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 cm6kmaldkLI
[PT62-7]2721. ⋆⋆ [국민대학교 2011]
어법상 올바른 것을 고르시오.
(A) I object to go for a walk after dinner.
(B) He is older than I am over two years.
(C) The Korean War broke down in June, 1950.
(D) If I were in your shoes, I wouldn't choose him.
[PT62-7]2721. [가정법 과거]
정답 - D : 조건절과 귀결절이 모두 가정법 과거로 쓰이고 있다.
[해석] 내가 네 입장이라면 그를 택하지 않겠다.
A : [to go] → [to going] : 'object'는 전치사 'to'를 쓴 후에 동명사가 따른다.
[해석] 나는 저녁 식사 후에 산보 가는 것을 반대한다.
B : [over] → [by] : 차이 표시의 전치사로 'by'를 써야 한다.
[해석] 그는 나보다 두 살 나이가 많다.
C : [down] → [out] : 전쟁이 '발발하다'는 'break out'이다.
[해석] 한국 전쟁은 1950년 유월에 발발했다.
[PT62-8]2722. [계명대학교 2005-1]
If (A)[drivers] obeyed the (B)[speed limit], (C)[fewer] accidents (D)[occur].
[PT62-8]2722. [가정법 과거의 귀결절]
정답 - D : [occur] → [would occur] : 'obey'를 쓰지 않고 'obeyed'를 썼으므로 가정법 과거의 조건절이다. 따라서 귀결절도 가정법 과거 여야 한다.
[해석] 만약 운전자들이 속도 제한을 지킨다면 사고는 더 적게 일어날 텐데.
[PT62-9]2723. ⋆ [성균관대학교 2005-1]
______________, I for one would be disturbed.
(A) If he were to win the medal (B) If he was to win the medal
(C) If he wins the medal (D) If he is the winner of the medal
(E) In the event that he wins the medal
[PT62-9]2723. ['were to' 가정법]
정답 - A: 뒤에 'would'가 있으므로 조건절도 가정법이 쓰여야 한다. 그런 일이 없을 것이라는 것을 강조해서 'if 절'에 'were to'를 쓴 'were to 가정법'을 쓸 수 있다.
B : 'were to' 가정법은 'was to'로 쓰지 않는다.
C, D : 과거 꼴이 없으므로 가정법이 아니다.
E : in the event of ~; in the event that ~ : 직설법 조건에 해당된다.
[해석] 만일에라도 그가 메달을 딴다면 내 경우라면 매우 심란해질 것이다.
[PT62-10]2724. ⋆ [한국외국어대학교 2010]
Choose the most appropriate form for each word in parentheses.
Many splendid achievements in human history have been those of exceptional people. But there is no reason, in the ages (come), the sort of people who are now exceptional should not become usual; if that were to happen, the exceptional people in the new world (rise) as far above Shakespeare as Shakespeare now rises above common people.
(A) that are coming -- can rise (B) coming -- could be rising
(C) coming -- would have risen (D) to come -- will be rising
(E) to come -- would rise
[PT62-10]2724. ['were to' 가정법]
정답 - E : in the ages to come >> in the ages coming
'were to 가정법'도 가정법 과거의 일종으로 귀결절도 가정법 과거가 와야 한다.
[해석] 인류사의 많은 찬란한 업적들은 이례적인 사람들의 업적들이었다. 하지만 앞으로 다가올 시대에서는 지금 예외적인 그런 사람들은 흔치 않을 겁니다. 만약 혹시라도 그런 일이 발생한다면 새 세계의 예외적인 사람들은 셰익스피어가 지금 보통 사람들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는 만큼이나 셰익스피어보다 훨씬 높은 곳에 위치하게 될 것이니까요.
[PT62-11]2725. [명지대학교 2009]
An art teacher (A)[had seen] talent among the prisoners, and felt (B)[that] if they (C)[received] support earlier, (D)[their lives] might have turned out differently.
[PT62-11]2725. [가정법 과거완료]
정답 - C [received] → [had received] : 뒤에 'might have turned'로 가정법 과거 완료가 나오므로 조건절도 가정법 과거 완료여야 한다.
A, C : {had [seen ~], and [felt that ~]}로 등위 되어 있다.
[해석] 한 미술 교사가 그 죄수들에게서 재능을 보았고 그들이 더 일찍 도움을 받을 수 있었더라면 그들의 삶은 다른 결과가 되었을지도 모른다고 느꼈다.
[PT62-12]2726. ⋆ [가톨릭대학교 2010]
다음 글에서 문법적으로 옳지 못한 부분을 포함하고 있는 문장을 고르시오.
(A) The French officer talking to me seemed very upset, but I didn't know what to do. (B) I couldn't speak French at all, and I realized that I was in trouble. (C) Fortunately, my roommate said that he could help me since he could speak French. (D) If he had not been able to speak French, I would have to go to the police station.
[PT62-12]2726. [가정법 과거완료]
정답 - D : [would have to] → [would have had to] : 조건절이 가정법 과거완료이고 귀결절은 지금에 관한 것이 아니고 과거에 관한 것이므로 가정법 과거 완료가 쓰여야 한다.
[해석] 나와 얘기 중이었던 프랑스 경찰은 매우 화가 난 것 같았지만 나는 어찌할 바를 몰랐다. 나는 불어를 전혀 할 줄 몰랐고 나 자신이 곤경에 처했음을 깨달았다. 다행스럽게도 내 룸메이트가 자신이 불어를 할 줄 알기 때문에 나를 도울 수 있다고 했다. 그가 불어를 말할 줄 몰랐더라면 나는 아마도 경찰서로 가야만 했었을 것이다.
'편입 문법 3000 Plu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558회] (0) | 2021.07.02 |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557회] (0) | 2021.06.29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555회] (0) | 2021.06.26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554회] (0) | 2021.06.25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553회] (0) | 2021.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