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입 문법 3000 Plus2021. 12. 22. 13:22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K-YwigeAj4

[PT75-5]3237. [아주대학교 2006-1]

She __________ the board that they should recommend a bonus for the supervisor who she thought should ___________ at the previous meeting.

(A) informed ― be rewarded             (B) informed ― have been rewarded

(C) addressed ― be rewarded          (D) addressed ― have been rewarded

[PT75-5]3237. [수여 동사 + 'should have PP']

정답 - B : 우선 간접 목적어(the board)와 직접 목적어(that )가 있으므로 수여 동사가 쓰여야 한다. 'inform'은 수여 동사로 쓰이지만 'address'는 수여 동사로 쓰일 수 없다. 'at the previous meeting'이 있으므로 'should have PP'가 쓰여야 한다여기서는 수동형이므로 'should have been rewarded'가 쓰여야 한다.

[해석그녀는 이사회에 이사들이 이전 회의에서 포상을 받았어야 했던 관리자에게 보너스를 추천해야 한다고 통지했다.

 

[PT75-6]3238. (= [CT5-127]3035.) [경원대학교 2007-1]

다음 글의 흐름으로 보아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자연스럽지 못한 것을 고르시오.

Usually young people get taller (A)[compared with] the typical adult including their fathers. A new style of buses (B)[should be developed] earlier considering this. But there (C)[has been] no consideration for the difficulties young people have had. Now it is high time that we (D)[made a plan] for young people. We must design a new style of buses.

[PT75-6]3238. ['should have PP' + 'high time 가정법' 기타]

정답 - B > A

B : [should be developed] → [should have been developed] : should have PP : ~했었어야 했다 : 'earlier'가 있으므로 과거에 대한 얘기이고 더 일찍 개발되었어야 했다는 뜻인 'should have been developed'가 쓰여야 한다.

A : [compared with] → [than] : 앞에 'taller'가 있으므로 원칙적으로 'than'으로 상관되어야 한다.

C : 'it is high time 가정법'에서 과거형인 'made'가 쓰인 것은 맞다.

[해석보통 젊은이들은 자신들의 아버지를 포함한 전형적인 성인들보다 키가 더 커진다이점을 고려해서 새로운 스타일의 버스가 더 일찍 개발되었어야 했다하지만 젊은이들이 겪어 온 어려움들에 대한 고려는 없었다이제는 젊은이들은 위해 계획을 세워야 할 때다새로운 유형의 버스를 만들어야 한다.

 

[PT75-7]3239. [미출]

It's no use expecting an answer today, as our letter _______________.

(A) has not yet received            (B) will not yet have been received

(C) is not yet received              (D) will not yet have received

[PT75-7]3239. ['합당하다는 인식의 will have PP']

정답 - B : = it is probable that our letter has not yet been received

A, D : 최소한 능동이어서 곤란하다.

[해석오늘 답신을 기대하는 것은 소용없다우리 편지가 아직 수신되지도 않았을 테니까.

 

[PT75-8]3240. ⋆⋆ [미출]

A : You didn't hear me until now.

B : No. I must _______________ soundly when you came in.

(A) have been sleeping       (B) have slept        (C) be sleeping        (D) sleep

[PT75-8]3240. [즉시 동사와 지속 동사 시제 대체]

정답 - A : 'must'를 밖으로 끄집어내면 'I'm sure that I ~ soundly when you came in'인데 'came'이 즉시 동사이므로 지속 동사인 'sleep'은 진행형을 써야 하므로 'I'm sure that I was sleeping / *slept soundly when you came in.'이 되어야 한다. 'I'm sure that'을 다시 'must'로 집어넣으면 'I must *was sleeping soundly when ~.'인데 'must' 뒤에 과거인 'was'를 사용할 수 없으므로 'was'를 시제 대체하여 'have been sleeping'을 사용해야 한다.

B : 'I'm sure that I *slept soundly when ~'에서 'I must *slept soundly when ~'로 전환한 것인데 'must' 다음에 과거형을 쓸 수 없어서 시제 대체하여 'must have slept'를 쓴 것이다즉시 동사와 무관한 예컨대 'I must have slept soundly last night.'라면 맞는 표현이 된다.

C, D : 과거 시제 인 'came'과 쓰일 수 없다.

[해석] A : 자기야이제야 내 소리 들었구나.

B : 그래자기가 들어왔을 때는 푹 잠자고 있었음이 틀림없어.

 

[PT75-9]3241. [미출]

He _______________ missed the train or he would surely be here by now.

(A) could have        (B) must have        (C) would have        (D) should have

[PT75-9]3241. [or 가정법 앞의 직설법]

정답 - B : 조건인 'or' 뒤에 가정법이 따르므로 'or' 앞에는 직설법이 사용되어야 한다.

[해석그는 기차를 놓쳤음이 틀림없다그렇지 않으면 지금쯤은 여기 와 있을 테니까.

 

[PT75-10]3242. [미출]

You ought _______________ me yesterday.

(A) to come to see      (B) to have come to see      (C) have come to see     (D) to call on

[PT75-10]3242. ['ought to have PP']

정답 - B : 'yesterday'에 맞춰 쓰려면 'ought to' 뒤에 'have PP'가 사용되어야 한다.

 

[해석] 너는 어제 나를 만나러 왔어야 했었다.

 

Posted by 연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