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법2022. 7. 27. 18:10
728x90

[동영상 강의 유튜브 연우리 영어] →​ https://youtu.be/IzGyh_oxM7I

# (A)[We did not speak as a documentary about gangsters in the early days of Las Vegas played on.] (B)[I stroked her hair and her skin felt feverish.] (C)[I wondered what was going on inside that mind of her.] I worried greatly about it, too. Lucy's thoughts were different.  (D)[They were distinctly her own and not to be interpreted by any Rosetta stone of psychotherapy or intuition.] (E)[But this much I had learned about her from the beginning of her life.] (F)[What she didn't say mattered most, and Lucy wasn't talking about Janet anymore.]

 

# (A), (B), (C), (D), (E), (F) 중에서 문법적으로 적합지 않은 것은?

 

[해석] 우리는 라스베이거스의 초기 갱들에 대한 다큐멘터리가 방영되고 있었을 때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나는 루시의 머리를 쓰다듬었는데 피부는 열이 있어 보였다. 나는 그녀의 그런 마음에 무엇이 진행되고 있는지가 궁금했다. 나는 그에 대해 크게 걱정이 되기도 했다. 루시의 생각은 달랐다. 그건 그녀 자신의 것임이 분명했고 로제타 스톤 같은 획기적인 심리요법이나 직관으로 해석될 수 없을 것이었다. 하지만 루시의 생에 초부터 루시에 대해 이것만은 알았다. 루시가 말하지 않는 것이 가장 중요했다. 루시는 자넷에 대해 더 이상 말하지 않고 있었다.

[정답] (C) → (C)[I wondered what was going on inside that mind of hers.]

 

[어휘 또는 표현]

Rosetta stone : 로제타 스톤 : 문제 해결의 중요한 지식을 제공하는 실마리, 진전 또는 발견

psychotherapy [sàikouθérəpi] : 정신[심리] 요법

[해설]

후치 소유격, 흔히 이중 소유격이라고 하는 것이다. 우리말로는 '저런 그녀의 마음'이라고 표현하면 되는데 영어는 대상을 한정할 때는 아는 것과 모르는 것을 지시할 때는 정관사와 부정관사를 사용하고, 소유의 개념이면 소유 한정사를 사용하고, 가까운 것과 먼 것을 구분해서 한정하려면 지시 한정사를 사용한다. 이것은 대상을 한정하는 태도가 우리와 달리 이 셋은 구분되는 영역이고 함께 사용하지 않는다. 우리말은 '나의 저 친구'를 사용하면 되지만 영어로는 '*my that friend'로 한정사를 겹쳐서 사용하지 못한다. 그래서 'that friend of mine'을 사용하게 되는데 여기서 'of'는 소유격과 아무 상관이 없고 우리말로 '~중에서'의 뜻일 뿐이다. 'mine'은 'my friends'를 줄여서 사용한 것뿐이다. 쉽게 보면 '내 친구들 중의 저 친구'와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된다. 본문에서 '*that mind of her'는 '*her that mind'를 사용하지 못하기에 생겨난 것인데 'of her minds'는 간단하게 'of hers'를 사용해야 한다. 'her minds'는 소유 대명사로는 'hers'를 사용해야 되기 때문이다. 본시 뒤에 사용된 'of'가 소유격과 무관함에도 소유의 개념으로 이해하고 뒤따르는 'hers'도 소유격으로 이해해서 이중 소유격(double genitives)이란 잘못된 명칭이 사용된 것이다. '*my that friend'에서 'my'란 소유격을 뒤로 보낸 것이므로 '후치 소유격(속격)'은 조금 나은 명칭이다. 다만 한정사(determiners)의 겹침을 허용하지 않는 영어 모국어 화자들의 태도를 이해하고 있는 것이 중요하다.

'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albeit과 so be it  (0) 2022.07.27
to die for 몹시 갖고 싶은, 죽여주는  (0) 2022.07.27
유사 강조 구문과 동명사  (0) 2022.07.26
O-S 상승 문제  (0) 2022.07.26
앞뒤로 퍼지는 현재 시제 ★★  (0) 2022.07.26
Posted by 연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