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 강의 유튜브 연우리 영어] → https://youtu.be/mTNvIjxwrNQ
# Exactly the same logic applies to the debate over affirmative action. (A)[In the United States, there is an enormous controversy over whether colleges and professional schools should have lower admissions standards for disadvantaged minorities.] (B)[Supporters of affirmative action say helping minorities get into selective schools is justified given the long history of discrimination.] (C)[Opponents say that access to selective schools is so important that it ought to be done purely on academic merit.] (D)[A group in the middle says that using race as the basis for preferance is a mistake--and what we really should be doing is to give preference to people who are poor.] (E)[What all three groups take for granted is that being able to get into a great school is such an important advantage that the small number of spaces at the top are worth fighting over.] But why on earth are people convinced that places at the top are so valuable that they are worth fighting over?
# (A), (B), (C), (D), (E)의 문장 중에서 문법적으로 어색한 것은?
[해석] 정확하게 같은 논리가 적극적 차별 철폐 조처에 관한 토론에도 적용된다. 미국에서는 대학이나 전문직 학교들이(로스쿨, 의대) 불리한 소수 인종들에게 낮은 입학 기준을 가져야만 하는지에 대해서 엄청난 논쟁이 있다. 차별 철폐 지지자들은 선별적인 (까다로운) 대학들에 들어가도록 소수 인종들을 돕는 것은 기가긴 인종 차별의 역사를 고려하면 정당화된다고 말한다. 반대하는 사람들은 그런 대학들에 들어가는 것이 아주 중요하기 때문에 전적으로 학업 성적을 기준으로 해야만 된다고 말한다. 중간 입장인 그룹은 선호도의 기준으로 인종을 사용하는 것은 잘못이라고, 우리는 정말로 가난한 사람들에게 우선권을 주어야 한다고 말한다. 이 세 집단이 모두 당연한 것으로 인정하는 것은 좋은 대학에 들어갈 수 있다는 것은 아주 큰 성과이므로 일류 대학의 소수의 자리들은 쟁취할만한 가치가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도대체 사람들은 일류 대학의 입학이 쟁취할 만큼 왜 그렇게 중요하다고 확신하고 있을까요?
[정답] (D) → what we really should be doing is giving preference to people who are poor
[어휘 또는 표현]
affirmative action : (적극적인) 차별 철폐 조처
action : [불가산] 조처; (정부·의회·위원회 등에 의한) 결정, 결의, 판결
selective schools : 선별적인 (입학이 까다로운) 학교들
given ~ : ~을 고려하면
admissions standars > admission standards ← standards for admissions > standards for admission
입학의 종류가 다양하다고 생각하면 'admissions standards'를 사용하고 입학의 종류가 없다고 생각하면 'admission standards'를 사용한다.
take ~ for granted : ~을 당연한(인정된) 것으로 여기다
the small number of spaces at the top are worth fighting over Θ : 'over'의 목적어는 절의 주어인 'the small number of spaces'와 같아서 사용하지 않는다.
[해설]
I am going to teach him a lesson. “그에게 본 때를 보여주겠다.”
What I am going to do to him is (to) teach him a lesson. “그 녀석에게 뭘 할 것이냐면 본 때를 보여줄 거야.”
I am teaching him a lesson. “그 녀석에게 본 때를 보여주고 있는 중이야.”
What I am doing is teaching him a lesson. / *to teach him a lesson. “뭐 하고 있냐고 본 때를 보여주고 있는 중이야.”
★진행 의미일 때는 자체로는 진행의 의미가 없는 부정사를 쓰면 안 되고 진행 의미를 가질 수 있는 ★동명사를 써야만 한다.
[본문]
what we really should be doing is *to give preference to people who are poor
→ what we really should be doing is giving preference to people who are poor
원래는 'we really should be giving preference to people who are poor'인데 유사 강조 구문으로 전환한 것이다.
'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to die for 몹시 갖고 싶은, 죽여주는 (0) | 2022.07.27 |
---|---|
이중 소유격 or 후치 소유격(속격) (0) | 2022.07.27 |
O-S 상승 문제 (0) | 2022.07.26 |
앞뒤로 퍼지는 현재 시제 ★★ (0) | 2022.07.26 |
문미의 if that 아니 그것도 안 될거다 (0) | 2022.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