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 LyEqyNmwO_s
#1. Alas, in your curiosity you are like the other seven, and though I loved you best of all, your ending shall be (A) [ ] was theirs. Prepare to die, wretched woman!
#2. Like all ancient empires, Egypt was organized on hierarchical principles. The gods stood at the top of the hierarchy; beneath them were ranged the vast assembly of the dead. At the bottom of the hierarchy lay humanity as a whole, by which was principally understood the Egyptians.
The pharaoh occupied a unique and powerful position, standing (B)[ ] he did between humanity and the dead above him (and the gods above the dead). In this hierarchy of beings he was the only individual being, the sole link between the living human world and the world of spirits.
# 빈칸 (A)와 (B)에 공통으로 들어갈 단어는?
[#1. 해석] 슬프도다. 너의 호기심은 다른 7명과 비슷하구나. 난 널 가장 사랑했지만 너의 종말은 그들의 종말과 같을 것이다. 죽을 준비를 하라, 불쌍한 여자여!
[#2. 해석] 모든 고대의 제국들과 마찬가지로 이집트는 계층제의 원칙들을 기준으로 조직되었다. 이 계층제의 맨 위에는 신들이 위치하고 신들 아래로는 거대하게 모인 죽은 자들이 배열되었다. 이 계층제의 맨 아래는 전체 인간들이 차지하고 있었는데 주로 이런 계층제로 이집트인들을 이해할 수 있었다.
파라오는 인간과 인간 위의 죽은 자들 (그리고 죽은 자들 위의 신들) 사이에 정말로 위치하고 있어서 특이하고 강력한 지위를 차지했다. 이러한 존재들의 계층제에서 파라오는 유일하게 개별적인 존재로 살아있는 인간의 세계와 영혼들의 세계 사이의 유일한 연결책이었다.
[정답] (A)와 (B) : as
[#1. 해설]
'theirs'는 'their ending'이고 양쪽 즉 'be의 보어'와 'theirs의 보어'가 빠져있다. ('theirs was'의 도치된 형태)
이때 양쪽의 보어를 채워줄 수 있는 것은 'what' 또는 'as'이다.
[#2. 해설]
'standing as he did between ~'에서 'as he did'는 없어도 되는 부분이다. 그 부분이 없어도 분사 구문이 잘 성립된다. 다만 '서 있는 것처럼'의 뜻으로 분사 구문을 강조한다. 'as'는 원래는 '양태의 as'이고 주절의 시제가 과거이고 능동이므로 'did'를 사용하고 있다.
이를 분사 구문의 강조 용법이라 칭하기도 한다.
[what과 as의 상호 교환성]
He was the man that he had always been.
He was what he had always been.
He was as he always was. "그는 여느 때와 다를 바가 없었다."
'as'는 'what'이 선행사 포함의 관계사로서 관계절과 주절의 주격 보어 자리를 채울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상태'를 나타내면서 양쪽의 주격 보어 자리를 채워줄 수 있다.
He wanted to believe that everything was exactly as it had been before.
"모든 것이 그 전과 정확히 같다고 믿기를 원했다."
As we all know, we are a country of immigrants, and for the last 24 years our immigration laws have given priority to the reunification of families in this country. This is as it should be. This is consistent with our traditional American values. "우리 모두가 알다시피 우리는 이민자의 나라이고 지난 24년 동안 우리의 이민법은 이 나라에서의 가족들의 재결합에 우선권을 주어 왔습니다. 이는 당연히 [마땅히] 그래야 합니다. 이는 우리 미국의 전통적인 가치관과 부합됩니다."
Reading is θ to the mind what exercise is θ to the body.
'what'을 'the thing which'로 보면 'the thing'은 'Reading is'의 보어로 'which'는 'exercise is'의 보어로 자리를 채워줄 수 있다.
Reading is θ to the mind as exercise is θ to the body.
'what' 대신 'as'를 써도 같은 뜻이 된다.
What exercise is to the body, reading is to the mind.
'what 이하'의 관계절을 먼저 써도 된다.
What exercise is to the body, that is reading to the mind.
'what', 즉 'the thing which ~'를 'that'으로 받아서 주절에 사용할 수도 있다.
As exercise is to the body, so is reading to the mind.
'as ~ so'의 상관적 표현을 쓸 수도 있다.
Reading does θ for the mind what exercise does θ for the body.
'what'의 경우에는 'do'를 쓰는 경우도 있는데 양쪽의 목적어 자리를 채워주고 있다.
The problem here is that must does not have a corresponding past-tense form. That is, there is no word in English that does for must what was does for is or what would does for will.
"여기서 문제는 'must'는 상응하는 과거 시제형을 가지고 있지 못하다는 점이다. 즉, 영어에는 'is'에 대해 'was'가 'will'에 대해 'would'가 하는 역할을 'must'에 대해 하는 단어가 영어에는 없다는 것이다."
'A와 B의 관계는 C와 D의 관계와 같다.'는 표현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① A is to B what C is to D
② A is to B as C is to D
③ What C is to D, A is to B.
④ What C is to D, that is A to B [that A is to B]
⑤ As C is to D, so is A to B [so A is to B]
⑥ A do for B what C do for D
It is with a word as with an arrow; once let it loose and it does not return.
"말은 화살과 같다." "발 없는 말이 천리를 간다."
'as' 다음에 'it is'가 생략된 경우이다.
The reason is as follows. “이유는 다음과 같다.”
정형화된 표현으로 'as follow'의 형태는 없다. 'are'가 나와도 'as follows'를 쓴다.
The essential ideas expressed in (82) are as follows. "(82)에 표현된 필수적인 구상들은 다음과 같다."
The report runs / is as follows. "리포트는 다음과 같다."
We (actors) have become casual laborers, but still always on the look-out for parts. The stage just gets you after while. That is as it may be, but it seems to us that something has gone profoundly wrong.
"우리는 (배우들은) 임시 고용자들이 되어버려지만 여전히 배역을 찾고 있다. 한참이 지나야 무대에 서게 된다."
"그건 그럴지도 모르지만 뭔가 심하게 잘못된 것 같이 보인다."
'아마도 사실일지도 / 그럴지도 모른다'의 뜻으로 쓰이는데 양쪽의 'be 동사'의 보어 자리가 빠져 있음을 알 수 있다.
"He's trying to make me believe it," said Steve. "And he's made himself believe it." That's as may be. It does seem to be that his principal obstacle is making Myrtle believe it.
"그는 내가 그걸 믿게 하려고 애쓰고 있고 스스로는 그걸 믿게 해버렸다."라고 스티브는 말했다. 그럴지도 모른다. 그의 주요한 장애는 머틀로 하여금 그걸 믿게 만드는 것 같으니까.
'as'가 나올 때 흔히 '주어 it'가 생략되는 현상이 여기에도 나타나고 있다.
Loyal is as loyally does. "행동이 성실해야 진짜 성실한 사람이다."
'is'의 보어와 'does'의 주어가 빠져있는 경우인데 관용적으로 'what'은 쓰지 않고 'as'를 사용하며 간혹 'that'가 사용되기도 한다.
Handsome is as / that handsome does. "행위가 훌륭하면 인품도 돋보인다." "거죽보다 마음."
I'm quite pleased with my old Morris, thank you. "Handsome is as handsome does" is my motto for cars as well as people.
"고맙소. 내 차인 모리스가 아주 좋습니다. '거죽보다 마음'은 사람은 물론이고 차에 대해서도 내 모토입니다."
'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What C is to D, A is to B (0) | 2022.01.31 |
---|---|
A does for B what C does for D (0) | 2022.01.30 |
want ~ for ~ to V + close by와 close to (0) | 2022.01.26 |
as ~ as ~ 강화와 이유; 강화와 양보 (0) | 2022.01.25 |
과거의 실현되지 옷 한 바람 would like to have PP (0) | 2022.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