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입 문법 3000 Plus2022. 6. 5. 07:09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7dI41wZIyGo

3725.​ [홍익대학교 2019] 

Hardly (A)[had] she brought one gentleman into the little pantry and helped (B)[him] off with his overcoat, (C)[then] the wheezy hall-door bell (D)[clanged] again and she had to scamper along the hallway to let in another guest.

3725.​ [~하자마자]

정답 - C : [then] → [before] or [when] : 앞에 'sooner'가 없으므로 'when'이나 'before'를 사용하는 것이 맞다. 제임스 조이스의 「The Dead」(죽은 사람들)에서는 'than'이 사용되고 있다. 대가의 글을 'than'을 썼다고 뭐라 그럴 수는 없다. [한참 떨어져 있기도 하고] 다만 'then'은 안 된다.

A : 'Hardly'의 선행으로 'had'가 앞으로 도치되고 있다.

B : 'helped him (take) off with'에서 흔히 'take, get'이 생략된다.

wheezy : 씨근거리는 (소리의), 숨 가쁜. 헐떡거리는 

pantry : 창고, 찬장; 저장실 [ㅎ 빵(pantis) 보관 식료품이나 식기를 두는 방, 아니면 냉동 저장실]

clang : 쨍하고 울리다    'clang-clanged-clanged'

cling : 매달리다; 착 들러붙다; 집착하다   cling-clung-clung

[해석]   한 신사를 작은 냉동실로 인도해서 코트를 벗는 것을 도와주자마자 씨근거리듯 현관 벨이 쨍하고 다시 울려서 그녀는 서둘러 복도를 달려가서 다른 손님을 받아들여야 했다.

 

3726.​ [한국외국어대학교 2019] 

다음 중 어법 상 적절하지 않은 것은?

(A) That will do for the present.

(B) This done, she appeared to be pleased.

(C) This is an instance where doctors are helpless.

(D) I cannot understand that he says.

3726.​ ['명사절 접속사 that'과 '선행사 포함의 관계사 what'] 

정답 - D : →  [I cannot understand what he says.]  : 명사절 접속사는 제외하고 나머지 부분이 완전해야 하는 데 'he says'는 목적어가 없다. '그가 하는 말'의 뜻으로 'what'을 사용해야 한다.

[해석]   나는 그가 하는 말을 이해할 수 없다.

A : '자동사 do'는 'be satisfactory'

[해석]  그거면 선물로 충분하다.

B : with 구문 = (With) This done   [해석]  이게 되자 그녀는 기뻐하는듯했다.

C : 이게 의사들이 무기력해 하는 경우이다.

 

3727.​*** [이화여자대학교 2019]

Every generation has its own music. For me, it was the 1990s: Devo, Run-DMC, The Psychadelic Furs, and The Go-Gos. "You don't know about the Go-Gos?" asked one friend. "How can you live?" (A)[How could I]? Of course, I found out about the Go-Gos immediately, (B)[and, no doubt, saved] my life. Now, of course, the 1980s are far gone, and pretty much (C)[everyone born after 1990] (D)[finds it perfectly plausible] to live without knowing about the Go-Gos. Now it's Beyonce, BTS, Cardi-B, Twice . . . (E)[Being the music of today], I can't relate to it myself, but I'm sure young people today will remember it all, even when they become my age. It's the music of their generation.

3727.​ [현수 분사와 좌향 전위]

정답 - (E)[Being the music of today] → [The music of today] : 'Being'의 주어는 주절의 주어인 'I'와 동일한 것으로 여겨야 하는데 이퀄 관계가 성립되지 않는 현수(막) 분사 같아 보인다. 그렇게 보아도 답은 E로 결정된다. 하지만 어떻게 바르게 문장을 바꿔야 하는지는 어렵다. '오늘날의 음악'을 주제로 도입해서 분리시킨 후에 다시 '대명사 it'로 사용하는 전위의 기법을 사용하고 있다.

[Left Dislocation)(좌향 전위)]

(E)[the music of today], I can't relate to it myself, ~

[Right Dislocation(우향 전위]

~~ I can't stand it, the music of today. I'm not interested anymore. I don't go to concerts, I'm satisfied with the music I make myself.  "거 견딜 수가 없어요. 오늘날의 음악 말이죠. 더 이상 관심도 없고요. 콘서트에도 안 가요. 제가 직접 만든 음악에 만족하죠.

B : [and, no doubt, saved] = [and no doubt saved] : 'comma'로 확실히 분리시킬 수 있다.

C : [everyone born after 1990]  : 'the 1980s'는 유한 집합이므로 정관사를 사용하는 것이 당연하지만 홀로 나온 1990은 고유한 숫자이므로 아무 관사를 붙이지 않는다.

D : [finds it perfectly plausible] : 주어는 'everyone'이므로 'finds'가 맞다. 뒤에 진목적어 따르므로 앞에 '가목적어 it'을 사용해야 한다.

[해석]   모든 세대는 그 고유한 음악이 있다. 저로 말하면 그건 80 년대 음악이죠. 디보, Run-DMC, 사이코델릭 퍼즈, 고고스죠. "고고스에 대해 아는 게 없지? 어떻게 살수 있어?"라고 한 친구가 물었다. 어떻게 살 수 있었냐교요? 물론 즉시 고고스에 대해 알아보고 확실히 제 삶을 건졌죠. 이제 물론 1980 년대의 음악도 완전히 갔고 1990 년 이후로 태어난 거의 모든 사람은 고고스에 대해 모르고도 사는 게 완전 가능하다고 여기죠. 이제는 비욘세, BTS, Cardi-B, 트와이스 등의 시대죠. 오늘날의 음악을 말하자면 전 저와 연관을 시킬 수가 없지만 확신컨대 오늘날의 젊은이들은 그 모두를 기억하게 될 겁니다. 심지어 게들이 제 나이가 되어서도요. 그건 그들 세대의 음악이지요.

 

[Dislocation(전위)]

1) Right dislocation : 우향 전위 ['전위'는 '위치의 변화', 또는 '자리 옮김'의 어려운 말이다. 물론 '우향'은 '오른쪽을 향한'의 뜻이다.]

Colloquial Cantonese often uses right dislocation when afterthoughts occur after completing a sentence.

"회화체의 광동어는 문을 완성한 후에 추가적인 내용을 넣기 위해 흔히 우향 전위를 사용한다."

They went to the store, Mary and Peter.​ "게들은 가게로 갔어. 메리와 피터는."

They went to the store is a coherent sentence, but Mary and Peter is added afterward to clarify exactly who they are. "'그들은 가게로 갔다.'는 완전한 문장이지만 '메리와 피터'를 뒤에 붙인다. 정확하게 그들이 누구인지를 명료하게 뒤에서 밝히기 위해서."

   간단하게 대명사로 먼저 말한 후에 끊었다가 분명하게 추가적으로(a clarifying afterthought) 말하는 것이 우향 전위의 목적이다.

2) Left dislocation : 좌향 전위

This little girl, the dog bit her has the same meaning as The dog bit this little girl but it emphasizes that girl (and not the dog) is the topic of interest. One might expect the next sentence to be The little girl needs to see a doctor, rather than The dog needs to be leashed.

"이 소녀에 대해 얘기하면, 개가 겔 물었어."는 "개가 이 소녀를 물었어."와 같은 의미이지만 (개가 아니라) 이 소녀를 '문-주제'로 강조한다. 그래서 청자는 다음 문장으로 "이 소녀는 의사한테 가야 해."가 따를 것으로 예상하게 된다. "개는 줄로 묶어야 해."가 아니라."

Her parentsthey seem pretty uncaring. [좌향 전위 발생] 

"그녀의 부모님들을 얘기하면, 그들은 아주 냉담한 것 같다."

They seem pretty uncaring, her parents. [우향 전위 발생] "그들은 아주 냉담한 것 같다, 부모님들 말이야."

My sister and her husband were having a terrible fight, and she started to scream. The landladyshe went up, and she told them she was going to call the police.

"나의 언니와 형부가 심하게 싸우고 있는 중이었고 언니는 소리를 지르기 시작했다. 주인아줌마를 얘기하면  아줌마는 위로 올라와서 그들에게 경찰을 부르겠다고 말했다."

여기서 주어 자리에 'The landlady'가 사용되면 마치 앞의 'she'로 착각될 수 있으므로 -주제로 'The landlady'를 도입한 후에 다시 대명사를 쓰는 좌향 전위를 이용하고 있다.

[여러 가지 우향 전위의 예]

It is important to meet the people. [외치(Extraposition) : 흔히 말하는 가주어-진주어의 구문으로 'It'은 형식적 주어(dummy it)이다.] "그 사람들을 만나는 것은 중요하다."

It is interesting, what you are saying. [우향 전위 : 'It'는 대명사이고 경우에 따라서는 'this'나 'that'이 사용될 수 있다.] "그거 재미있군. 네가 한 말 말이야."

It / This is a little bit different, [the fact that here are two co-hosts].

"그건 / 이건 약간 다르지. 두 명의 공동 사회자가 있다는 건."

She didn't distinguish between the long-term patrons and blow-ins; if they had no cash, they got no drinks, and out into the cold with themselves. That was the problem, thought Jack, watching Fanny's face turn ugly. That was why the Black Spar was a failing enterprise.

"파니는 오랜 단골들과 불쑥 들어온 뜨내기들을 구별하지 않았다. 현금이 없으면 술도 없고 추위 속으로 몸을 이끌고 나가야 했다. 이게 문제라고 잭은 생각했다. 패니의 얼굴이 언짢게 변하는 것을 보게 되는 것이. 그게 블랙 스파 주점이 망해가는 업소인 이유였다."

[시점이 과거여서 'that'을 사용한 것일 뿐 '이게'라고 해석하는 것은 무방하다.]

외치와 달리 우향 전위는 억양의 단위가 달라서 끊어짐을 'comma'로 표시한다.

I didn't know [him], [this giant kid]. [우향 전위]  "나는 그를 몰랐다. 이 거대한 애는."

[He] was a mystery, [Ralph]. [우향 전위] "그는 미스터리야. 랄프는."

I wanted to comfort [him], [the poor man]. [우향 전위]  "나는 그를 위로하기를 원했었지. 그 불쌍한 사람을."

No one has to take responsibilities on this job except for [me], [the structural engineer]. [우향 전위]

"나를 제외하고는 누구도 이 일에 대해서 책임질 필요가 없다. 내가 구조 진단사니까."

They take [it], they accept [it], [this un-American status]. [우향 전위 : 대명사 반복 사용된 경우]

"그들도 그걸 받아들이고 그걸 인정한다. 이 비미국적인 지위를."

... [she] laughed, and [he] laughed with her, [these two, these motherless children]. [우향 전위 : 대명사가 분리된 경우]  ".. 그녀는 웃었고 그도 그녀와 함께 웃었다. 이 두 명의, 이 엄마 없는 아이들은."

It was the same air [they] had breathed, [those great newspapermen]. [우향 전위 : 관계절 속에서 사용된 경우]

"그들이 숨 쉬었던 같은 공기였다. 저 위대한 신문인들이."

What's [his] name, [your friend]? [우향 전위 : 소유격과 관련된 경우] "그의 이름이 뭐지? 네 친구의 이름이."

 

Posted by 연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