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 NpOvAVis2gk
# She returned to the whiteboard and repeated her earlier performance--with a few more refinements that came to her on the fly. At the end of her exposition, Jerry clapped.
"Brava, brava," he exclaimed. "That's a guaranteed Nobel winner."
"Your dad's pressing me for even more," Isabel complained with mock frustration.
"What else do you want, for heaven's sake?" Jerry demanded.
"Well," the elder Pracht replied amiably, "a demonstration would be kind of nice."
"Come on," Jerry rejoined. "Didn't Weinberg win the Nobel in '76 for his version of the UFT? I don't recall your mentioning any experimental proofs either then or since."
"That's precisely why it would be great to have Isabel (A)[ ] him one better," Karl said, gesturing with a professional index finger.
"Well," Jerry turned to Isabel, "what sort of conditions do you need?"
~ ~
# 빈칸 (A)에 들어갈 단어는?
[해석] 이사벨은 화이트보드로 돌아가서 이전에 한 것을 다시 했다. 물론 생각나는 대로 척척 좀 더 자세한 설명을 부쳤다. 자세한 설명이 끝나자 제리는 손뼉을 쳤다.
"브라보, 브라보, 노벨상 확보되었네."라고 제리는 감탄했다.
"자기 아빠는 더욱 많은 걸 요구하시네."라고 이사벨은 좌절한 척 불평을 했다.
"아이고, 아빠, 다른 뭘 더 원하세요?"라고 제리는 따지듯 말했다.
"음, 실증이 있으면 좀 좋겠지."라고 프라트 교수는 따뜻하게 대답했다.
"아이고, 와인버그는 76년에 자기 식의 통일장 이론으로 노벨상을 수상했잖아요? 아빠가 그 때나 그 후로나 어떤 실험 증거들을 언급하신 기억이 없는데요."라고 제리는 받아 말했다.
"정확히 그래서 이사벨이 그보다 한 술 더 뜨게 하는 것이 대단한 것이지."라고 칼 교수는 말했다. 인용 표시 손가락 모습을 보이면서.
"음, 그러면 입증 실험을 하려면 어떤 여건이 필요한 거야?"라고 이사벨에게 물었다.
[정답] (A) : go
[어휘 또는 표현]
[on the fly]
비행 중에; (공 등이) 땅에 떨어지기 전에; 급히; 쉴 사이 없이, 몹시 분주하게; (비격식) 남몰래; 떠나려는 찰나에 : to do it quickly, without thinking or planning it in advance; in a hurry, on the run; [ㅎ (준비 없이) 척척, 날래, (잽) 싸게, (다른) 일하면서]
I ran into my boss in town, so I had to think up an excuse on the fly as to why I wasn't at work. "나는 시내서 내 보스를 우연히 마주쳤다. 그래서 왜 사무실에 없는지에 대해 날래 핑곗거리를 생각해내야 했다."
Please try to buy some aspirin somewhere on the fly today.
"오늘은 일하다가 어디서 아스피린 좀 사 오려고 해봐요."
These people can make decisions on the fly and don't have to phone home to their boss.
"이 사람들은 척척 결정을 하면서 자기 보스에게 전화도 하지 않는다."
UFT : Unified Field Theory : 통일장 이론
[해설]
[go (someone) one better]
(~보다) 하나 더 하다, ~을 능가하다 → 한술 더 뜨다, 한 끗발 위다 : to do something better; to outdo or surpass someone
[카드 게임에서 나온 표현으로 본시는 자동사이나 타동사화해서 목적어를 사용할 수 있다.]
We need to find a way to go one better than our competitors if we want to stay at the top.
"우린 정상을 유지하려면 경쟁사들보다 한 수 위의 방법을 찾아야 한다."
He went one better than his teacher and came up with five more famous scientists.
"그는 그의 스승보다 한 끗발 위였다. 다섯이나 더 많은 유명한 과학자들과 함께 왔다."
I bought a new tennis racket but my sister had to go one better by buying the most expensive one in the shop. "난 새 라켓을 샀는데 내 여동생은 한 술 더 떠서 가게에서 가장 비싼 라켓을 사고야 말았다."
이후의 예문들은 목적어를 삽입하여 'go'를 타동사화해서 'surpass'의 뜻으로 사용한다.
A : Please could you tell me the way to the city center? "시내로 가는 길 좀 말해 주세요."
B : I'll go you one better, and drive you there. "말뿐 아니라 직접 차로 보내드리죠."
A : Do you know in which year the Berlin wall fell? "베를린 장벽 어느 해에 무너졌는지 아세요?"
B : I'll go you one better: I know the exact date and time. "한 술 더 떠 정확한 날짜와 시간까지 알지요."
A : My computer was running very slowly today. "내 컴퓨터는 오늘 졸라 느려 빠졌네."
B : I'll go you one better, mine stopped working entirely. "난 너보다 더 해. 내 컴퓨터는 완전히 멈춰버렸어."
'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th 생략 구문 내의 도치 (0) | 2021.02.02 |
---|---|
to 부정사 따르는 with 구문 (0) | 2021.02.01 |
'~ 보통 명사 of'(동격부) a(n) N (0) | 2021.01.30 |
stick on(부사) ~, 제공의 with (0) | 2021.01.27 |
get 머리 아픈 경우 (0) | 2021.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