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간태'에 해당되는 글 2건

  1. 2021.01.25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186회]
  2. 2021.01.15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132회]
편입 문법 3000 Plus2021. 1. 25. 22:36
728x90

[동영상 강의 유튜브 연우리 영어]  https://youtu.be/iCeIxIsUb3E

[PT28-2]0961. (=0525.) [삼육대학교 2007-1]

(A)[When we entering] Tokyo proper, (B)[we drove] right (C)[through a tunnel] that (D)[opened into] the Royal Gardens.

[PT28-2]0961. [부사절과 접속사 분사 구문 + 중간태]

정답 - A : [When we entering]  [When entering] or [When we entered] : 주격의 주어(we)가 나온 이상 정동사가 따라야 한다. 'entering'은 현재 분사로 준동사이다.

D : 'opened'는 출구가 어느 쪽이라는 자동사로 수동과 무관하다.

proper : (보통 명사 뒤에서) 엄밀한 의미에서의, 진정한    right : 바로

[해석] 원래의 도쿄에 들어갈 때 우리는 바로 왕실 정원으로 통하는 터널을 통해 들어갔다.

 

[PT28-3]0962. [광운대학교 2008-1]

다음 문장 중에서 어법상 가장 어색한 것을 고르시오.

(A) The window broke yesterday.

(B) The incident occurred before anyone knew about it.

(C) The accident was happened last night.

(D) A snowy winter was forecast this year.

[PT28-3]0962. [수동태 불가능한 동사 + 중간태]

정답 - C : [was happened] [happened] : 자동사인 'happen'은 수동태가 없다.

[해석] 그 사건은 어젯밤에 일어났다.

A : 'broke'는 중간태로 쓰이고 있다. [해석] 창문은 어제 깨졌다.

B [해석] 그 사고는 졸지에 일어났다.

D [해석] 올해는 겨울에 눈이 많을 것으로 예측되었다.

 

[PT28-4]0963. ⋆⋆ [대구대학교 2009]

Rich in salts and other minerals, and often (A)[cover with] a white, salty crust, the shallow pans (B)[fill with] water only during (C)[the rainy season], when millions of tiny shrimps hatch from eggs (D)[buried] in the white, salty mud.

[PT28-4]0963. [분리된 전치 수식 + 중간태]

정답 - A : [cover with]  [covered with] : 'the shallow pans, [rich in salts and other minerals, and often covered with a white, salty crust], fill with ~'에서 'rich ~ crust'를 주어 앞으로 옮긴 분리된 전치 수식이다.

B : 'S fill with A'는 중간태로 쓰인 경우이다. 변화의 발생이 물리적 법칙에 따른 것이므로 중간태를 쓰는 것이 적합하다. 'fill A with B'는 능동이고 'A is filled with B'는 수동태이다.

[해석] 소금과 다른 광물질이 풍부하고 흰색의 소금기 있는 표면으로 덮여있는 접시 모양의 움푹한 땅에는 우기에만 물이 차는데 이때는 수백만 마리의 작은 새우들이 흰색의 소금기 진흙 속에 묻혀 있던 알로부터 부화한다.

 

[PT28-5]0964. ⋆⋆ [고려대학교 2005-1]

The grain is stored in (A)[a terra-cotta] pot and (B)[age] to mellow its flavors; (C)[more] ingredients are added (D)[as needed], but the pot is never emptied or cleaned.

[PT28-5]0964. [중간 동사]

B : [age]  [aged] : 중간 동사지만 저장시켜 숙성시키는 것이므로 'is {[stored ~] and [aged ~]}'로 수동태가 병치되어야 한다. 능동이라도 주어가 'grain'이므로 최소한 'ages'가 되어야 한다.

C : 'more'는 'additional'의 뜻으로 '뒤의 as'와 무관하다.

D : as needed = as they are needed(필요할 때) : 접속사 분사 구문이다. 'more ingredients are added than needed'로 고치면 '필요한 것보다 더 많은 성분들이 첨가된다'라는 약간 이상한 뜻이 될 뿐이다.

[해석] 곡물은 테라코타 단지에 저장해서 원숙한 맛을 내도록 숙성시킨다. 필요할 때는 재료를 추가적으로 넣지만 단지는 비우거나 청소하는 법이 없다.

 

[PT28-6]0965. ⋆⋆ [명지대학교 2011]

다음 중 어법상 적절하지 못한 것은?

(A) It is strange that the idea should have general currency.

(B) Your boy will turn to other boys to be stolen to get what he wants.

(C) At the forthcoming election, restrictions on advertising will apply.

(D) Therefore, English is not really used much by students in my country.

[PT28-6]0965. [능동과 수동과 중간태]

정답 - B : [to be stolen]  [who steal] : 수동형 부정사인 'to be stolen' 'other boys'를 수식할 수 없다. 성질, 성격을 표시하는 것이므로 관계사를 쓰는 것이 적합하다. 뒤의 'he'도 'they'를 쓰는 것이 더 나을 것 같다.

[해석] 당신의 남자애는 원하는 게 있으면 훔치는 다른 남자애들에게 가게 될 거다.

A : 'strange' 뒤에 나온 'should'는 '감정의 should'.

[해석] 그런 생각이 일반적으로 용인되는 것은 이상하다.

C : 'apply'는 중간 동사로 '적용되다'의 뜻으로 쓰일 수 있다.

Apple app restrictions will apply to e-books. (적용되다 : 중간 동사)  

"애플의 앱 규제들은 이 북들에게도 적용된다."

Britain has already said it will apply restrictions to Bulgarians and Romanians. (능동)

"영국은 불가리아 사람들과 루마니아 사람들에게 제한을 적용하겠다고 이미 말한 바 있다."

The restrictions will be applied to groups 1 and 2. (수동) "제한들은 1과 2 집단에게 적용될 겁니다."

[해석] 다가오는 선거에서 광고에 대한 규제가 적용될 것이다.

D [해석] 따라서 영어는 우리나라에서는 학생들에 의해 실제로 자주 쓰이지는 않습니다.

[참고 문헌] "What Is Poverty?" Jo Goodwin Parker

Poverty is looking into a black future. Your children won't play with my boys. They will turn to other boys who steal to get what they want. I can already see them behind the bars of their prison instead of behind the bars of my poverty. Or they will turn to the freedom of alcohol or drugs, and find themselves enslaved. And my daughter? At best, there is for her a life like mine.

Posted by 연우리
편입 문법 3000 Plus2021. 1. 15. 04:45
728x90

[동영상 강의 유튜브 연우리 영어]  https://youtu.be/94aN-0MKMEc

[ET20-2-3]0724. [서울여자대학교 2011]

Timothy J. McVeigh was convicted of bombing a federal office building in Oklahoma city, ____________ the deaths of 168 people.

(A) causing             (B) and caused              (C) it caused             (D) which it caused

[ET20-2-3]0724. [분사의 비제한 후치 수식]

정답 - A : 선행사가 'bombing ~ city'이므로 관계절로 바꾸면 'bombing ~, which caused ~'인데 여기서 'which'를 삭제하면 정동사인 'caused'는 능동인 현재 분사인 'causing'으로 바뀐다.

B : {[was convicted ~], and [caused ~]}로 등위 되어야 하는데 맥베이는 의미상 'caused'의 주어가 될 수 없다.

C : 두 개의 절이 연결될 수 없다.

D : 'which'는 주격 관계사인데 다시 주어 자리에 'it'가 있을 수 없다.

[해석] 티모시 J. 맥베이는 오클라호마 시 연방 사무소 건물을 폭파시킨 혐의로 기소되었는데 이 폭파는 168명의 사망을 야기했다.

 

[핵심 문법] 분사와 부정사의 비제한 후치 수식

The girl, peeling the onion, smiled shyly.

→ The girl, who was peeling the onion, smiled shyly.

“그 여자아이는 양파를 까고 있었는데 수줍은 듯 미소를 지었다.”

관계절이 'comma' 다음에 나왔을 때 이를 비제한적(계속적) 용법이라고 하는데 이 관계절이 분사로 전환되면 'comma' 다음에 분사가 나타나게 되는데 이를 ‘분사의 비제한 후치 수식 용법’이라 한다.

My father, being fond of swimming, goes to the seaside every summer.

→ My father, who is fond of swimming, goes to the seaside every summer.

비제한 관계절이 의미상으로 ‘이유’를 살려서 해석해야 할 경우가 있듯이 비제한 후치 수식 분사도 마찬가지로 ‘이유’를 살려서 해석해야 할 경우가 있다. 그래서 ‘저희 아버지는 수영을 좋아하셔서 여름마다 바닷가에 가신다.’로 해석하는 것이 보통이다. 하지만 'comma'를 무시하고 ‘수영을 좋아하시는 저희 아버지는 여름마다 바닷가에 가신다.’로 전치 수식 분사처럼 해석해도 무방하다.

 Being fond of swimming, my father goes to the seaside every summer.

이처럼 위치가 앞에 오게 되면 분사 구문이므로 ‘이유’를 살려서 ‘수영을 좋아하시기 때문에 저희 아버지는 여름마다 바닷가에 가신다.’로 해석하는 것이 보통이다. 하지만 이 분사가 ‘my father’를 앞에서 꾸미는 것처럼 ‘수영을 좋아하시는 저희 아버지는 여름마다 바닷가에 가신다.’로 해석해도 무방하다.

Vitamin C, discovered in 1932, was the first vitamin for which the molecular structure was established.

→ Vitamin C, which was discovered in 1932, was the first vitamin for which the molecular structure was established.

비제한 관계절이 의미상으로 ‘양보’를 살려서 해석해야 할 경우가 있듯이 비제한 후치 수식 분사도 마찬가지로 ‘양보’를 살려서 해석해야 할 경우가 있다. 그래서 ‘비타민 C는 1932년에 발견되기는 했지만 분자구조가 확립되기론 첫 번째 비타민이었다.’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 Vitamin C, though discovered in 1932, was the first ...

 Though discovered in 1932, Vitamin C was the first ...

같은 위치에 있더라도 ‘양보’임을 분명히 하기 위해서 접'속사 though'가 쓰이면 절 중간에 삽입된 분사 구문이 되고 앞에 위치한 분사 구문에 비하여 'comma' 뒤에 나온다는 점에서 ‘동격적 위치’에 있다고 한다. 그리고 앞쪽에 위치한 분사 구문이 ‘양보’의 의미를 더 강하게 부각시키고 있는 문장이라는 의미 차이가 생긴다.

The apple tree, swaying gently in the breeze, was a reminder of old times.

→ The apple tree, which was swaying in the breeze, was a reminder of old times.

“그 사과나무는 미풍에 부드럽게 흔들리고 있었는데 옛 시절을 생각나게 했다.”

현재 분사가 비제한 후치 수식으로 쓰이고 있는데 시점 동시적인 의미가 잘 나타나고 있다.

The substance, discovered almost by accident, has revolutionized medicine.

→ The substance, which was discovered almost by accident, has revolutionized medicine.

과거 분사가 비제한 후치 수식으로 쓰이고 있는데 시점 이전적인 의미가 잘 나타나고 있다.

This scholar, to be found daily in the British Museum, has devoted his life to the history of science.

이 학자는 영국 박물관에서 매일 볼 수 있는데 과학사 연구에 생을 바쳐왔다.”

This scholar, who(주격 관계사) can be found daily in the British Museum, has devoted his life to the history of science.

이처럼 ‘미래’나 ‘가능성’의 의미가 있을 때 시점 이후적인 부정사도 드물게 비제한 후치 수식으로 쓰이기는 하지만 이런 경우에는 부정사도 분사처럼 주격 관계사로 전환되는 것만 비제한 후치 수식이 가능하다.

This scholar, *to find daily in the British Museum, has devoted his life to the history of science.

→ This scholar, who(목적격 관계사) we can find in the British Museum, has devoted his life to the history of science.

★목적격 관계사로 전환되는 부정사는 비제한 후치 수식을 할 수 없다.

The siren sounded, indicating that the civil defense exercise was over.

 The siren sounded, which indicated that the civil defense exercise was over.

“사이렌이 울렸고 그것은 민방위 훈련이 끝났음을 의미했다.”

여기서 관계사 'which'는 앞 문장 전체를 받는다. 이와 마찬가지로 분사도 앞 문장 전체를 대상으로 비제한 후치 수식하는 것이 가능하다. 의미상 'indicating'은 분사 구문이 아니다.

Mary presented Tom with a tie, meaning that she wanted to marry him.

"메리가 톰에게 넥타이를 선물했는데 그건 그녀가 그와 결혼하기를 원했다는 뜻이었다."

 Mary presented Tom with a tie, which meant that she wanted to marry him.

 

 

[ET20-3-1]0725. ⋆ [광운대학교 2003-2]

Dialect (A)[differences] tend to (B)[be increased] (C)[proportionally] (D)[to] the degree of communicative isolation between the groups.

[ET20-3-1]0725. [중간태]

정답 - B : [be increased] → [increase] : 'increase'는 타동사일 때 수동태가 가능하지만 지금의 경우 의미상 현상으로 증가하는 것이므로 수동태가 아니라 중간태를 써야 한다.

[해석] 방언의 차이는 집단 간의 소통이 고립되는 정도에 비례해서 증가되는 경향이 있다.

 

[핵심 문법] 중간태

1) 중간태의 성격

Her high C shattered the glass. (능동태)

The glass was shattered by her high C. (수동태)

The glass shattered. (middle voice : 중간태)

능동태의 목적어를 자동사의 주어로 쓸 수 있는 동사를 ‘상태 변화 동사(change-of-state verbs)’ ‘능격 동사(ergatives)’ 또는 ‘중간 동사(middle verbs)’라고 칭한다.

The window was broken. (수동태)

The window was broken by the gang. (행위자 표시 가능)

The window broke. (중간태 : 능격동사)

*The window broke by the gang. (중간태의 경우 행위자를 표시할 수 없다.)

2) 중간 동사

middle verbs : increase, decrease; close, open; develop, grow, change; begin, end, finish, start, stops; age, slow ; bend, break, burst, drop, sink, spread; dry, cool, melt, empty, evaporate, condense; tear, cut, wash, peel, and others.

Markets for such high-priced products develop slowly. (중간태) "그런 고가품들의 시장은 서서히 형성된다."

The area is working to develop its tourist industry. (능동태) "그 지역은 관광 산업을 개발하려 애쓰고 있다."

The market was developed as quickly and efficiently as possible. (수동태)

"시장은 가능한 한 빠르게 효율적으로 개발되었다."

A : Do you think the bridge construction will ever get started? "다리 건설은 시작될 거라고 생각하니?"

B : It   *is planning / is planned    to begin this summer. "여름에 시작하기로 계획되어 있어."

수동태가 쓰여야 한다. 'plan'은 중간 동사로 쓰이지 않는다.

3) 중간태의 의미상의 용법

① 성질, 속성을 표시하는 경우

Glass breaks easily.  "유리는 쉽게 깨어진다."

This metal cuts easily. "이 금속은 쉽게 잘린다."

This kind of shirt cleans easily. "이런 종류의 셔츠는 쉽게 세탁된다."

Linen wrinkles easily but also irons easily. "리넨은 쉽게 구겨지지만 또한 쉽게 다릴 수도 있다."

These potatoes don't peel easily. "이런 감자들은 껍질 까기가 쉽지 않다."

Ripe apples peel easily. "잘 익은 사과는 쉽게 까진다."

Navel oranges peel easily / *are peeled easily if you insert your finger into the opening and pull back the peel.

"배꼽 오렌지는 손가락을 뚜껑 부분 속으로 넣어서 껍데기를 뒤로 댕기면 쉽게 까진다."

성질을 묘사하는 경우로 중간태를 사용한다.

The pen my mother bought for me writes smoothly. "어머니가 나에게 사준 펜은 부드럽게 써진다."

A : Why do you like that pen so much? "왜 그 펜을 그렇게 많이 좋아하냐?"

B : It writes / *is writing smoothly. "그건 부드럽게 써지거든."

Your essays read well. (= Your essays are quite readable.) "네 에세이들은 읽기가 좋네."

This liquor drinks well. (= This liquor is quite drinkable.) "이 술은 마시기 좋네."

A : Will the car start?  "차 시동 걸려?"

B : No. (= No, the car will not start.)  "아니." (아니, 시동 안 걸려.)

Books for students sell well. "학생 서적은 잘 팔린다."

cf. The books are all sold out. (일시적 상태) "그 책들은 다 팔린 상태야."

A : Which item should we put on display on the counter?  "어느 품목을 카운터 위에 전시해야 할까?"

B : The MCM diet bar. It *is sold / sells well these days. "MCM 다이어트 바. 요즘 그거 잘 팔려."

성질, 속성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중간 동사인 'sells'를 사용한다.

② 내재된 성질 / 의인화된 고집

A : Do you think this car will start / *is starting? "이 차 시동 걸릴 거로 생각해?"

B : I don't think so. "그렇지 않을 거야,"

사물의 내재된 성질을 나타내는 'will'을 사용한다. 변화되고 있는 상태가 아니므로 'is starting'은 곤란하다. 물론 예정을 나타내는 것도 아니다.

A : Is something the matter?  "뭔가 문제야?"

B : Well, the safe won't open. "음, 금고가 안 열려."

사물의 의인화된 고집으로서의 성질을 "won't"로 나타내고 있다.

The door won't shut.  "문이 닫히지 않네."

A : What's wrong? "뭐가 문제야?"

B : This DVD won't play.  "이 DVD는 켜지질 않네."

③ 진행형으로 변화 상태를 표시

The cake is baking. “케이크가 구어지고 있다.”

cf. I'm baking a cake. (능동태) "나는 케이크를 굽고 있어."

The cake is being baked by her friends. (수동태) "케이크는 친구들에 의해서 구어지고 있는 중이야."

A : Something smells good! What's cooking?  "뭐야, 냄새 좋은데! 뭐 요리 중이야?"

B : I thought I would whip up something special for our anniversary. 

"우리 기념일을 위해서 특별한 뭔가를 잽싸게 만들려고 생각했지."

A : Do you want to see The Others today?  "오늘 디 아더스 보기 원하니?"

B : Where is it playing? "어디서 상영되고 있는데."

중간태로 현재 공연되고 있는 것을 진행으로 표현한다.

The house is building. cf. 요즘은 'The house is under construction.'을 사용한다.

A : Didn't you try them on before you bought them?  "사기 전에 왜 안 입어 본 거야?"

B : No. I didn't have time. The store *was closed / was closing.  "시간이 없었어. 가게가 닫히고 있어서."

'was closing'은 중간태로 '닫히고 있어서' 입어 볼 시간이 없었던 것과 잘 연결된다.

'was closed'는 상태 수동태로 이미 닫힌 상황이면 들어갈 수도 나올 수도 없어서 곤란하다.

4) 중간태가 선호되는 경우

① 상태의 변화에 'focus'를 두는 경우

The bank closes at 5 p.m.  "은행은 오후 5시에 닫는다."

② 미스터리와 긴장감을 조성하고자 할 때

We were sitting quietly after dinner, when suddenly the door opened.

"우린 저녁 후에 조용히 앉아 있었는데 그때 갑자기 문이 열렸다."

After leaping from the airplane, he must free-fall for ten seconds before opening the parachutes. Once the chute opens, it drastically slows his descent and permits a safe landing.

"비행기에서 점프한 후에 그는 10 초 동안 자유 낙하를 해야만 하고 뒤이어 낙하산을 펼쳤다. 일단 낙하산이 펼쳐지자 낙하산이 그의 하강 속도를 급격하게 낮추었고 안전한 착륙이 가능하게 한다."

③ 주어가 깨지기 쉽거나 녹기 쉽거나 등등으로 불안정한 상태에 있음을 나타내고자 할 때

Left hanging on the fence, the red balloon suddenly burst.

"펜스에 매달린 채로 놔두자 빨강 풍선들은 갑자기 터져버렸다."

④ 변화의 발생이 물리적, 사회적, 심리적 법칙에 따른 것일 때

The ice on the pond melted earlier than usual. "연못 위의 얼음은 보통 때보다 더 일찍 녹았다."

⑤ 상태 변화의 원인이 하나가 아니고 다양한 것일 때

Prices increased due to a variety of factors.  "물가는 다양한 요소들 때문에 증가했다."

 

Posted by 연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