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법2023. 4. 18. 06:05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 https://youtu.be/JkGYx89obRA

 

# If you (A)[would have] asked me, I (B)[would suppose] I would have told you there was a God, but I (C)[could not] have formulated a specific definition based on my personal experience. Perhaps it was because my Sunday school classes (D)[did much] to help us memorize commandments and (E)[little] to teach us who God was and how to relate to Him, or perhaps it was because they did and I wasn't listening. ~ ~

# (A), (B), (C), (D), (E) 중에서 문법적으로 잘못된 것은?

[해석] 여러분이 애써 제게 묻고자 했다면 제 생각엔 저는 여러분들에게 말했을 겁니다. 신이 계셨다고 하지만 저라면 제 개인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특정한 한 정의는 내릴 수 없었을 겁니다. 아마도 그건 주일 학교 수업에서 계명들을 외우는 데 도움을 주려고 많은 것을 했고 신은 누구이고 어떻게 신을 우리와 연결해서 부를 것인 지에 대해서는 거의 가르치지 않았기 때문이며 아니면 가르쳐 주셨는데 제가 제대로 듣지 않았기 때문일 겁니다.

[정답] (B) : [would suppose] → [suppose]

[해설]

'I (B)[*would suppose]'는 조건 관계절과 귀결절 전체에 걸리는 주절에 해당되는 것으로 'I suppose if ~, I would have ~'로 쓸 수는 있지만 보통 'If ~, I suppose I would ~'로 귀결절 앞에 위치시키는 것이 보통이다. 조건절과 귀결절과 무관하므로 '가정법 표시사 would'를 사용하지 않는다. 'I think, I'm sure' 등도 마찬가지로 'would'를 사용하지 않는다.

A : If you (A)[would have] asked me, ~ : 보통 가정법 과거 완료는 'had PP'면 충분하다 사실 관계를 가정법으로 나타내면 충분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드물게 '의지가 없는데 있었더라면'을 나타내려면 'would have PP'를 사용할 수 있다.

 

'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em 과 deem  (1) 2023.04.23
not so much A but B  (2) 2023.04.20
sufficient(ly) ~ that ~ 과 important 청유형  (0) 2023.04.16
기능사의 NICE 기능  (0) 2023.04.13
부분 동격  (0) 2023.04.12
Posted by 연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