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 7-IngotOhAs
3728. [한국산업기술대학교 2019]
With surveillance cameras [ ] most urban centers, have we gotten to the point where cameras don't need photographers and photographs don't even need cameras?
(A) observed (B) to observe (C) observes (D) observing
3728. [with 구문]
정답 - D : '전치사 with' 뒤에 나오는 'surveillance cameras'는 목적격이므로 뒤에는 준동사가 따라야 하는데 내부에 목적어인 'most urban centers'가 있으므로 현재 분사인 'observing'을 사용해야 한다.
A : 'observed'가 과거면 정동사여서 곤란하고 과거 분사면 수동인데 뒤에 목적어가 있어서 곤란하다.
B : 'with 구문'에서 부정사가 사용되는 경우가 드물게 있기는 하지만 여기서는 동시의 상황을 언급하는 것이므로 부정사를 사용하지 않는다.
C : 'observes'는 현재형으로 정동사인데 옆에 주격의 주어가 없어서 곤란하다.
[해석] 감시 카메라가 대부분의 시내 중심 부을 살피고 있어서 카메라가 사진사를 필요로 하지 않는 그리고 사진은 심지어 카메라도 필요하지 않는 시점에 우리는 이르른 것인가요?
3729. [한국산업기술대학교 2019]
Since the present solar system coalesced about 4.6 billion years ago, many physical changes, and also changes in our understanding, [ ].
(A) have taken place (B) were taking place
(C) have been taken place (D) were being taken place
3729. [완진수]
정답 - A : 'take place'는 자리를 차지하는 것이므로 '발생하다'의 뜻으로 사용된다. 'since'가 과거 이래로 지금까지의 뜻으로 사용되고 있으므로 뒤에는 현재 완료가 사용되어야 한다.
B : 'since'가 '때문에'의 뜻이어도 과거 진행형은 의미가 통하지 않는다.
C : ['have ~en'(완료) + 'be~ taken place'(수동)]은 뒤에 목적어가 따를 수 없다.
D : ['were ~ing'(과거 진행) + 'be~ taken place'(수동)'은 뒤에 목적어가 따를 수 없다.
[해석] 현재의 태양계는 약 46억 년 전에 융합된 이래로 많은 물리적인 변화들과 또한 우리의 이해력의 변화들이 발생된 바 있다.
3730. [항공대학교 2019]
The procedure for the titration is explained as follows. First, (A)[a known amount of] KHP is transferred to an Erlenmeyer flask and some distilled water is added to make up a solution. Next, NaOH solution is carefully added to the KHP solution from a buret until we reach the equivalence point, that is, the point (B)[which] the acid has completely (C)[reacted with] or been neutralized by the base. The point is usually signaled by a sharp color change of an indicator that (D)[has been added] to the acid solution. In acid-base titrations, indicators are substances that have distinctly different colors in acidic and basic media.
3730. [관계사 제자리 찾기]
정답 - B → [at which] : 명사인 'which'는 내려갈 자리가 없다. 선행사가 'point'이므로 'at which'가 적합하다.
titration [taitréiʃən] : [화학] 적정 : (F titre : fineness of alloyed gold or silver → F titre) ['title'이 금의 순도를 나타내는 것과 연관되어 있다.]
buret [bjurét] : 뷰렛 : 화학 실험용의 정밀한 눈금이 있는 유리관
[해석] 적정화의 과정은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첫째로 알려진 양의 KHP를 에를렌 플라스크(삼각 플라스크)에 옮겨서 약간의 증류수를 첨가해서 용액을 만든다. 다음은 NaOH 용액을 뷰렛에서 KHP 용액에 조심스럽게 첨가해서 마침내 적정 포인트, 즉 산이 염기와 완전히 반응하거나 중화되는 포인트에 이르게 된다. 이 포인트는 보통 급한 색깔의 변화로 산성 용액에 더해지는 것을 나타낸다. 산-염기 적정화에서의 지수들은 산성 매체와 염기 매체에서의 상이한 색깔을 분명하게 갖는 물질들이다.
3731. *[숙명여자대학교 2019]
There is (A)[a basic flaw] in our thinking about healthcare. We treat symptoms, not (B)[the underlying] cause of the disease. Yet, (C)[only way] to provide (D)[long-lasting] relief in any degenerative disease, like cancer, (E)[arthritis] and heart disease, is to reverse the basic cause of the disease.
3731. [가산 명사형과 불가산 명사형]
정답 - C : [only way] → [the only way] : 드물게 '여지, 기회'나 '속력'의 뜻일 때 불가산 명사로 사용되지만 보통은 가산 명사로 사용된다. 물론 'way'는 부사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도 가산 명사이므로 제로 관사로 사용되면 안 된다. 'only'가 있으므로 'the only'가 적합하다.
Let me have way to work my will. [불가산 명사] "내 뜻을 펼 기회를 주게."
The ship is gathering way. [불가산 명사] Do you think we'll be able to outpace the storm?
"배가 속력을 더하고 있다. 우리가 폭풍우보다 앞설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해요?
B : 'lie'가 자동사고 'lying'도 자동사고 'underlying'도 자동사로 전치 수식하고 있다.
E : 'arthritis'(관절염)은 병명으로 불가산 명사다.
[해석] 건강에 대한 우리의 생각에는 한가지 기본적인 결함이 있다. 우리는 질환의 증세를 치료하는 것이지 근원을 치료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암과 같은 어떤 퇴행성 질환이나 관절염과 심장병에서 오랫동안 지속되는 치유를 제공하는 유일한 방법은 그 병의 기초적인 원인을 되돌리는 것이다.
(5) 신체(또는 신체의 일부)와 병명
의학, 생물학, 해부학 등에서 신체나 신체의 일부를 총칭으로 언급할 때는 정관사를 사용한다.
The eardrum is the only organ in *a / the human body that is capable of detecting changes in air pressure.
"고막은 기압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신체[ 내의 유일한 기관이다."
Sleep is controlled by the brain and associated with characteristic breathing rhythms.
"잠은 뇌에 의해 통제되며 특징적인 호흡의 리듬과 연관이 있다."
The heart is an amazing muscle. Unlike other muscles, the heart never gets tired.
"심장은 대단한 근육이다. 다른 근육들과 달리, 피곤을 느끼는 경우가 없다."
cf. How are you notified when a heart is available? (이식할 심장) "심장을 구하면 어떻게 연락받습니까?"
The stomach is the main food storage tank of the body. "위는 몸의 주된 음식 저장고다."
cf. You need to have a strong stomach to be an ambulance driver. (비위가 좋은)
"앰뷸런스 운전수가 되려면 튼튼한 위가 필요하다."
The liver is the largest internal organ in the human body. "간은 몸 안의 가장 큰 기관이다."
In an adult human, the skin weighs about seven pounds. "성인에게 피부는 대략 7 파운드 나간다."
복수형의 신체의 일부는 'the + 복수형'을 사용한다.
The eyes are small compared with most of the body's other organs.
"눈은 신체의 대부분의 다른 기관들에 비해 작다."
The lungs are a pair of organs in the chest that are responsible for breathing.
"폐는 가슴에 있는 한 쌍의 기관으로 호흡을 담당한다."
In humans, the kidneys are located in the posterior part of the abdomen.
"인간에게 신장은 배의 후위에 위치한다."
cf. If a kidney is available it goes to the most suitable person regardless of their time on the list or their age. (이식할 신장) "신장을 구하면 리스트에 오른 시간이나 나이에 상관없이 가장 적합한 사람에게 가게 된다."
The lips are a pair of muscular tissues which form the entryway of the oral cavity (mouth).
"입술은 구강의 입구를 형성하는 한 쌍의 근육 조직이다."
I've got the flu. "나는 독감에 걸렸다."
He's in bed with flu. "그는 독감에 누워있다."
I've got influenza. "나는 독감에 걸렸다."
불가산 명사인 'flu'는 'the flu'가 보통이지만 간혹 'flu'도 쓰인다. 불가산 명사인 'influenza'는 정관사를 사용하지 않는다.
A : What seems to be the problem? "뭐가 문제 같아?"
B : I think I'm coming down with a cold. "나 감기 드는 거 같아."
I have a slight cold. "나 가벼운 감기야."
Don't go to work if you have a particularly heavy cold. "특히 심한 감기면 회사 가지 마라."
가산 명사인 'cold'는 부정관사를 사용한다.
I must have caught a cold on my camping trip. "캠핑 갔다가 감기 걸린 게 틀림없다."
If you go out in this rain, you will surely catch cold. (예외적 생략) "이 빗속에 나다니면 분명 감기 걸린다."
'catch cold'는 예외적으로 부정관사가 생략된 경우이다.
I seem to have a head cold. (코감기) "나 코감기 걸린 거같아."
Hey, could you shut that door? I'll catch my death of cold. (지독한 감기)
"헤이, 거 문 좀 닫아 줄래? 지독한 감기 걸리겠어."
Walk quickly or you'll catch the death of cold. (지독한 감기) "빨리 걸어라. 안 그러면 심한 독감 걸린다."
I still have a fever. "나 아직 열 있어."
I have a temperature / a fever, so I'm staying in bed today. "나 열 있어서 오늘 누워 있을 거야."
'fever'와 'temperature'도 가산 명사로 부정관사를 써야 한다.
I have a cough and a runny nose. "나 기침에 콧물 난다."
'cough'도 가산 명사로 부정관사를 사용해야 한다.
I have a headache. "나 두통 나."
I have a slight headache. "나 약간의 두통이야."
I have a terrible headache. "나 두통이 심해."
I have a splitting headache. "나 머리가 쪼개질 듯 아파."
I feel a bit dizzy and I have a pounding headache. "나 약간 어지럽고 두통이 심해."
Karen has *the headache / *headaches / *headache / a headache. "카렌은 머리가 아프데."
'headache'는 가산 명사로 부정관사를 써야 한다.
I have heartache. I can't get a person I love out of my head or heart.
"난 마음이 아파. 난 사랑하는 사람을 생각이나 가슴에서 지울 수가 없어."
'heartache'는 거의 불가산 명사로(영한 사전) 사용해서 관사를 쓰지 않는다.
I've had more than my share of heartaches in my life. "나는 살면서 내 몫 이상의 마음의 아픔들을 겪었다."
She writes about the joys and heartaches of bringing up children.
"그녀는 자녀를 키우는 즐거움과 마음의 아픔에 대해 글을 쓴다."
그러나 영영 사전에는 양쪽형 명사로 표시되고 있다.
He's got a really bad toothache. "난 정말 심한 치통이야."
Chocolate gives me toothache. "초콜릿은 치통을 일으킨다."
'toothache, backache, stomach ache, bellyache'는 'a + 단수' 또는 불가산 명사로 쓰인다.
If you have pneumonia, you may have difficulty breathing and have a cough and a fever. (폐렴)
"폐렴에 걸리면 호흡하기 힘들어지고 기침하고 열이 날 수 있다."
'pneumonia'를 비롯한 'bronchitis(기관지염), asthma(천식), tuberculosis(결핵)' 같은 폐, 호흡기 질환은 불가산 명사로 정관사 없이 쓰인다.
If you have anemia, your blood does not carry enough oxygen to all the parts of your body.
"빈혈이 있으면 피가 충분한 산소를 신체의 모든 부분들에 공급하지 못한다."
Leukemia is a form of cancer that begins in the blood-forming cells of the bone marrow.
"백혈병은 골수의 피를 만드는 세포에서 시작되는 일종의 암이다."
Do you have diabetes? (당뇨병) "당뇨 있으세요?"
If you do not have high blood pressure, consider yourself fortunate. "고혈압이 아니면 다행으로 여기세요."
'anemia(빈혈), leukemia(백혈병), diabetes, arthritis(관절염), paralysis(마비, 중풍), hypertension(= high blood pressure: 고혈압), hypothermia(저체온증), concussion(진탕), anosmia(무후각증)'도 불가산 명사로 정관사 없이 쓰인다.
A kid who has autism also has trouble linking words to their meanings. (자폐증)
"자폐증이 있는 아이는 단어를 의미에 연결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autism, dyslexia(난독증), insomnia(불면증), amnesia(건망증, 기억상실), anorexia(식욕부진), bulimia(대식증), kleptomania(병적 도벽), Alzheimer's (disease)'도 불가산 명사로 정관사 없이 쓰인다.
I think she was suffering from a terrible dementia."내 생각에 그녀는 끔찍한 치매를 앓고 있는 거 같아."
How do I tell my 82-year-old mom she has dementia / Alzheimer's?
"82세 어머니에게 알츠하이머라고 어떻게 말할 수 있겠어?"
'dementia'는 'a + 단수'나 불가산 명사로 쓰인다.
Although measles is usually considered a childhood disease, it can be contracted at any age.
"홍역은 보통 유아 질환으로 여겨지지만 어떤 나이에도 걸릴 수 있다."
'(the) measles(홍역)'는 거의 단수 취급, 아주 드물게 복수 취급하기도 한다.
I don't need to worry about cancer now. (불가산 명사) "이제 난 암은 걱정할 필요가 없다."
What would you do if you had a serious cancer? (가산 명사) "만약에라도 심각한 암에 걸리면 어떻게 할래?"
Some cancers are easier to treat than others. (가산 명사) "어떤 암들은 다른 암들보다 치료하기가 더 쉽다."
He died of lung cancer. (폐암) "그는 폐암으로 죽었다."
She died of breast cancer. (유방암) "그녀는 유방암으로 죽었다."
He died of prostate cancer. (전립선암) "그는 전립선암으로 죽었다."
'cancer'는 가산과 불가산 양쪽으로 쓰이는데 각각의 암은 보통 불가산 명사를 사용한다.
A virus can cause a disease, and Aids is not a disease, it is a syndrome.
"바이러스는 질환을 야기할 수 있고 에이즈는 질환이 아니고 증세다."
Most deaths from infectious diseases worldwide are caused by only a handful of diseases.
"전 세계적으로 감염병으로 인한 사망은 대부분 겨우 몇 개의 질병으로 유발된다."
How could climate change increase disease? "기후가 질병을 어떻게 증가시킬 수 있을까요?"
'disease'도 'cancer'와 같은 식으로 쓰인다.
What has caused Covid? Opinions diverge, of course. Is Virus a natural one or a manufactured one? Has it been transmitted from animal to man? "무엇이 코로나 바이러스 질환을 야기했을 까요? 물론 의견이 분분하죠. 바이러스는 자연 발생일까요? 만들어진 것일 까요? 동물에서 사람으로 전파된 걸까요?"
'Covid'는 'co'는 'corona', 'vi'는 'virus', 그리고 'd'는 'disease'이므로 용법은 'disease'에 준할 것이다.
'편입 문법 3000 Plu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764회] (0) | 2022.06.12 |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763회] (0) | 2022.06.09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761회] (0) | 2022.06.05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760회] (0) | 2022.06.02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759회] (0) | 2022.05.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