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영어 유튜브] → NmKUEyGUMOM
3740. [세종대학교 2019]
An example of a law (A)[declaring] English to be the official language of a state (B)[was passed] in 1988 in Arizona; this law required employed employees of (C)[the state] to act in English and in no (D)[another] language.
3740. [부정형 한정사 'no'와 'another']
정답 - D : [another] → [other] : 'no'는 '없다는' 뜻이고 'another'는 '있다는' 뜻이므로 같이 사용할 수 없다. 'an'이 없는 'other'를 사용해야 한다.
[해석] 영어를 주의 공식어로 선언한 법의 예는 애리조나 주에서 1988 년 통과되었다. 이 법은 이 주의 고용된 직원들은 영어를 사용하고 다른 언어로 사용하지 말 것을 요구한다.
3741. [가톨릭대학교 2019]
Protecting our privacy demands that we each take ownership of our data and (A)[ ] it as well, but uninstalling Facebook and deleting your Instagram account won't keep the data these and other companies have on you (B)[ ] bought, sold, analyzed and aggregated.
(A) (B)
A. protects was
B. protected were
C. protecting to be
D. protect from being
3741. [청유형 동사]
정답 - D : 'demands'가 청유형 동사이므로 뒤에 '(should) 원형인 'protect'를 사용해야 한다. 'keep 목적어 from ~ing' : ~하는 것을 막다
[해석]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것은 우리 각자가 우리 자료의 소유권을 취하고 또 그걸 보호하는 것을 요구하지만 페이스북을 삭제하거나 인스타그램 계정을 지우는 것은 이런 저런 회사들이 여러분에 대해 가지고 있는 자료들을 구매, 분석, 통합하는 것을 막을 수는 없을 것이다.
3742. [경기대학교 2019]
Politicians have generated (A)[such a low degree] of trust that they actually (B)[have to] say the phrase "as a matter of principle" (C)[prior] any statement of belief before voters will even (D)[begin to trust] them.
3742. [부사의 보어 전치사]
정답 - C : → [prior to] : 'before'의 뜻일 때 'prior'는 'to'를 붙여서 'prior to'를 사용해야 한다.
D : '시작, 계속의 동사'(start, begin, continue, etc)는 부정사와 동명사가 다 따를 수 있다.
[해석] 정치인들은 아주 저급한 신뢰를 보여 왔고 그래서 실제로 "원칙의 문제"라는 어구를 말해야만 한다. 유권자들이 자신들의 말을 믿기 시작하기도 전에 믿음의 말을 하기에 앞서서.
3743. *[세종대학교 2019]
She wants to (A)[continue making] positive changes to society (B)[by reaching] out (C)[on] more children with disabilities (D)[through] a non-profit foundation.
3743. [구동사]
정답 - C : [on] → [to] : 영어에서 'reach' 다음에는 기본적으로 'one's arm'이 숨어 있는 표현입니다. 보통 팔을 뻗으면 '~에게' 뻗는 것이므로 'reach out to ~'를 사용합니다. 'on'을 사용하는 경우는 없습니다.
[해석] 그녀는 비영리 단체를 통해서 더많은 장애아들을 (손을 뻗어) 도움으로서 계속해서 긍정적인 사회 변화를 가져오기를 원한다.
We are reaching out to the most vulnerable members of the community.
"우리는 사회의 가장 취약한 사람들에게 도움을 손길을 뻗고 있어요."
I've tried reaching out to her, but she doesn't want to share her feelings with me.
"그녀에게 연락하려고 애써왔지만 그녀는 자기 감정을 나와 공유하길 원치 않아."
I reached out for my glass of water, forgetting that I had left it on the kitchen counter downstairs.
"나는 손을 뻗어 내 물잔을 잡으려 했다. 아래층 부엌 카운터에 올려 두고 온 것을 깜빡하고서."
The crying toddler reached out for her mother, who promptly scooped her up.
"우는 아기는 팔을 뻗어 엄마를 잡으려 했고 엄마는 잽싸게 아이를 들어 올렸다."
잡는 대상을 나타내려면 사물이든 사람이든 'for'를 사용합니다.
참고로 'reach 목적어'는 실제로 연락이 된 경우에 'reach out'은 시도만을 언급한다.
How can I reach you? "어떻게 연락하죠?"
Lately I have been reaching out to you. Boy you haven't been returning my calls.
"최근에 너에게 연락하고자 해 왔어. 하이고, 넌 답신 전화도 안 했잖아."
Judy reached into her handbag and handed me a small printed leaflet.
I reached across the table and squeezed his hand.
He reached up for an overhanging branch.
다른 전치사나 부사가 사용될 경우도 있다. 숨어 있는 'arm'을 넣어서 이해하면 빠르다.
'편입 문법 3000 Plu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767회] (0) | 2022.06.19 |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766회] (0) | 2022.06.16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764회] (0) | 2022.06.12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763회] (0) | 2022.06.09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762회] (0) | 2022.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