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입 문법 3000 Plus2021. 2. 5. 11:34
728x90

[동영상 강의 유튜브 연우리 영어]  https://youtu.be/ARhCQcLC5Lw

[CT2-236]1215.  [명지대학교 2011]

다음 중 벼는 익을수록 머리를 숙인다.”와 가장 가까운 것은?

(A) You reap what you sow.                 (B) Don't blow your own horn.

(C) You are what you eat.                       (D) Even Homer sometimes nods.

[CT2-236]1215. [선행사 포함의 관계사]

정답 - B

[blow (or toot) (one's) own horn / trumpet]

자화자찬하다; 자기 자랑을 늘어놓다 : to boast or brag about one's own abilities, skills, success, achievements, etc.

I don't mean to blow my own horn, but this pasta sauce I made is quite delicious.

"자화자찬할 의도는 아니지만 내가 만든 이 파스타 소스 아주 맛있다."

Gary sure likes to toot his own horn. "게리는 정말 자기 자랑하는 거 좋아한다."

I hate people who are always blowing their own trumpet. "나는 항상 자기 자랑을 늘어놓는 사람들이 싫다."

A : 'what(= the thing(s) which)'은 'reap'의 목적어와 'sow'의 목적어 역할을 한다.

sow¹ [sou] [씨를] 뿌리다, [소문·싸움 등의] 씨를 뿌리다  : (O E sawan, Dutch zaalen) ['sow the seeds'의 연어로 기억하자.]

sow² [sau] : (성숙한) 암퇘지; (곰 등의) 암컷 :  (L sus, Gk hus, 'pig', Dutch zeug, O E sugu, German Sau)

saw [sɔː]  : 톱(질하다) ['see'의 과거형 'saw'와 동음]

sew [sou] : 바느질하다, 꿰매다  ['sewing machine'(미싱)으로 연상하자. 'sew'는 'sow'와 동음이의어. 'flower seeds(꽃씨)'와 'sow'를 기억하자.]

C : 'what'은 'are'의 보어와 'eat'의 목적어 역할을 동시에 한다.

[직역] [의역]

(A) 뿌린 것을 수확한다. 자기가 뿌린 씨는 자기가 거두어야 한다.

(B) 자기 자신의 나팔을 불지 마라. 잘난 척하지 마라.

(C) 당신은 당신이 먹은 것이다. 당신의 식생활이 당신을 만든다.

(D) 심지어 호머도 때론 존다. 원숭이도 나무에서 떨어질 때가 있다. [ㅎ a Korean, Japanese saying : Even monkeys can fall from the tree. 모국어 화자인 우리는 이해하지만 영미인들은 이해가 안 돼서 'y?'라고 물을 겁니다.]

 

[CT2-237]1216. [단국대학교 2004-1]

(A)[Try to] make no sound, he (B)[took out] the key of the door (C)[which had] not been opened (D)[for fifteen years].

[CT2-237]1216. [분사 구문]

정답 - A : [Try to]  [Trying to] : 원형이면 명령문이어서 주절과 연결되지 않는다. 내용상 동시 상황의 분사 구문이 합당하다.

[해석] 소리를 내지 않으려고 애쓰면서 15년 동안 열리지 않은 문의 열쇠를 꺼냈다.

[원전] 안톤 체홉의 The Bet : ~ It struck three o'clock, the banker listened; everyone was asleep in the house and nothing could be heard outside but the rustling of the chilled trees. Trying to make no noise, he took from a fireproof safe the key of the door which had not been opened for fifteen years, put on his overcoat, and went out of the house.

 

[CT2-238]1217. [홍익대학교 2004-1]

___________ bricks, workers press clay into blocks and bake them to the requisite hardness in a kiln.

(A) Made           (B) To make            (C) Being made           (D) The making of

[CT2-238]1217. [목적 의미 표시의 부정사]

정답 - B : 의미상 목적 표시의 부사적 용법으로 부정사를 써야 한다.

[해석] 벽돌을 만들기 위해서 벽돌공은 블록에 진흙을 눌러 넣은 후에 가마에서 요구되는 경도까지 굽는다.

 

[CT2-239]1218. [국민대학교 2007-1]

I wanted change and excitement and to shoot off in all directions like the colored arrows from a firecracker. [내가 가장 원하지 않았던 것은] was infinite security.

(A) The last thing I wanted                        (B) The thing I didn't want least

(C) The most thing I didn't want                  (D) The thing I didn't want mostly

[CT2-239]1218. [the last thing ~]

정답 - A : '내가 원했던 맨 마지막 것'이 직역이지만 '맨 마지막으로 원하는 것'은 '가장 원하지 않았던 것'과 같은 뜻이다.

B : 'least'는 긍정문에 사용되며 '가장 조금'의 뜻이므로 'The thing I least wanted'로 표현해야 한다. 부정문에서 사용되는 'not in the least'는 관계절에서 사용되지 않는다.

C : 속어가 아닌 한 'the most thing'이란 표현은 없다. 'the most' 뒤에 형용사가 나와야 한다. 'most things I wanted'는 '대부분의 것들'을 표현할 수는 있다.

D : 범위가 한정되지도 않은 상태에서 '(그것들) 대부분'(mostly)을 관계절 내에서 사용할 수 없다.

관계절이 부정문으로 사용되는 것은 제한이 많으며 'the last N ~'의 표현을 잘 기억하고 있어야 한다.

[the last thing somebody wants / expects / needs etc]

something that one does not want, expect etc at all

The last thing I want is to upset him. "내가 가정 원치 않는 것은 그를 화나게 하는 것이다."

The last thing I should have done was let her move into my house.

"내가 결코 하지 않았어야 했던 것은 그 여자를 집으로 들인 것이었다."

[해석] 나는 변화와 흥분을 원했고 폭죽에서 색색의 불꽃이 화살처럼 터져 나오듯이 모든 방향으로 튀어 나가길 원했다. 내가 가장 원하지 않았던 것은 무한한 안전이었다.

 

[CT2-240]1219.  [영남대학교 2004-2]

I met the man ________.

(A) whom you told me                      (B) you told me about

(C) about whom you told                   (D) you about me told

[CT2-240]1219. [관계절의 보류 전치사]

정답 - B : the man (that / whom) you told me about : 전치사가 뒤에 보류된 경우이다.

A : 뒤에 전치사가 보류되지 않아서 곤란하다.

C : 'tell'은 '~에 관하여 말하다'는 'tell 간접 목적어 about (or of) ~'에서도 거의 간접 목적어를 사용해야 한다.

[해석] 네가 내게 얘기했던 그 사람을 만났다.

 

[간접 목적어를 선행사로 하는 관계절 불가]

He is the man to whom I gave the money. [격식체]

She is the woman whom / who I gave the money to.

She is the woman (    ) I gave the money to. [비 격식체]

​전치사를 보류 시키는 것이 비격식체에서는 흔히 사용되며 관계사도 생략하는 것이 제일 흔하다.

The person I sent the book to has not acknowledged receiving it.

The person to whom I sent the book has not acknowledged receiving it.

?The person I sent Ø the book has not acknowledged receiving it.

"내가 책을 보냈던 사람은 책을 받은 것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

전치사를 보류시키거나 동반 이동한 'to whom'을 사용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간접 목적어를 선행사로 하는 것을 틀린 표현으로 의심을 받는다.

 

['tell'의 용법]

No one had told them about the drug's side effects. "어느 누구도 그들에게 그 약의 부작용에 대해 말하지 않았다."

I'll tell you all about it when I get back. "돌아와서 너희들에게 그것에 대해 말을 할게."

What do these fossils tell us about climate change?

"이 화석들은 기후 변화에 대해서 우리에게 무엇을 말하는가?"

She told about her travels overseas. "그녀는 해외여행에 대해 말했다."

드물게 'tell'이 자동사로 쓰인 경우이다.

*We know that what they are telling has already been said many times.

→ We know that what they are telling us has already been said many times.

"그들이 우리에게 말하는 것은 이미 여러 번 얘기된 바 있다."

간접 목적어가 사용되는 경우에 'tell'을 사용한다.

*As Rousseau told in his book, humans are good by nature, but society corrupts them.

→ As Rousseau said in his book, humans are good by nature, but society corrupts them.

"그의 책에서 루소가 말했듯이 인간은 본성은 착하나 사회가 인간들을 타락시킨다."

간접 목적어가 사용되지 않을 때는 'tell'을 대신해서 'say'를 사용한다.

He told *to journalists that he was innocent.

→ He told journalists that he was innocent. "그는 죄가 없다고 기자들에게 말했다."

'tell'은 4형식으로 전환해서 사용해야 한다. 전치사 'to'를 사용해서는 안 된다.

Sheppard was telling the truth. "셰퍼드는 사실을 말하고 있었다."

'tell a joke', 'tell a lie', 'tell a story', 'tell the time', 'tell the truth'는 바로 직접 목적어가 따를 수 있다.

Who puts women in the kitchen, or *says them to do the housework?

→ Who puts women in the kitchen, or tells them to do the housework?

"누가 여자들을 부엌에 두거나 여자들에게 집안일을 하라고 말하나?"

간접 목적어가 따르면 'say'를 쓰지 않고 'tell'을 사용해야 한다.

I could tell that things were not going well. "나는 상황이 잘 진행되지 않고 있음을 알았다."

'tell'이 알아차리다 '(to know ~ or be able to recognize ~)의 뜻이면 'that 절'이 바로 따를 수 있다.

'Tell me about it.'처럼 '직접 목적어'는 나오지 않을 수 있다.

 

[Tell me about it.]

Tell me about it. "털어놔" (= Spit it out.)

일반 명령문으로 오히려 드물게 쓰인다.

A : I just had a job interview.

B : Tell me about it. "얘기 좀 해봐."

'나는 모른다'라는 뜻이다.

Tell me about it. "나한테 말하는 겨?", "누가 아니래.", "내 말이."

'me'에 문장 강세(Sentence stress)를 줘서 말한다.

A : I hate exams.

B : Tell me about it. "너만 그려?", "나도 싫어.", "내 말이."

'모른다'라는 뜻이 전혀 아니다. 난 당연히 알고 있으며 주로 부정적인 동감을 나타낼 때 쓰인다.

= Don't tell me about it, because I know all about it already.

[이런 비꼬는 투의 반대 의미는 뉴욕 유대계의 'Yiddish'의 영향이라고도 한다.]

Now, you tell me. "퍽이나 일찍 말하네.", "이제야 말하네." (Why you didn't tell me before?)

'Now'에 문장 강세를 두고 강약 강약으로 말한다. 의미 중심도 'Now'가 차지한다. 약간은 비난조입니다.

Now you are talking. "이제야 제대로 말하네."

'Now'에 문장 강세 'you are'은 약으로 'talking'은 강으로 말한다.

You can say that again. "백 번 지당한 말씀."

맞장구치는 것으로 'Now, you tell me.'와는 전혀 다른 맥락에서 쓰입니다.

 

[CT2-241]1220. [경기대학교 2004-1]

Last night he ___________ in solitary confinement in Douglas Jail.

(A) holds            (B) held           (C) was held          (D) was being held

[CT2-241]1220. [능동과 수동]

정답 - C : 'hold(여기서는 과거형은 'held') 사람 in confinement'가 수동태로 바뀐 경우다.

D : 과거 진행 수동의 형태인데 진행형을 쓸 이유가 없다.

[해석] 어젯밤 그는 더글러스 감옥의 독방에 갇혀있었다.

Posted by 연우리
편입 문법 3000 Plus2021. 2. 5. 11:31
728x90

[동영상 강의 유튜브 연우리 영어]  https://youtu.be/iV0XG3utubc

[CT2-229]1208.  [아주대학교 2004-1]

(A)[It] is the way (B)[how] Susan draws pictures (C)[that] makes her (D)[unique].

[CT2-229]1208. [관계 부사 the way (that) ~]

정답 - B : [how]  [(that)] : 'the way *how'는 중복된 표현으로 피한다. 'the way (that)'을 사용한다.

A, C : 'It is ~ that ~' 강조 구문이다. 'makes' 'the way'에 일치시킨 것이다.

[해석] 수잔을 독특하게 만드는 것은 다름 아닌 그녀의 그림을 그리는 방식이다.

 

[CT2-230]1209. [영남대학교 2004-1]

What makes garlic smell so bad is precisely ________ makes it so healthful.

(A) they            (B) that            (C) what              (D) it

[CT2-230]1209. [선행사 포함의 관계사 : 보어와 주격 관계사]

정답 - C : 'is'의 보어이면서 'makes'의 주어일 수 있는 것은 선행사 포함의 관계사 'what'뿐이다.

[해석] 마늘이 고약한 냄새가 나게 하는 것은 바로 마늘을 건강에 좋게 만드는 것이다.

 

[CT2-231]1210. [울산대학교 2003-1]

The explosion was very loud and could ____________ from a long way off.

(A) hear              (C) heard            (C) be heard           (D) have heard

[CT2-231]1210. [지각 동사의 수동태]

정답 - C : 의미상 수동태여야 한다. 지각 동사와 쓰인 'could'는 별 의미가 없다.

[해석] 폭발은 매우 소리가 커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도 들렸다.

 

[CT2-232]1211. [건국대학교 2008-1]

(A)[That] patients want is to (B)[be treated] with respect and consideration, (C)[which] in my experience (D)[too few] hospitals and doctors (E)[bestow].

[CT2-232]1211. ['that'과 'what']

정답 - A : [That]  [What] : 'want'의 목적어 역할을 하는 관계사와 'is'의 주어 역할을 선행사가 필요하다. 따라서 선행사 포함의 관계사인 'What'이 쓰여야 한다.

C : 'which'는 'bestow'의 목적격 관계 대명사이고 선행사는 'respect and consideration'이다.

[해석] 환자들이 원하는 것을 존중하고 배려하면서 처리해 줘야 하는데 내 경험으로는 그렇게 하는 병원이나 의사가 너무나 드물다.

 

[CT2-233]1212. [경원대학교 2010]

Turbine engine (A)[has replaced] (B)[in most cases] by more (C)[economical] and efficient (D)[electric] motors.

[CT2-233]1212. [현재 완료 수동]

정답 - A : [has replaced]  [has been replaced] : 'by ~'가 있으므로 수동이어야 한다.

[해석] 터빈 엔진들은 대부분의 경우 더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전동기들로 대체되었다.

 

[CT2-234]1213. [성신여자대학교 2007-1]

(A)[Providing learners] with feedback, negative evidence (B)[what they] can use to correct their misapprehensions about some (C)[aspect of] the target language, is an essential function of (D)[language teaching].

[CT2-234]1213. ['what'과 'which']

정답 - B : [what they]  [which they] : 선행사(negative evidence)가 있으므로 선행사 포함의 관계사를 사용하면 안 된다. 'use'의 목적어 역할을 하는 관계 대명사 'which'만 쓰면 된다.

[해석] 학습자들에게 피드백, 즉 목표 언어의 어떤 점에 관하여 잘못 이해하고 있는 것들을 시정하기 위해서 이용할 수 있는 부정적인 증거들을 제공하는 것이 언어학습의 필수적인 기능이다.

 

[CT2-235]1214. [총신대학교 2005-1]

Over the years, many arguments (A)[have put] forward for (B)[legalizing] euthanasia, but people are afraid that this might (C)[give rise to] murder, (D)[unless] there were very strict safeguards.

[CT2-235]1214. [현재 완료 수동]

정답 - A : [have put]  [have been put] : 'put'은 타동사이고 뒤에 목적어가 없으므로 수동태가 되어야 한다.

put an argument toward : 논쟁을 제기하다

D  if there weren't very strict safeguards

[해석] 오랜 세월에 걸쳐서 안락사를 합법화하는 것과 관련된 많은 논쟁들이 제기되었지만 만일 매우 엄격한 안전판이 없다면 살인을 초래할 수도 있다고 사람들은 두려워하고 있다.

​['unless' 용법]

'unless'는 원래 'on + less'에서 'upon'과 'un-(not)'의 혼동으로 생긴 단어인데 부정의 의미는 'less(e)'가 나타낸다. 과거 시간이나 현재 시간이나 미래 시간을 언급할 때 다 사용할 수 있다.

I'll be there at nine, unless the train is late. [조건 부사절의 현재 시제는 미래 언급]

"9시에 거기 도착할 거야. 만일 기차가 늦지 않으면."

You will damage your health unless you stop smoking. (= You will damage your health if you do not stop smoking.)

"금연하기 않으면 건강을 해치게 될 거다."

I can't help you unless you tell me what's wrong. ( = ~ if you don't tell me what's wrong.)

"뭐가 문제인지 내게 말하지 않으면 난 널 도와줄 수가 없어."

Unless you are trying to lose weight to please yourself, it's hard to stay motivated. [일반 현재 언급]

"스스로의 기쁨을 위해 살을 빼려는 것이 아닐 경우엔 의지를 유지하기 어렵다." (전에도, 지금도, 앞으로도)

Unless she was working, she would be here. (= If she was not working, she would be here.) [직설법 과거 조건]

"그녀는 일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여기 있곤 했다." (과거 언급)

Unless he was very ill, he would be at work. (= If he wasn't very ill, he would be at work.) [직설법 과거 조건]

"심하게 아프지 않았을 경우엔 직장에 가 있었다." (과거 언급)

They would have shot her unless she'd given them the money. (= They would have shot her if she hadn't given them the money.) [가정법 과거 완료] (과거 언급)

"그들은 그녀를 쏴죽였을 것이었다. 그녀가 그들에게 돈을 주지 않았더라면."

옛날 얘기인데 뻥이므로 과거를 두 번 넣어서 'had pp'를 사용한 것이 '가정법 과거 완료'이다. 이 경우 'if ~ not ~'을 대신하여 'unless'를 사용할 수 있다. 즉 'unless 가정법 과거 완료'는 가능한 표현이다.

I would not have phoned him if you hadn't suggested it. > I would not have phoned him unless you'd suggested it.

"당신이 제안하지 않았더라면 나는 그에게 전화하지 않았을 것이다."

가정법 과거 완료의 경우 'unless'보다는 'if ~ not ~'이 선호된다.

If you weren't in such a hurry (but you are), your work would be much better. [가정법 과거]

"네가 그렇게 서두르지 않으면 (서둘러서 그렇지) 네 일은 훨씬 좋아질 텐데."

'가정법 과거'가 현재 언급의 조건절과 미래 언급의 귀결절에 사용되고 있다.

Your work would be much better *unless you were in such a hurry.

★★가정법 과거의 경우에는 'unless'를 사용하지 못한다. 필히 'if ~ not ~'을 사용해야만 한다.

[원본]

Over the years, many arguments have been put forward for legalizing euthanasia, but people are afraid that this might give rise to murder, *unless there were very strict safeguards.

베트남 신문의 일부분을 영어로 번역해 놓은 데서 나온 실수이다. 'unless' 뒤에 가정법 과거를 사용한 잘못된 영어 번역이다.

 

Posted by 연우리
편입 문법 3000 Plus2021. 2. 5. 11:29
728x90

[동영상 강의 유튜브 연우리 영어]  https://youtu.be/DGSkkDpar2E

[CT2-222]1201. [총신대학교 2005-2]

Mr. Kim asked us to fill out the forms in the same way ________ we had done before.

(A) with             (B) as              (C) to            (D) like

[CT2-222]1201. ['the same as ~']

정답 - B : 'the same way as ~'로 짝을 이뤄야 한다.

[해석] Mr. Kim은 우리가 전에 했었던 것과 같은 방식으로 서류를 작성하라고 우리에게 요구했다.

 

[CT2-223]1202. [고려대학교 2002-2]

The Smithsonian Institution preserves more than sixty-five million items of scientific, historical, or artistic interest, __________ winning the popular title, "attic of the nation".

(A) and           (B) thus           (C) however             (D) moreover

[CT2-223]1202. [분사 구문과 접속 부사]

정답 - B : 의미상 'and thus wins ~'가 적합한데 'and'를 삭제하면 'wins'는 능동이므로 현재 분사로 바뀐다.

C : 'however winning ~'를 양보 부사 절로 보고 뒤에 'may be'가 생략된 형태로 보는 것은 의미상 곤란하다.

[해석] 스미스소니언 연구소는 과학적, 역사적 또는 예술적으로 중요한 6천5백만 개 이상의 물건들을 보관하고 있으며 그래서 "국가의 다락방"이라는 유명한 칭호를 얻는다.

 

[CT2-224]1203. [서강대학교 2008-1]

Find the correct forms of verbs to complete the following sentence.

"Many thousands of years ago, a man quietly (rest) on a log (reach) down and (pick) up a stick and with it (begin) (scratch) upon the sand at his feet."

(A) resting, reached, picked, began, scratched

(B) resting, reached, picked, began, scratching

(C) rested, reaching, picking, began, scratching

(D) rested, reaching, picking, beginning, scratching

[CT2-224]1203. [과거의 병치와 후치 수식]

정답 - B : 'a man (who was resting on a log) {[reached down] and [picked up a stick]} and {(with it) began ~ }'의 구조로 병치되어야 한다. 'who was resting ~'에서 'who'를 삭제하면 'was'도 삭제하고 'resting'만 쓴다. 'began'은 동명사도 목적어로 취할 수 있다.

[해석] 수천 년 전에 통나무 위에 앉아 쉬고 있던 한 사람이 손을 아래로 뻗어 (마른) 나뭇가지를 집어서 그걸로 자기 발밑의 모래 위를 긁기 시작했.

 

[CT2-225]1204. [세종대학교 2006-1]

What we have to do ______________ a well-qualified candidate whose credentials are not going to be questioned.

(A) to prove we can put up                       (B) is to prove we can put up

(C) are prove we can put up                      (D) proves our putting up

[CT2-225]1204. [유사 강조 구문]

정답 - B : 'We have to prove we can put up ~.'의 문장을 선행사 포함의 관계사와 'be 동사'를 이용해 강조할 수 있다. 'prove'를 '대동사 do'과 부정사 'to prove'로 두 번 써서 강조한다. 그러면 'What we have to do' 'to prove we can put up ~'의 두 개의 명사에 해당되는 부분이 만들어진다. 이것을 'be 동사'로 연결하면 된다.

[해석] 우리가 해야만 하는 것은 자격증이 의심받지 않을 충분한 자격이 있는 후보를 우리가 내세울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다.

 

[CT2-226]1205. [중앙대학교 2003-1]

Select one which is NOT acceptable for standard written English.

(A) All I did was turn off the gas.

(B) I can't lock this key in the socket.

(C) The girl seems to be jealous of every one of her friends.

(D) Peter's mother has fallen ill, but she has been much better now.

[CT2-226]1205. [현재 시제 + 기타]

정답 - D : [has been]  [is] : 건강 상태가 나아진 것은 완료의 계속적 용법으로는 곤란하고 지금 나아진 상태이므로 현재 시제를 써야 한다.

[해석] 피터의 어머니는 병에 걸렸지만 지금은 훨씬 낫다.

A : = All I did was to turn off the gas. = I only turned off the gas.

[해석] 내가 한 거라곤 가스를 잠근 것뿐이다.

B [해석] 나는 이 열쇠를 꽂는 구멍에 끼울 수가 없다.

C [해석] 이 여자애는 자신의 친구들 모두를 질투하는 것 같다.

 

[CT2-227]1206. [동국대학교 2007-1]

Chain reactions __________ thermal or fast neutrons can be controlled in a reactor.

(A) include            (B) included               (C) including            (D) are included

[CT2-227]1206. [후치 수식의 능동과 수동]

정답 - C : 'Chain reactions which include'에서 'which'를 삭제하면 능동이므로 'include'는 'including'으로 바뀐다. A는 그냥 'which'만 삭제한 것이다.

[해석] 열중성자 또는 고속중성자를 포함하는 연쇄반응은 반응로에서 통제 가능하다.

 

[CT2-228]1207. [경기대학교 2006-1]

A manifest (A)[is] an (B)[itemizing] list (C)[of the goods] or passengers a vessel is (D)[carrying].

[CT2-228]1207. [전치 수식의 능동과 수동]

정답 - B : [itemizing]  [itemized] : itemize : 항목별로 나누다 : 'list'는 항목별로 나눠지는 것이므로 수동 의미의 과거 분사로 수식해야 한다.

[해석] 적하목록은 배에 실린 상품들이나 배에 탄 승객들에 대한 항목별로 나눠놓은 리스트다.

 

Posted by 연우리
편입 문법 3000 Plus2021. 2. 5. 11:27
728x90

[동영상 강의 유튜브 연우리 영어]  https://youtu.be/t1tXKk5Zc_4

[CT2-216]1195. [홍익대학교 2007-1]

Popping (A)[a pill or two] can help (B)[to alleviate] the symptoms, but safe, specialized drugs (C)[designing] to suppress migraines (D)[do] not exist.

[CT2-216]1195. [후치 수식의 능동과 수동]

정답 - C : [designing]  [designed] : 약은 만들어진 것이므로 'designed'를 써야 한다. 'safe, specialized drugs [(which are) designed to suppress migraines] do not exist'의 구조이다.

migranine [máigrein] : 편두통  : (Gk hemi- : half + kranion : skull)  ['mi-'를 'hemi-'로 기억한다.]

[해석] 알약 한두 개를 먹는 것이 증세를 완화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도 있지만 편두통을 멈추게 하도록 만들어진 안전하고 특별한 약은 존재하지 않는다.

 

[CT2-217]1196. [계명대학교 2004-1]

Architecture is a profession ________ has always interested me.

(A) which                 (B) in which                 (C) who               (D) whose

[CT2-217]1196. [관계사의 선택]

정답 - A : 'has'의 주어가 필요하고 선행사가 사람이 아니므로 'which'가 맞다.

[해석] 건축은 항상 내 관심을 끌어왔던 직업이다.

 

[CT2-218]1197. [서울여자대학교 2009]

In a recession, (A)[consumption of] just (B)[about all commodities] goes down, but (C)[so do] energy prices, (D)[that] discourages the development of alternative energies.

[CT2-218]1197. [계속적 용법 불가한 'that']

정답 - D : [that]  [which] : 계속적 용법인 경우 'that'을 사용할 수 없다. 'which'를 써야 하고 'which' 앞 절 전체를 받는 것이어서 단수형인 'discourages'를 쓰고 있다.

B : just about = almost

C : '에너지 가격도 마찬가지다' : 'prices'가 복수형이므로 'do'를 쓴 것이 맞다.

[해석] 불경기에는 거의 모든 일상품들의 소비가 떨어지지만 에너지 가격도 떨어지게 되고 이는 대체 에너지의 개발을 단념하게 한다.

 

[CT2-219]1198.  [명지대학교 2007-1]

Compromise is essential to negotiations, ___________ it allows both parties to give and take.

(A) insofar as               (B) because that               (C) at which              (D) of that

[CT2-219]1198. [관계사 앞의 전치사 : 선행사 결정형]

정답 - C : 선행사 'negotiations'를 보고 'at the negotiations' , 'at which'로 빠르게 생각해낸다.

B : 'because' 다음에 'that'을 삭제하면 가능하다.

D : 전치사 다음에 '관계사 that' 사용할 수 없다.

A : 'insofar as ~(~하는 한에 있어서는)'로는 뜻이 통하지 않는다.

[해석] 타협은 협상에 필수적이다. 협상에서 타협은 양당사자들에게 주고받기를 가능하게 해주기 때문이다.

 

[CT2-220]1199.  [세종대학교 2010]

In a general sense, of course, old age had always been a social problem, ___________ institutional remedies were invented as early as the fifth century.

(A) in which                  (B) for which              (C) in that              (D) for what

[CT2-220]1199. [관계사 앞 전치사]

정답 - B : remedy for ~ : ~에 대한 해결책 : a solution to a particular problem

'remedies'가 있으므로 전치사는 'for'를 써야 한다.   remedies for the problem

C : 'in which' 대신 'in that'을 쓸 수는 없고 복합 접속사로서 '~라는 점에서'의 뜻인데 '제도적인 해결책이 일찍이 5세기에 만들어졌다는 점에서'로는 의미상 연결이 되지 않는다.

D : 동반 이동한 '전치사 + which'에서 'which'를 'what'으로 쓸 수는 없다.

[해석] 물론 일반적인 의미에서는 노년은 항상 사회적 문제였고 이에 대한 제도적 해결책들이 일찍이 5세기에 만들어졌다.

 

[CT2-221]1200. [홍익대학교 2012]

Inspired by organic forms he often employed them in his buildings — most notably, in New York's Guggenheim Museum, the interior of _________ is one smooth giant ramp that _________ like a snail's shell.

(A) which  crawls                (B) which  swirls

(C) what  swirls                  (D) what  crawls

[CT2-221]1200. [관계사의 선택과 동사의 의미상의 선택]

정답 - B : 박물관을 받는 관계사이므로 'which'를 쓰는 것이 맞다. the interior of which = of which the interior; 달팽이의 껍데기와 같은 것이므로 '빙빙 돌다'는 'swirl'이 적합하다. 껍질은 능동적인 행위를 할 수 없으므로 'crawl'은 적합하지 않다.

[어휘] organic : [건축] 유기적 건축의; 유기적인, 조직적인; [화학] 유기(화학); 기관(器官), 장기(臟器); 유기 농법의

notably : 특히; 현저히, 명백히, 두드러지게

interior [intíəriər] : [건축] 인테리어, 실내; [] 내부; 오지

ramp : (높이가 다른 두 면을 잇는) 사면; (일반적으로) 경사로, 비탈길

swirl [swəːrl] : 빙빙 돌다, 소용돌이치다; 현기증이 나다, 어질어질하다

crawl [krɔːl] : [사람·벌레 등이] 기어가다, 기다; [식물이] 땅 위를 뻗어가다; [시간·타는 것·일 등이] 서행하다, 천천히 가다; 굽실거리다; 우글우글하다

smooth : [길 등이] 평탄한, 울퉁불퉁하지 않은, 반반한

[해석] 유기적 건축 형태들에 고무되어 그는 종종 건물들을 만들 때 그런 형태들을 사용했고 가장 두드러진 경우는 뉴욕의 구겐하임 박물관인데 이곳의 내부는 달팽이의 껍데기처럼 빙빙 돌아가는 평탄한 대형의 경사로로 되어 있다.

 

Posted by 연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