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 p-UtglcJszo
[ET77-3-2]3289. [상명대학교 2009]
All employees (A)[were to] (B)[attend] the company party on Friday, and everyone (C)[should] (D)[bring] a present for the gift exchange.
[ET77-3-2]3289. ['be to 용법']
정답 - A : [were to] → [are to] : 'were to'는 과거의 예정을 나타내는데 뒤의 'should'로 보아 현재의 예정이어야 함을 알 수 있다.
[해석] 모든 직원은 금요일 회사의 파티에 참가해야 하며 모두가 선물 교환을 위해 선물을 가져와야 한다.
[핵심 문법] be to
'be to'는 미래를 표현하는 idiom으로 문맥에 따라 예정, 운명, 계획, 의무, 가능, 바람, 강요등을 나타낸다. 여기서 'to'는 전치사가 아니고 부정사 표시사(Infinitive marker)이므로 그 다음에는 항상 동사의 원형이 와야 한다. 다만 'be to 용법'의 뜻은 'to'가 이미 전치사는 아니지만 전치사 출신이어서 '전치사 to'의 의미를 그대로 지니고 있다.
'He is to go'의 경우를 살펴보기로 한다.
'is'는 현재의 그의 시간상의 위치를 나타내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to'는 'go의 행위'로 'He'가 접근하고 있는 상황임을 표시하고 있다.
접근하는 방식이 '예정'에 따른 것일 수도 있고 굴러 떨어지듯 '운명'적인 것일 수도 있다. 뒤에서 떠밀리듯 '강요'된 것일 수도 있고 스스로 '의도'적으로 접근할 수도 있다. 접근이 막혀 있지 않다는 점에서 '가능'을 나타낼 수도 있다.
We are to meet at six. (예정) "우리는 6시에 만날 예정이다."
The meeting is to be held tomorrow. (예정) "회의는 내일 열릴 예정이다."
They were to have been married. "그들은 결혼할 예정이었었는데."
과거 시제 뒤에 완료 부정사가 오면 '실현되지 못한 예정'을 나타낸다.
He was never to see his home again. (운명) "그는 그의 집을 다시는 보지 못할 운명이었다."
운명의 뜻일 때 흔히 과거시제로 쓰인다.
He was never to see his wife and children again.
My house is to be seen from the station. (가능) "내 집은 역에서 보인다."
수동태의 부정사가 따를 때 '가능'을 나타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Not a soul was to be seen on the street. (불가능) "거리엔 사람 하나 볼 수 없었다."
You are to obey the law. (의무) "법을 지켜야만 한다."
You are to finish your homework by two o'clock. (의무) "2시까지는 숙제를 끝내야만 한다."
You are not to leave this building. (금지) "이 건물을 나가서는 안 되기로 돼있다."
You're not to tell him anything about our plans. (= You must not ~)
If you are to succeed in your new job, you must work hard. (의도) "새 일에 성공하려면"
If we are to get there by six o'clock, we'll have to get a taxi. (의도)
조건절에서 'be to'는 '의도'로 많이 쓰인다.
The letter was to announce their engagement. (목적) "편지는 결혼을 알리기 위한 것이었다."
He is to blame. "그가 비난받아야 한다."
'blame'은 항상 타동사로 뒤에 목적어가 나와야 한다. 여기서 'to 부정사'의 의미상의 주어는 일반인이라고 보고 '타동사 blame'의 목적어가 'him'인데 주어와 같아서 생략된 것이라 분석할 수 있다. 직역하면 '그는 사람들이 그를 비난해 마땅한 상황이다.'이고 이를 의역해서 흔히 수동으로 해석한다.
He is to be blamed.
간혹 수동으로도 쓰이지만 위의 능동문이 선호된다.
I am to blame ( ) for it. "그건 내가 비난받아야 (책임져야) 한다."
No one is to blame ( ). "아무에게도 책임을 물을 수 없다."
The most severe weather is yet / still to come. "가장 혹독한 날씨는 아직은 오지 않았다."
'to' 앞에 'yet'이나 'still'이 쓰이면 함축 의미는 'has not yet come'과 비슷하다. '여전히 올 예정이다'가 직역이지만 의역해서 함의로 새기는 것이 좋다.
He was about to leave. "그는 막 떠나려고 하고 있었다."
'be about to V'는 ‘근처에서 향하고 있다’에서 ‘막 ~하려하다’의 뜻이 된다.
I'm not about to lend you any more money. "더 이상 꾸어줄 마음이 없다."
'be not about to V'는 '~할 마음이 전혀 없는, 아주 내키지 않는'의 뜻으로 쓰인다.
Of course, I wasn't about to complain!
I stand to lose a lot of money. "많은 돈을 잃을 형세다."
'stand to V'도 'be to 용법‘과 비슷한 표현으로 'be in a position to V'의 뜻으로 '~할 것 같은 형세'로 해석한다.
Who stands to benefit from his death ? "그의 죽음으로 누가 이득을 보게 될까?"
[ET77-3-3]3290. [고려대학교 2004-1]
Seth was (A)[suppose to] pay the phone bill yesterday, but he (B)[forgot] although he (C)[paid] his gas and water bills (D)[on time].
[ET77-3-3]3290. [유사 조동사 : be supposed to V]
정답 - A : [suppose to] → [supposed to] : 영어에서 'be + 원형'의 결합형은 없다. 단, 유사 강조 구문은 예외이다. All you have to do is (to) kiss her. = You have only to kiss her.
be supposed to V : ~하기로 되어있는
[해석] 세스는 어제 전화요금을 내야 했는데 가스요금과 수도요금은 제 때에 내면서도 그건 잊고 있었다.
[핵심 문법] 유사 조동사
(1) be PP to V
You may leave the room. → You are allowed to leave the room.
→ You are permitted to leave the room.
You can smoke here.
→ You are allowed to smoke here. → You are permitted to smoke here.
허락일 때 'may'와 'can'은 'be allowed / permitted to V'로 전환된다.
You may / can not leave now. → You are not allowed / permitted to leave now.
허락일 때 'may not'과 'can not' 모두 'be not allowed / permitted to V'로 전환된다.
A new edition is expected (to come out) next month. "신판이 내달 나오기로 되어 있다."
'be expected to V'는 '~하기로 예정되어 있다'가 기본적인 의미이다.
The students are expected to be present at the lecture. "그 강의에 출석할 것으로 기대한다."
'be expected to V'는 '~하기로 기대되면 결국 ~해야 한다'는 의미이므로 'must'의 가장 완곡한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Everybody is supposed to know the law. "법률은 누구나 다 알고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be supposed to V'는 '~인 것으로 되어 있다'가 기본적인 의미이다.
I'm supposed to be a my French class tonight.”
'be supposed to V'는 '~하기로 되어 있으면 결국 ~해야 한다'는 의미이므로 'must'의 완곡한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You are not supposed to do that. "그런 짓을 하는 게 아니다."
We're not supposed to play football on Sundays. "일요일에는 축구를 못한다."
부정문일 때는 'not allowed to V'나 'must not'과 비슷한 뜻이 된다.
Doctors are obliged to keep their parents' records secret.
I was obliged to get up early in the morning. "어쩔 수 없이 아침 일찍 일어나야 했다."
'be obliged to V'는 ‘도덕상, 법률상으로 ~해야만 하다’인 경우가 많다.
I'm much obliged to you for giving me this opportunity.
'be much obliged to ~'는 '매우 감사하게 여기다(be very grateful to ~)'의 뜻으로 쓰인다.
He was compelled to go. "그는 가지 않을 수 없었다."
He was compelled by illness to resign. "그는 병 때문에 은퇴했다."
I am forced to conclude that John is there.
'be compelled to'와 'be forced to'도 '~할 수밖에 없다'의 뜻으로 쓰인다.
You must work harder. → You are required to work harder.
'be required to'는 ‘~할 것이 요구되다’의 뜻으로 'must'를 'paraphrase' 할 때 가장 강한 표현이라고 볼 수 있다.
I'm bound to visit my grandmother every week. "매주 할머니 댁을 방문해야 한다."
'be bound to'는 구속형이면 '~해야 한다'의 뜻으로 쓰인다.
He hasn't got any money—so he's bound to turn up sooner or later. "조만간 반드시 나타난다."
'be bound to V'가 인식형이면 '틀림없이 ~한다, ~하게 될 거다'의 뜻이 된다.
He is bound to go. "그는 기어코 갈 작정이다."
'~할 결심을 하고 있다'의 뜻으로도 쓰인다.
He was meant to be a physician. "그는 의사가 되도록 키워졌다."
He seems obviously meant to be a soldier. "천생 군인이 될 사람 같다."
The building was intended to be a library. "그 건물은 도서관으로 쓸 예정이었다."
They were destined never to meet again. "다시는 만나지 못할 운명이었다."
His hopes were destined to be realized. "그의 희망은 실현되게 돼 있었다."
(2) want to; can / could use; could go; could do with; belong
You want to see a doctor at once. "곧 의사에게 보이도록 하여라."
'want to'는 구어체에서 '~해야 한다, ~하지 않으면 안 된다'의 뜻으로 쓰인다.
You don't want to be rude. "무례해서는 안 된다."
'don't want to'는 '~해서는 안 된다’의 뜻으로 쓰인다.
Street bum. You may want to call security.
'may want to'는 '~해야 할 지도 모르다'의 뜻으로 쓰인다.
I could use a good meal. "맛있는 식사를 해보고 싶다."
They can use an experienced man like you.
'can / could use'는 '얻을 수 있으면 좋겠다, 필요하다'의 뜻으로 쓰인다.
I could go a whiskey and soda. "하이볼을 한 잔 들고 싶다."
I hope you won't snore so much tonight. I could go a night's peace.
'could go'는 '맛보다', '즐기다'의 뜻으로 쓰인다.
I could do with a cup of tea.
We can do with an additional secretary. "비서가 한 명 더 필요하다."
The house could do with painting. (could do with = needs)
'can / could do with'는 '마시고 싶다 / 필요하다'의 뜻으로 쓰인다.
The cups belong on the shelf. "그 컵은 본디 선반 위에 놓여야 한다."
You don't belong here. "여기는 자네가 올 곳이 아니다."
Now, go back to where you belong. "자 네 집으로 가거라." (길 잃은 고양이)
'belong'은 '본래의 있어야 할 곳'이라는 점에서 자체로 'ought to'와 비슷한 뜻을 지니는 경우가 많다.
'편입 문법 3000 Plu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678회] (0) | 2022.01.10 |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677회] (0) | 2022.01.09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675회] (0) | 2022.01.06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674회] (0) | 2022.01.04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673회] (0) | 2022.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