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입 문법 3000 Plus2021. 1. 22. 07:04
728x90

​[동영상 강의 유튜브 연우리 영어]  https://youtu.be/Nhj-qxd0Yog

[PT26-5]0906.  [상명대학교 2012]

I'm not sure why (A)[it was necessary] to evacuate (B)[the whole airport], but (C)[there was discovered a knife] in someone's bag (D)[after they had gone through] an electronic security check (E)[without being stopped].

[PT26-5]0906. [선택적 존재문]

정답 - C : [there was discovered a knife]  [there was a knife discovered] : 'a knife was discovered'로 써도 문제가 없을 것 같지만 신정보(a knife)가 갑자기 나오는 것을 피해서 이를 유도하기 위해 'there'를 먼저 쓰고 수동태의 'was'를 앞으로 보내 선택적 존재문의 기본 구조인 'there was'를 완성한 후에 주어를(a knife) 쓰고 그 뒤에 수동태의 과거 분사(discovered)를 사용한다.

[해석] 공항 전체에서 사람들을 소개하는 것이 필요한 이유를 나는 확신하지는 못하지만 그들이 제지당하지 않고 전자 보안 검사대를 통과한 후에 누군가의 가방에서 나이프가 발견되었다.

 

[PT26-6]0907.  [홍익대학교 2004-1]

__________ in history when remarkable progress was made within a relatively short span of time.

(A) Periods                                (B) Periods have been

(C) Throughout periods                (D) There have been periods

[PT26-6]0907. [선택적 존재문]

정답 - D : 원래는 'Periods have been in history'가 원래 순서이지만 신정보(처음 나오는 대상)이 문두에 나오는 것을 피하여 존재문의 형식으로 만들어 써야 한다. 먼저 'There'를 쓰고 'be 동사'가 있는 부분까지 'have been'을 쓰고 나머지 부분을 뒤에 따르게 한다. 그러면 ‘There have been periods in history ~'의 어순이 된다.

[해석] 역사에는 놀랄만한 발전이 비교적 짧은 기간에 이뤄지는 시기들이 있어왔다.

 

[PT26-7]0908. [고려대학교 2001-1]

(A)[There were] (B)[lots of] young (C)[boys and girls] (D)[dancing pop music].

[PT26-7]0908. [전치사 누락형과 선택적 존재문]

정답 - D : [dancing pop music]  [dancing to pop music] : '팝뮤직에 맞춰'의 뜻이므로 '전치사 to' 필요하다.

[해석] 많은 젊은 소년 소녀들이 팝뮤직에 맞춰 춤을 추고 있었다.

 

[PT26-8]0909. ⋆⋆ [총신대학교 2003-1]

There are not __________ people who don't like sweet candies.

(A) a few            (B) a lot          (C) many            (D) much

[PT26-8]0909. [존재문과 양쪽 부정]

정답 - C : A도 절대적으로 안 되는 것은 아니지만 의미상 C가 적합하다.

Many people like sweet candies.  존재문화  There are many people who like sweet candies.  양쪽 부정  There are not many people who don't like sweet candies.

A : 'a few people'은 존재문으로 바꾼 후 양쪽을 부정하면 같은 뜻이 되지 못한다.

A few people like sweet candies. “몇 사람은 달콤한 캔디를 좋아한다.”  존재문화  There are a few people who like sweet candies.  There are not a few(= many) people who don't like sweet candies. “달콤한 사탕을 싫어하는 사람은 많다.” : 문장의 부정이 되지 못하고 지역 부정(Local Negation)이 된다.

[해석] 달콤한 사탕을 싫어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 달콤한 사탕을 좋아하는 사람은 많다.

 

[PT26-9]0910. [계명대학교 2004-1]

(A)[There is] several people in the (B)[meeting room] (C)[waiting for] the meeting (D)[to begin].

[PT26-9]0910. [존재문의 주어와 동사의 일치]

정답 - A : [There is]  [There are] : 진짜 주어는 'several people'로 복수형이므로 복수 일치를 시켜야 한다.

B : the meeting room = the room for meeting

[해석] 회의실에는 몇 사람이 회의가 시작되기를 기다리고 있다.

 

[PT26-10]0911.  [성균관대학교 2011]

The lowest stockpiles in (A)[decades] mean there (B)[are] less grain to buffer the impact of drought, (C)[floods], and crop failures, (D)[making] prices (E)[more] volatile.

[PT26-10]0911. [존재문의 주어와 동사의 일치]

정답 - B : 존재문의 진짜 주어인 'grain이 불가산 명사이고 'less'를 썼으므로 단수 취급해서 'is'를 써야 한다.

D : 분사 구문의 계속적 용법이다.

[해석] 수십 년 내로 비축량이 가정 적다는 것은 가뭄과 홍수와 흉작의 충격을 완충시킬 곡물이 적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는 물가를 더 불안정하게 만든다.

 

[PT26-11]0912. [세종대학교 2009]

One of Franklin's good ideas was to set up a club where people could share their books. Anyone ______________ could stop in and read the books.

(A) who wanted                  (B) who wanted us

(C) who wanted to              (D) who wanted for

[PT26-11]0912. [대부정사]

정답 - C : 'who wanted to'에서 'to'는 대부정사로 'share their books'를 받는다. 앞 문장이 없다면 무조건 'stop in and read the books'를 받을 것이다. 하지만 'club'이므로 모든 사람이기보다는 참여하는 모든 사람들로 보는 것이 좋을듯하다.

[해석] 프랭클린의 좋은 구상들 중의 하나는 사람들이 책들을 공유할 수 있는 클럽을 만들자는 것이었다. 책들을 공유하기 원하는 사람은 누구나 들러서 그 책들을 읽을 수 있다는 것이었다.

[참고] Benjamin Franklin once worked as a printer. From his work, he realized how difficult it was to make books. However, he really enjoyed reading and wanted to get as many books as he could. Franklin came up with a good idea - to set up a club where people could share their books. At last, fifty members joined the club in 1732.

The club members were allowed to take the books home with them. This club, called Franklin's Club, is said to be America's first circulating library.

 

[PT26-12]0913. ⋆⋆ [동국대학교 2003-1]

"Bobby, can you type my paper?"

"I don't have time ________ right now."

(A) to do             (B) to           (C) to doing          (D) having reviewed

[PT26-12]0913. [기능사 + 대부정사]

정답 - B : '대부정사 to'는 일종의 기능사로 다음에 반복되는 'type your paper'가 생략됨을 표시하고 있다. 선행사는 'time'으로 원래 관계 부사 절이므로 다른 명사의 흔적 자리는 불필요하다.

I think it(입문서) might be able to answer some of your questions as I don't have time to right now.

A : 'to 부정사'의 'to'는 일종의 기능사여서 그 뒤에는 대조동사 'do'는 사용 불가능하다. 따라서 여기서 'to do'는 'do'가 대동사인데 목적어가 없어서 곤란하다.

[해석] “Bobby 내 과제물 좀 타이핑해줄래?”   “지금 당장은 할 시간이 없어.”

 

Posted by 연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