)
귀결절 가정법 과거
ⓑ would buy the car,
그 차를 사고는 싶은데, (미래 언급)
조건절을 대신한 직설법 현재
ⓑ but (that) I am poor.
except (that)
save (that)
그런데 가난하거든.” (현재 언급)

는 귀결절이 '가정법 과거완료'이므로 조건절은 당연히 '가정법 과거완료'가 와야 한다예컨대 'if I had watered it'’이 오면 '내가 물을 주었더라면 잘 자랐을 텐데.'의 뜻으로 훌륭한 문장이 된다그런데 이러한 조건절을 대신하여 '직설법 과거'인 'but I did not water it.'이 쓰였다여기서 'but'은 '제외'의 뜻을 지니고 있어서 쓰지는 않지만 'but (the fact)'와 마찬가지여서 직역하면 '내가 물을 주지 않았다는 사실을 제외하고는'의 뜻이고 뒤에는 '직설법'이 오는 게 당연하다. 'but' 대신 '제외'의 뜻을 지닌 'save'나 'except'를 써도 된다다만 해석 시에는 '제외하고는'으로 하지 말고 '그런데 (실제로는물을 주지 않았거든.'으로 의역하는 것이 좋다.

would have helped him but didn't have the money.

"내가 그를 도울 수도 있었을 텐데 그런데 돈이 없었거든."

She would have gone except she didn't have time.

"그녀는 갈 수도 있었었는데 그런데 시간이 없어서 갈 수 없었다."

He would have gone save that he had no means. "그는 갔을 텐데 다만 자금이 없어서 못 갔다."

He could have done it but that he lacked the courage.

"그는 그렇게 할 수도 있었는데 용기가 없어서 못했다."

He would have gone but he was tired. "그는 갔었을 텐데 지쳐서 그럴 수 없었다."

는 귀결절이 '가정법 과거'이므로 조건절은 '가정법 과거'가 오는 것이 보통이다예컨대 'if I were not poor'가 오면 '내가 가난하지만 않다면 그 차를 살 텐데.'의 뜻으로 훌륭한 가정법 문장이 된다그런데 이러한 조건절을 대신해서 '직설법 현재'인 'but I am poor'가 쓰여서 실제 상황을 얘기하고 있다.

would go, except it's too far. "가고 싶은데 너무나 멀어서."

would wear my red dress but it has a stain in the front.

"빨간 드레스를 입고 싶은데 앞에 얼룩이 져서 그럴 수가 없다."

He would gain weight, but he doesn't eat much.

"살이 찔 수도 있으련만 도통 많이 먹지를 않으니."

But that was busy, I would have attended the meeting.

"바쁘지만 않았으면 회의에 참석했었을 텐데."

But that am poor, I could go abroad. "가난해서 그렇지 않으면 외국에 갈 수 있으련만."

'But that 직설법'이 먼저 나온 경우이다.

wouldn't believe it but that I saw it myself.

"믿지 않고 싶지만 내 눈으로 보았으니 믿지 않을 수 없다."

= I wouldn't believe it if I had not seen it myself.

"내 눈으로 직접 보지 않았더라면 믿지 않으련만."

'혼합 가정법'의 경우로 '가정법 과거'에 '직설법 과거 언급'이 온 경우이다가정법 조건으로 바꾸면 당연히 '가정법 과거 완료가 된다.

would've asked you, only my mother told me not to.

"질문하려고 했었는데요어머니가 그러지 말라고 하셔서요."

'informal style'에서 드물게 'only'가 쓰이기도 한다.

What can I say but (that) I hope you may succeed?

"성공하시길 바란다는 것 외에 무슨 말을 하겠습니까?"

That will do except it is too long. "좀 길지만 그만하면 됐다."

know nothing save that she loves you. "그녀가 널 사랑한다는 것 말고는 나는 아무것도 모른다."

He is a good student, only that he is a little lazy. "그는 훌륭한 학생이다약간 게을러서 그렇지."

논리의 귀결 관계가 없어서 양쪽 다 직설법이 온 경우들이다.

Not but that I should have gone if I had had time. "시간만 있었더라면 안 갔을 것은 아니지만."

I can't come, not but that I'd like to. = I can't come not that I wouldn't like to.

"찾아뵐 수가 없습니다하긴 찾아뵙기가 싫다는 건 아닙니다만."

not but that ~ : ~안 한다는; 아니라는 것은 아니지만

 

Posted by 연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