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입 문법 3000 Plus2021. 12. 20. 16:49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ZvoSxEawf8g

[ET75-3-1]3230. [고려대학교 2005-2]

(A)[A common] example of corrosion is (B)[the rusting of steel] where a conversion of metallic iron (C)[to] a mixture of oxides and other compounds (D)[occur].

[ET75-3-1]3230. [주어와 동사의 일치 일치 방해부 전치사구]

정답 - D : [occur] → [occurs] : 'a conversion {of metallic iron to {a mixture {of {[oxides] and [other compounds]}}}(일치 방해부)}' 다음에는 단수 일치형인 'occurs'가 쓰여야 한다.

[해석부식의 한 가지 흔한 예는 철 금속이 산화물과 다른 화합물의 혼합물로의 전환이 발생하는 곳에서 강철이 녹스는 것이다.

 

[ET75-3-2]3231. [종대학교 2004-1]

Key West, which is (A)[the southernmost] city in the United States, (B)[spread] over a small island, four (C)[miles] long and (D)[less than] two miles wide.

[ET75-3-2]3231. [주어와 동사의 일치 일치 방해부 비제한 관계절]

정답 - B : [spread] → [spreads] : 주어가 'Key West'로 단수이므로 단수 일치를 시켜야 한다.

C : 명사를 꾸미는 것이 아니므로 복수형을 쓰는 것이 맞다.

D : 중간에 'than'이 끼어있을 때는 수가 나와도 'fewer'보다 'less'를 선호한다.

[해석] Key West는 미국의 가장 남쪽 도시인데 길이가 4마일이고 폭이 2마일이 안 되는 조그마한 섬 위에 펼쳐져 있다.

 

[ET75-3-3]3232. [고려대학교 2003-2]

The conditions (A)[stated in] the treaty which (B)[has been drafted] by the United Nations (C)[has] not been (D)[made] public.

[ET75-3-3]3232. [주어와 동사의 일치 일치 방해부 후치 수식 관계절]

정답 - C : [has] → [have] : 과거분사의 후치수식과 연결된 관계절이 길게 나와 일치를 방해하고 있어도 주어는 'conditions'로 복수형이므로 일치되는 동사는 'have'를 써야 한다.

[해석유엔이 기초한 조약에 기술된 조건들은 공표되지 않은 상태다.

 

 

[PT75-1]3233. [경희대학교 2006-1]

If the universe is expanding, then in the past it ____________ now.

(A) would have been smaller than it is            (B) would be smaller than it is

(C) must have been smaller than it is             (D) must be smaller than it is

[PT75-1]3233. ['must have PP']

정답 - C : 조건절에 현재 시제가 쓰이고 있으므로 귀결절에 가정법이 따를 수 없고 직설법이 따라야 한다. 'in the past'에 맞춰 'must have PP'가 쓰여야 한다. 'now'는 비교의 종속절인 'than it is'에 이어질 뿐이다.

[해석우주가 팽창하고 있다면 과거에는 우주가 지금보다 더 작았음이 틀림없다.

 

[PT75-2]3234. [대구대학교 2003-1]

They laughed a lot last night. The film __________ very funny.

(A) should have been      (B) must have been      (C) was to be       (D) should be

[PT75-2]3234. ['must have PP']

정답 - B : '~이었음이 틀림없다'는 'must have PP'를 사용한다.

A : 'should have PP'도 드물게 그런 뜻으로도 사용되지만 보통은 '~했었어야, ~이었어야 했다'의 뜻으로 쓰인다.

[해석그들은 어제 밤에 많이 웃었다영화가 아주 재미있었음이 틀림없다.

 

[PT75-3]3235. [미출]

The president hasn't come yet. Something _______________ to him.

(A) cannot happen               (B) may have happened

(C) may happened               (D) might have happened

[PT75-3]3235. ['may have PP']

정답 - B : = It is possible that something happened to him.

D : 가정법으로 쓰일 때가 압도적이다.

[해석대통령이 아직 도착하지 않았다그에게 무슨 일이 일어났을 지도 모른다.

 

[PT75-4]3236. [국민대학교 2007-1]

A : I didn't finish the job last evening.

B : Oh, you _________ have finished it!

(A) must        (C) will        (B) may       (D) should

[PT75-4]3236. ['should have PP']

정답 - D : should have PP : ~했었어야 했다 : 'last evening'을 보면 과거의 일임을 알 수 있고 따라서 '끝냈어야 했다'는 뜻인 'should have finished it'을 써야 한다.

[해석] A : 어제 밤에 일을 끝내지 못했어. B : 아이고 끝냈어야 했는데.

Posted by 연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