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 https://youtu.be/O3JVeLkAbOY
#1. It is understandable that textbook authors might write history in such a way (A)[that students] can feel good about themselves by feeling good about the past. Feeling good is a human need, but it imposes a burden that history cannot bear without becoming (B)[simple-minded]. Casting Indian history as a tragedy because Native Americans could not or would not acculturate is feel-good history for whites. By downplaying Indian wars, textbooks help us forget that we wrested the continent (C)[of] Native Americans. Today's college students, when asked to compile a list of U.S. wars, never (D)[think to include] Indian wars, individually or as a whole. The Indian-white wars that dominated our history from 1622 to 1815 and were (E)[of considerable importance] until 1890 have disappeared from our national memory.
#2. ~ ~ Having accurately predicted Casey's decision that morning, Sabine had thought (F)[ ] bring champagne from her house for their Saturday in-office lunch, but it hadn't been chilled yet. ~ ~
#1. (A), (B), (C), (D), (E) 중에서 문법적으로 잘못된 것은?
#2. 빈칸 (F)에 들어갈 단어는?
[#1. 해석] 교과서 저자들이 학생들이 과거에 대해서 기분 좋게 생각함으로써 스스로에 대해서 기분이 좋아질 수 있는 그런 식으로 역사를 쓸 가능성이 있는 것은 이해할 만하다. 기분 좋게 느끼는 것은 인간의 욕구이지만 그건 역사가 단순해지지 않고는 견딜 수 없는 짐을 부과한다. 원주민들은 문화 변용을 할 수 없고 하지 않게 된다는 이유로 아메리카 인디언의 역사를 비극화하는 것은 백인들에게 기분 좋은 역사이다. 인디언 전쟁들을 과소평가함으로써 교과서들은 우리로 하여금 우리가 원주민들로부터 대륙을 빼았었다는 것을 잊게 하는 데 도움을 준다. 오늘날의 대학생들은 미국의 전쟁의 리스트를 만들어 보라고 하면 결코 생각이 인디언 전쟁들에, 각각이든 전체로든, 미치지 못 한다. 1622 년에서 1815 년까지 우리 역사를 지배했고 1890 년까지 상당한 중요성이 있었던 인디언과 백인 간의 전쟁은 우리의 국가적인 기억에서 사라진 바 있다.
[#2. 해석] ~ ~ 그날 아침에 케이시의 결정을 정확하게 예측했었던 사빈은 생각을 하고 토요일 사무실 내 점심을 위해서 집에서 샴페인을 가져왔지만 아직 그것 차갑게 만들지는 못했다.
[정답] 1. (C) [of] → [from] 2. (F) [to]
[어휘 또는 표현]
acculturate [ək Λlʧərèit] : 문화 변용을 하다
wrest [rest] : 비틀다; 억지로 빼앗다, 잡아채다; 고생하여 입수하다; 왜곡하다
[해설]
we wrested the continent (C)[of → from] Native Americans
'wrest'는 '박탈(탈격)의 of'로 사용되지 않는다 '원주민들로부터 빼앗다'의 뜻이므로 'from'을 사용해야 한다.
['think to 부정사']
'think'는 생각이 미쳐 기억하든가(remember) 생각이 미치지 못해 기억하지 못하는(forget)의 뜻일 때 뒤에 'to 부정사'가 따를 수 있다.
not think to do something = to not consider doing something, especially when you later wish you had done
I didn't think to ask. = I forgot to ask.
"질문하는 것에 생각이 미치지 못했다. = 질문해야 하는 것을 깜빡했다."
I never thought to ask him for his address.
"저는 생각이 안 나서 그의 주소를 묻지 못했다."
I'm sorry. I didn't think to run the dishwasher before we left.
"죄송해요. 저는 생각이 안 나서 떠나기 전에 접시 딱 기를 돌리지 못했어요."
Tom : I thought Jane was coming to the concert as well.
"제인도 콘서트에 올 거라고 생각했는데요."
John : Oh, dear, I didn't think to tell her we were going!
"오, 저런, 우리가 온다고 말할 생각도 못 했어요."
He was so stressed out that he didn't think to tell me the news.
"그는 스트레스가 아주 심해서 나에게 그 소식을 알릴 생각도 못 했어요."
'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반복의 관계적 표현 (?관계 형용사 or 관계 한정사) (1) | 2023.07.05 |
---|---|
make to 부정사 그리고 get to 부정사 (0) | 2023.07.02 |
주어에 숨어 있는 가정법 조건절 (0) | 2023.06.27 |
Gapping (공백(화) 생략) 3 (0) | 2023.06.25 |
what with 3 (0) | 2023.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