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 https://youtu.be/p7yfgceVmqE
# The term frontier hardly (A)[does justice to] this process, for it implies a line or boundary. Contact, not separation, was the rule. Frontier also locates the observer somewhere in the urban East, (B)[from which] the frontier is "out there." Textbook authors seem (C)[not to have encountered] the trick question, "Which came first, civilization or the wilderness? The answer is civilization, for only the "civilized" mind could define the world of Native farmers, fishers, and gatherers and hunters, coexisting with forests, crops, and animals, (D)[as] a "wilderness." Calling the area beyond secure European control "frontier" or "wilderness" (E)[make] it subtly alien. Such a viewpoint is intrinsically Eurocentric and marginalizes the actions of nonurban people, both Native and non-Native.
# (A), (B), (C), (D), (E) 중에서 문법적으로 잘못된 것은?
[해석] '프런티어'라는 용어는 이 과정을 전혀 제대로 평가하지 못합니다. 그건 선이나 경계를 의미하기 때문이죠. 분리가 아니라 접촉이 흔한 것이었죠. '프런티어'는 또한 관측자를 동쪽의 도시 어딘가에 둡니다. 거기에선 프런티어는 '벗어나 저기'입니다. 교과서 저자들은 "문명과 황무지, 어느 것이 먼저?"라는 까다로운 질문을 접하지 못했던 거 같습니다. 해답은 문명입니다. '문명화 된' 정신만이 원주민 농부, 어부, 수렵 채취인이 숲과 작물과 동물과 공존하는 세계를 '황무지'로 규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안전한 유럽인의 통제를 넘어서는 지역을 '프런티어' 또는 '황무지'라고 부르는 것은 그 지역을 좀 낯설게 한다. 그러한 관점은 내적으로 유럽 중심적이고 원주민이든 비원주민이든 비 도시의 사람들의 행동을 처진 위치에 있게 한다.
[정답] (A) [make] → [makes]
[어휘 또는 표현]
do justice to ~ : ~을 공평히 다루다
1) 제대로 평가하다 : to describe or show someone or something accurately,
I think you two will love this house once we get inside--the picture really don't do justice to its mid-century modern charm. "두 분은 이 집에 일단 들어가시면 맘에 드실 겁니다. 사진은 세기 중엽의 현대적인 매력을 정말 제대로 평가하지 못합니다."
2) 많은 양을 먹거나 마시다 : to eat or drink in large quantities
I think you bought too much soda--there's no way the party guests will do justice to all of that. "내 생각에 자긴 소다를 너무 많이 산 거 같아. 파티 손님들이 그 많은 것들 다 마실 수는 없을 거야."
3) 보장되는 만큼 배려하다 : to give something the amount of care and consideration it warrants
I don't have enough of a vocal range to do justice to that beautiful song.
"저는 저 아름다운 노래에 걸맞은 만큼의 음역을 감당하지 못한다."
[해설]
동명사인 주어는 단수로 받으므로 'make'는 'makes'가 되어야 한다.
Calling the area beyond secure European control "frontier" or "wilderness" (E)[make → makes] it subtly alien.
특히 길이가 긴 동명사는 일치 방해부의 역할을 한다.
'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ed about 자동사 + 전치사 수동태 (0) | 2023.03.07 |
---|---|
as though 가정법 (2) (1) | 2023.03.05 |
whereby R 전환과 ossuary (0) | 2023.02.28 |
근거 제시 for 뒤의 수사 의문 3 (0) | 2023.02.26 |
조건 부사절 내의 예측 판단의 인식형 will (2) | 2023.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