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휘2021. 2. 10. 03:37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j-qPbls58Iw

#   It is easy to think of the escape from poverty as being about money--about having more and not having to live with the gnawing anxiety of not knowing whether there will be enough tomorrow, dreading that some emergency will come for which there will not be enough funds and (A)[    ] will sink you and your family. Money is indeed a central part of the story. But just as important, or even more (B)[  ], are better health and the improved likelihood of living long enough to have the chance to prosper. Parents living with the constant fear and frequent reality that their children will die, or mothers giving birth to ten children so that five may survive to adulthood, reflect grisly deprivations that (C)[      ] the worries about money that haunt many of the same people. Throughout history, and around the world today, the sickness and death of children, endless recurring morbidity for adults, and grinding poverty are partners that often visit the same families, and they do so over and over again. 

                                                      [엥거스 디턴의 『위대한 탈출』의 서문 13 쪽에서]

#1.  빈칸 (A)에 적합한 단어는?

#2.  빈칸 (B)에 적합한 단어는?

#3.  다음 중에서 빈칸 (C)에 적합한 것은?

A. belie          B. bypass          C. elucidate          D. compound            E. camouflage

[해석]  가난으로부터의 탈출은 돈에 관한 것으로 생각하기 쉽다. 돈을 더 많이 갖게 되면 충분한 자금이 없어서 당신과 당신의 가족들을 파멸시킬 수 있는 비상사태가 닥쳐올 거라고 두려움으로 내일 충분한 돈이 있을까 통렬한 걱정을 하면서 살 필요가 없는 것에 관한 것으로 생각하기 쉽다. 돈은 정말로 얘기의 핵심부이다. 하지만 돈만큼이나 중요하고 아니 돈보다 더욱더 중요한 것은 더 나은 건강과 번창할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충분히 오래 살 가능성의 향상이다. 자녀들이 죽게 될 거라는 지속적인 두려움을 갖고 또 그것이 자주 현실이 되는 부모들은, 또 5 명이 살아서 성인이 되게 하려고 10 명의 자녀들을 낳는 어머니들은 그들 중 많은 이들의 머리에서 떠나지 않는 돈에 관한 걱정들을 악화시키는 무시무시한 빈곤을 반영한다. 역사 이래로 또 오늘날 전 세계적으로 아이들의 질병과 사망, 성인들의 거듭된 발병 상태, 그리고 가혹한 빈곤은 그 집안들을 종종 공격하는 파트너들인데 이들은 너무나 자주 그런 짓들을 한다.

[정답]    1. (A) : which      2. (B) : so       3. (C) : D. compound

[어휘 또는 표현]

gnawing [nɔ́ːiŋ]: 갉아먹는, 쏘는; 통렬한, 괴롭히는  : (Germanic O E gnagen, German nagen)

grisly [grízli] : 무시무시한, 소름 끼치는  : (Germanic O E grislic : terrifying, Dutch griezelig) [어원은 도움 안 됨, ㅎ 'grizzly'(회색곰)도 소름끼치죠.]

deprivation [dèprəvéiʃən] : 궁핍, 빈곤; 결핍; (특권 등의) 박탈; (재산 등의) 몰수 : (Medieval L de- : completely, away + Medieval L privare → deprivare → O F depriver, E private) [완전히 'prive'(빼앗는) 데서]

grinding [gráindiŋ] : 욱신거리는, 괴롭히는; 가혹한 [갈고 빻는 데서]

morbidity [mɔːrbídəti] : 병적 상태[특성]; (어떤 병의) 사망률  : (L morbidus : sickly, equivalent to morb(us) : sickness)

belie [bilái]: 그릇됨을 드러내다 : (be- + lie)

bypass : 우회하다; 무시하다; 회피하다 

elucidate [ilúːsədèit] : 밝히다, 설명하다  : (L e- : out + lucido : 비추다, 밝히다)  [e(out) + lucid(명료한)에서]

★ compound [kəmpáund] : 절충하다, 타협하다[with ...] compound with someone for~ : ~에 대해 타협하다 [한자리에 앉아야 타협이 가능한 데서] ; [성분 등을] 혼합하다; [약 등을] 조제하다 [한 곳에 두는 데서] : [물건을] 조립하다, 구성하다 [같이 놓아서 만드는 데서]; [범죄를 보상받고] 합의하다, 용서하다 [한자리에 앉아서 합의하는 데서]  : (L com : together(함께) + ponere : to put) 

★ (종종 수동태) [문제 등을] 악화시키다, [노여움·모욕을] 더 심해지게 하다 [함께 더하여 놓는 데서] ★{흔히 제2 의미 동사로 자주 출제됨}

[해설]

'some emergency {[for which there will not be enough funds] and [which will sink you and your family]} will come'으로 쓰면 주어부는 엄청 길고 술부만 [will come] 뒤에 달랑 따르는 가분수형 문장이 된다. 이럴 때 짧은 술부를 먼저 쓰고 긴 관계절은 뒤로 ★분리시키는 것이 당연하다. 단 내용상 두 개의 관계절이 'some emergency'을 수식해야 한다.

But just as important, or even more so, are better health and the improved likelihood of living long enough to have the chance to prosper.

원래는 'But better health and the improved likelihood of living long enough to have the chance to prosper are just as important, or even more so.'이겠지만 'as important' 뒤에 생략된 'as money'가 앞에 언급된 'Money is indeed ~'와 너무 떨어져서 글을 흐름을 매끄럽게 하지 않아서 곤란하다. 우리말은 "돈은 ~하다. 그러나 돈만큼, 돈보다 더 중요한 것은 ~'으로 돈을 반복해서 사용하지만 영어는 '~ as money'나 'than money'는 중복적으로 보고 필히 생략한다. 이를 ★비교 종속절의 전체 생략이라 한다.

'even more(더욱더)' 다음에는 'important'을 대신하는 '대형태 so'를 사용해야 한다.

무서운 빈곤[원인]은 걱정을 '악화시키는' 관계일 겁니다. 'compound'가 ★제2 의미 동사로 '악화시키다'임을 알아야 합니다.

'어휘' 카테고리의 다른 글

tandem과 tantrum  (0) 2021.02.13
exude와 assuage  (0) 2021.02.11
cornucopia와 plethora  (0) 2021.02.08
foul play와 foreplay  (0) 2021.02.07
monogamy와 polygamy  (0) 2021.02.05
Posted by 연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