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 PPDHSn6U6GU
# Don't cry. Don't cry. "The police will get you and burn you up in one of those electric chairs. Or that lady will come and help me."
"Eve. Yes, she'll come and try to help you." He took out his phone. "And it's about (A)[ ] I called her and told her how safe and happy you are. I'm sure she'll want to speak to you. But, little bitch (B)[ ] you are, you aren't going to reflect the mood I wanted to show her." He dialed quickly. "Here I am, Eve. I was just telling Laura Ann about the monsters that live here in the swamp. She thinks you're the knight who can come and slay them. I'm waiting for you to come and try." He listened for a moment and then handed the phone to Laura Ann. "Like you, she thinks I'm liar. Talk to her."
#1. 빈칸 (A)에 들어갈 단어를 넣으시오.
#2. 빈칸 (B)에 들어갈 단어를 본문에서 찾아 넣으시오.
[# 해석] 울지 말자. 울지 마. "경찰이 체포해서 전기의자에 태워 죽일 거예요. 아니라도 이브 아줌마가 와서 절 도와줄 거예요."
"이브라. 그렇지. 와서 널 도우려 하겠지." 그는 핸드폰을 꺼냈다. "이브에게 전화해서 내가 얼마나 안전하고 행복한 지 말해야 될 때네. 이브는 너와 얘기하길 원하겠지. 하지만 넌 정말 쪼그만 못 된 것이어서 내가 이브에게 보여주고 싶었던 분위기를 나타내지 않으려 하겠지." 키슬은 빠르게 전화했다. "이브, 나 여깄어. 막 로라 앤에게 여기 늪에 사는 괴물들에 대해 말하고 있었지. 겐 와서 그놈들을 베어버릴 기사라고 생각하데. 와서 구해주려 하길 기다리고 있어요." 그는 잠시 기다리더니 로라 앤에게 폰을 건네주었다. "댁처럼 내가 거짓말 쟁이라고 생각하데. 말씀하시구려."
[정답] 1. (A) : time 2. (B) : that
[해설]
[about time ~]
It's about time she got a job. "이젠 일자리를 잡아야지."
'about time'은 '이제 진행되거나 일어나려고 하는 것에 대해 더 이전에 행해졌어야' 한다는 뜻으로 'high time'과 비슷한 표현으로 과거형을 사용한다.
'만시지탄, 때늦은 감이 있다'의 뜻으로는 'high time'과 비슷하고 '막 해야 한다'의 뜻으로는 'about that time'과 비슷한데 '짜증 내는, 화난 톤이면' 앞쪽의 뜻이고(이 뭐야 늦게) 중립적인(neutral) 톤이면 뒤쪽이지만(늦긴해도 해야지) 문맥상으로도 대체로 구분이 된다.
It's about time you went to bed.
1) 일찌감치 잠자리에 들었어야지.(화난 톤) 2) 잠자리에 들어야지.(다소 중립적)
'time'에 강세를 줘서 말하면 1)의 뜻이 된다.
Isn't it about time we got a new car? "새 차 살 때 된 거 아냐?"
A : Wow! You cut your hair! "와우! 머리 잘랐네!"
B : Yeah, I decided to try something different. "응, 다른 스타일로 잘라 보려고 했지."
A : Well, it's about time you got a haircut! "음, 머리를 한참 전에 다르게 했어야지."
B : Why do you say that? "뭔 말이야?"
A : You've had the same hairstyle since I've known you, and I've known you since kindergarten.
"내가 널 안 이래로 같은 머리 스타일이었어. 그리고 유치원 시절부터 알고 지내잖아."
B : O. I guess that's true. Do you like it? "오, 그렇구나. 맘에 드냐?"
A : I love it. "좋고 말고."
Here they are, and about time too. "제들 오네! 이제서야."
'짜증'의 느낌을 나타내고 있다.
Well, it's about time you got here--I've been waiting for over an hour!
"음, 한참 전에 여기 왔어야지. 한 시간 이상 기다리고 있잖아!"
It's about time I came clean and admitted it. "털어놓고 그걸 인정할 때야."
It's about time you grew up and became realistic. "자넨 어른스럽게 현실을 직시해야지."
It's about time this road was completed. They've been working on it for months.
"이 도로는 한참 전에 완성했어야 하는데. 여러 달째 공사를 하고 있잖아."
It's about time that high schools taught their students about basic banking and finance.
"고등학교는 학생들에게 기본적인 은행 업무는 가르쳐야 하는데."
'that'이 사용된 경우인데 생략되는 경우가 훨씬 많다.
[본문]
And it's about (A)[time] I called her and told her how safe and happy you are.
"이브에게 전화해서 내가 얼마나 안전하고 행복한 지 말해야 될 때네."
['that'의 양보와 이유 구문]★★★
Genius that she is Ø, she outwitted the computer. "그녀는 아주 천재여서 컴퓨터를 이겨먹는다."
원래 'that'는 'is'의 보어 자리가 흔적 자리인 (보어) 관계(대명)사다.
영영 사전은 이렇게 정의하고 있다.
used to introduce a clause with the verb to be to emphasize the extent to which the preceding noun is applicable
선행하는 명사(선행사)가 사용되는 정도를 강조하기 위해서 'be'가 사용되는 절을 이끄는 관계 대명사다.
[Because she is the] genius that [= which] she is Ø, she outwitted the computer. In fact, this expanded sentence is perfectly possible, we might see for example: "I love her because she is the woman [that] she is".
"[그녀는 사실 정말이지] 대단한 천재이기 때문에 그녀는 컴퓨터를 이겨먹는다." 사실 이렇게 확대시킨 문장은 실제로 가능한 문장이다. 예컨대 다음 문장을 볼 수도 있다. "나는 그녀를 사랑한다. 그녀는 정말 대단한 여자이기 때문에."
Whereas she is a genius, she has outwitted the computer. "그녀는 천재인 까닭에 컴퓨터를 이겨먹었다."
She, who is a genius, has outwitted the computer. "그녀는, 천재여서, 컴퓨터를 이겨먹었다."
이처럼 부사절이나 관계절의 (주격 관계사) 계속적 용법을 써도 비슷한 뜻이 된다.
British speaker that I am, I can't advise you better.
"나는 정말이지 영국인 모국어 화자여서 더 좋은 설명을 할 수가 없다."
Jim, fool that he was, completely ruined the dinner. "짐은 멍청한 녀석이어서 저녁식사를 완전히 망쳐버렸다."
실제로는 '보어 관계사'지만 흔히 쉽게 설명하기 위해서 'that'를 '이유나 양보의 접속사'라 하고 'a fool'가 앞으로 선행되면서 관사 탈락이 발생했다고 말하기도 한다. 'that'은 보통 때는 '양보의 접속사'로 쓰이지 못하지만 비정상적인 순서일 때는 '양보의 접속사'로 쓰일 수 있다고 말하는 게 이해하기 쉽기 때문이다.
Naked that I was Ø, I braved the storm. "나는 발가벗은 상태였지만 폭풍에 용감히 맞섰다."
'형용사'도 보어 관계사의 대상이 되기도 하므로 원래 'that'(= which)는 관계 대명사로 분석할 수 있다.
[Although I was] Naked that I was, I braved the storm.
"난 정말이지 아주 발가벗은 상태였지만 폭풍우에 용감히 맞섰다."
가장 최대한으로 길게 사용한 문장입니다. 짧게 하면 'Though being naked'나 'Though being'까지 생략하고 'Naked'만 사용하게 됩니다.
→ Naked as I was, I braved the storm. "난 벌거벗을 만큼 벌거벗었지만 난 폭풍우에 맞섰다."
[Though I was y naked : I was x naked], ~
'x'와 'y'를 모두 'as'로 바꿔서 연결하면
[Though I was as naked as I was (*naked)], ~
'x'가 동등 비교의 접속사가 되고 자기 절의 앞으로 가면 'naked'는 반드시 생략해야 합니다.
조금 짧게 'Though being (as) naked as I was, ~'를 사용하거나 가장 짧게 '(As) naked as I was, ~'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짧게 생략할 때 앞쪽의 'as'도 흔히 생략하게 됩니다. [ㅎ '(as) pale as a ghost'처럼]
→ Though I was naked, I braved the storm.
이 문장은 비교가 개입되지 않고 'Though'가 순수하게 접속사로 사용된 겁니다. 설명의 복잡성을 피하기 위해서 'naked'가 선행되었을 때 'as'는 90 % 양보 접속사로 사용된다고 편의상 설명하는 겁니다.
But Clark, clever as he was, and good commander that he seemed to be, hadn't learned how to run a unit in the modern military world, where half the time was spent managing money like some goddamned white-socked accountant, instead of leading from the front and training with the troops. "하지만 클라크는 영리하고 훌륭한 지휘관인 것으로 보였지만 현대의 군 세계에서 부대를 운영하는 것은 배운 적이 없었다."
'as'와 'that'이 원래 동등 비교와 보어 관계사로 사용된 것인데 설명하기 어려워서 '양보 접속사'로 사용되면서 'good commander' 앞에 'a'가 탈락되어 있다고 말하기도 한다.
Meticulous scientist that he was, he studied the exercise recommended in the pamphlet and embarked on a program that he supplemented with ingestion of protein powder, to speed muscle growth.
"꼼꼼한 과학도이기에 팸플릿에서 권하는 운동법을 잘 살펴보았고 프로그램에 따라 하면서 근육 강화를 가속시키기 위하여 단백질 파우더를 먹어서 보완을 했다."
원래 보어 관계사인 'that'를 '이유의 접속사'로 사용되고 있다고 말하면서 앞에 'a'가 탈락되어 있다고 할 수도 있다.
[본문]
But, little bitch (B)[that] you are, you aren't going to reflect the mood I wanted to show her.
"하지만 넌 정말 쪼그만 못 된 애라서 내가 이브에게 보여주고 싶었던 분위기를 나타내지 않으려 하겠지."
원래 'that'는 보어 관계사이고 문맥상 'because'의 뜻이다.
'the monsters that live here in the swamp.'에서 'that'을 찾아서 넣으면 된다.
'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trust 수여 동사로 사용된 경우 (0) | 2021.02.15 |
---|---|
such 단독형과 so 단독형 ★★ (0) | 2021.02.14 |
직설법 과거 조건 ★ ★ ★ (경우와 인정) (0) | 2021.02.11 |
only for ~ to 부정사의 (주어 있는) 결과적 용법 (0) | 2021.02.09 |
이중 소유격과 의문 형용사 what ★★★ (1) | 2021.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