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휘2022. 2. 7. 10:23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 pBqAFjVVrcU

#    "In ancient mythology," Langdon offered, "a hero in denial is the ultimate manifestation of (A)[      ] and pride. No man is more prideful than he who believes himself immune to the dangers of the world. Dante clearly agreed, denouncing pride as the worst of the seven deadly sins . . . and punished the prideful in the deepest ring of the inferno."

 

#   다음 중에서 빈칸 (A)에 들어가기에 적합한 것은?

A. obstinacy       B. hubris       C. impetuosity       D. valor       E. callousness

 

[해석]    고대 신화에서 부정의 주인공은 자만과 오만을 궁극적으로 드러낸다. 가장 거만한 자는 세상의 위험들로부터 자신은 면역이 되어있다고 믿는 사람이다. 단테도 분명히 동의한다. 7대 죄악 중에서 오만을 가장 최악으로 비난한다. 그리고 연옥의 가장 깊은 고리에서 오만한 자들을 징벌한다.

[정답]   (A) : B. hubris

 

[어휘 또는 표현]

hero [híərou] : 영웅; (경모의 대상이 되는) 이상적 인물; (남자) 주인공  : (Gk heros : 반신반인, 영웅)

prideful [práidfl] : 거만한, 교만한; 자랑스러운

「Pride and prejudice」: 오만과 편견 : 영국 작가 제인 오스틴의 소설

the seven deadly sins : 7대 죄악 : pride(오만), covetousness(탐욕), lust(정욕), anger(노여움), gluttony(탐식), envy(질투), sloth(나태)

callousness [kæˈləsnəs] : 냉담  : (L call(um) : tough skin, any hard substance → L callosus : hard-skinned, tough) [얼굴 피부가 딱딱한 데서]

obstinac[άbstənəsi] : 고집, 완고; 난치  : (L ob- : 거기 + stare : stand) [안 움직이고 서 있는 데서]

impetuosity [impèʧuάsəti] : 충동, 격렬: 성급함  : (L impetu(s) : an attack → Late L impetuosus : in- + petere : to make for, assault) [향하여 달려 가는 데서]

appetite [ǽpətàit] : 식욕; 욕망; 성향, 취향  : (L ad- + petere : to seek) [ㅎ 먹고 싶은 욕망을 찾는 데서]

valo[vǽlər: 용기; 용맹  : (Late L  valere : be strong → Late L valor)  ['value'(be worth)와 같은 어원에서, 튼튼한게 가치로, 여기서는 용맹으로]

[해설]

hubris [hjúːbris] : (자신 과잉에 따른) 오만, 자만   : (Gk hybris : exaggerated pride)

 

[CT2-11]S0530.

Mary Shelley's Frankenstein centers on a scientist's ______, the overweening pride that makes him believe he can usurp nature.

(A) obstinacy       (B) hubris       (C) impetuosity       (D) valor       (E) callousness

S0530.

[문법 구조]

a scientist's ~, {동격 관계} the overweening pride (that ~ )

[논리 구조]

도가 지나친 자부심은 곧 '자신 과잉에 따른 오만'인 'hubris'다.

hubris [hjúːbris] : (자신 과잉에 따른) 오만, 자만   : (Gk hybris : exaggerated pride)

overweening [òuvərwíːniŋ] 오만한, 교만한  : (German wahnen → O E wenan : to expect) [과도하게 기대하는 데서]

usurp [juːsə́ːrp] : 빼앗다, 찬탈하다   : (L usupare : seize for use → O F usurper) ['usu'는 'use'로 이해하고 'r(i)p'는 'rapere'(to seize)로 이해하자.]

정답 : B

 

[ET32-2-2]G0685.

Hopefully scientific progress in AIDS research will continue at ______ pace, but nevertheless a current attitude of ______ prevailing among some biomedical researchers is rather inappropriate.

(A) a rapid ... hubris                              (B) an alarming ... concern

(C) an optimistic ... fastidiousness             (D) a leaden ... nonchalance

(E) a vitiated ... arrogance

G0685.

[문법 구조]

hopefully : used for saying that you hope something will happen : Hopefully, we'll get more news next week. : 잘하면, 잘만 되면, 바라건대, 아마; 희망을 가지고, 유망하게 : 문 전체를 수식하는 문장 수식 부사로 쓰인다.

[논리 구조]

잘되면 빨리 진전되겠지만 지나친 자기 과신은 부적절하다.

[어휘]

leaden : dull, heavy or slow ; 느린, 둔한; 납의 

vitiate [víʃièit] 손상시키다  : (L vitum → vitiare → L vitiat-, E vice)

hubris [hjúːbris] : 오만; 자기 과신   : (Gk hybris : insolence)

inappropriate : 부적당한, 타당하지 않은, 어울리지 않는

nonchalance [nnʃəlάːns] 태연, 무관심  : (L non- : not + chaloir, L calere : to be warm) [ㅎ 칼로리가 생기지 않는 데서]

fastidiousness [fæstídiəsnis] 까다로움  : (L fastidium : loathing → L fastidiosus) [혐오가 까다로움으로]

arroganc[ǽrəgəns] 거만, 오만  : (L ar- : ad + rogare : to ask)  [ㅎ 배우가 요구하는 것이 많은 데서]

정답 : A

'어휘' 카테고리의 다른 글

belittle  (0) 2022.02.10
reach : 동사와 명사  (0) 2022.02.08
belong : 강화사 + long  (0) 2022.02.06
fulcrum ~ pulchritude ~ sepulcher ~ cherub  (0) 2022.02.06
pregnant 수태한, (의미심장한 결과를) 배태한  (0) 2022.02.03
Posted by 연우리
어휘2022. 2. 6. 22:39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 Vt_cIVIhhDA

#     How much would you know? The answer is, not much. You'd learn that there were two families in Harlan who didn't much like each other, and you'd confirm that Wilse Howard, who was responsible for an awful lot of the violence, probably (A)[        ] behind bars. What happened in Harlan wouldn't become clear until you looked at the violence from a much broader perspective.

 

#   빈칸 (A)에 동사면서도 조동사의 의미를 갖는 'long'이 포함되는 동사를 알맞게 넣으시오.

 

[해석]   당신은 얼마나 알고 있어요? 대답은 '별로 아는 게 없다'죠. 할런에는 서로를 그리 좋아하지 않는 두 집안이 있었음을 알게 될 겁니다. 아주 많은 폭력에 책임이 있는 윌스 하워드가 아마도 감방에 오래 있어야 했다는 것을 확인하게 될 겁니다. 할런에서 일어난 일은 분명하지가 않습니다. 더 폭넓은 관점에서 그 폭력을 살펴야 분명해집니다.

[정답]    (A) : belonged

 

[어휘 또는 표현]

behind bars : 옥중에서  [ㅎ 바는 창살이겠죠.]

[해설]

belong [bilɔ́ːŋ, bilάŋ] : 소속하다, 속하다, 일원이다; 적격이다, 자격이 있다; [사람·사물이] [있어야 할[마땅한] 장소에] 있다  : (Old E be- : 강화사(아주) + langian, long)  [ㅎ 아주 오래 있으면 속하는 일원이고 자격이 있게 됩니다.]

 

'어휘'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ach : 동사와 명사  (0) 2022.02.08
hubris 자신 과잉에 따른 자만  (0) 2022.02.07
fulcrum ~ pulchritude ~ sepulcher ~ cherub  (0) 2022.02.06
pregnant 수태한, (의미심장한 결과를) 배태한  (0) 2022.02.03
scurry 종종 걸음  (0) 2022.02.02
Posted by 연우리
어휘2022. 2. 6. 08:00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oqNbiZZKkIY

#    This law, known as dharma or dhamma, is seen by Buddhists as a universal law of nature. That 'suffering arises from craving' is always and everywhere true, just as in modern physics E always equals mc² . Buddhists are people who believe in this law and make it the (A)[      ] of their activities. Belief in gods, on the other hand, is of minor importance to them. The first principle of monotheist religions is 'God exists. What does He want from me?' The first principle of Buddhism is 'Suffering exists. How do I escape it?'

 

# 다음 중에서 빈칸 (A)에 적합한 것은?

A. pulchritude            B. fulcrum             C. sepulcher           D. cherub          E. fulsomeness

[해석]    dharma or dhamma로 알려진 이 법은 불교도들은 보편적 자연법으로 보았다. '욕망에서 고통이 생긴다.'라는 것은 항상 그리고 어디에서나 사실이다. 마치 현대 물리학에서 항상 E = mc²이듯이. 불교도들은 이 법을 믿고 그들의 행동의 지렛대로 삼는다. 반면에 신에 대한 믿음은 중요성이 미미하다. 유일신 믿는 종교의 첫 원칙은 '신이 존재한다. 신은 나에게 무엇을 원할까?' 불교의 첫 원칙은 '고통이 존재한다. 어떻게 그 고통을 피할까?'이다.

[정답]     (A) : B. fulcrum

 

[어휘 또는 표현]

dharma [dάːrmə] : [힌두교·불교] 법, (우주·사람 등의) 본체, 본성; 교법, 덕; 불타의 가르침

be of ~ = have

[해설]

우리가 '행동의 지침으로 삼는다'라는 말 대신에 '행동의 지렛대로 삼는다'라는 말을 사용한다.

★ fulcrum[fúlkrəm] : (지레의) 받침점; 지렛대 받침; 지주, 버팀대 ; (동물)(체내의) 지지 기관 : (L bedpost fr. fulcire : to prop up, support) [지탱하거나 받쳐주는 것에서]

★ pulchritude [pΛlkrətjùːd] : 아름다움, 육체미, 미모 : (L pulcher : 아름다운 [어원 불명])

★ sepulcher [sépəlkər] : 무덤; 지하 매장소; 매장하다 : (L sepulcrum fr. sepelire : to bury) [묻는 데서]

★ cherub [ʧérəb] : (그림·조각 등의) 천사; 날개 달린 귀여운 어린이의 모습이나 머리로 나타냄; [신학] 케루빔, 지품천사 : (Gk cheroub, Heb kerubh)

★ fulsome [fúlsəm] : [칭찬 등이] (너무 지나쳐) 불쾌한, 역겨운;(잘못 쓰여서) 후한 : (ful + som, ME fulsom : copious) [풍부한 것이 나쁜 의미로 전용된 데서]

★ fulsomeness : 지나침; 진실성이 안 느껴짐

 

Posted by 연우리
어휘2022. 2. 3. 23:40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 A5SmVT6i4j0

#     Gary had gotten to work at eight and had found himself really short-staffed. There was still no sign of Jeb Oliver and Sandy hadn't shown, either. At first he had been annoyed. He had called her apartment and gotten no reply. On her way, he had assumed. Late. But she never showed. Thereafter he called every thirty minutes. By nine-thirty the annoyance had given (A)[     ] to worry and he started thinking about auto wrecking. So he called the cops for information. The desk guy told him there had been no traffic accidents that morning. Then there was a (B)[      ] pause and the desk guy seemed to consider another possibility and asked for a name and a description. Gary said Alexandra Dupree, known as Sandy, nineteen years old, white, petite, green and red. Ten seconds after that Gary was speaking to a detective Emerson on a cell phone.

 

#1.    빈칸 (A)에 들어갈 적합한 한 단어를 넣으시오.

#2.    빈칸 (B)에 '수태한'의 뜻이 '(의미심장한 결과를) 배태한'의 뜻으로 사용되고 있는 한 단어를 넣으시오.

 

[해석]    개리는 8 시에 출근해서 직원이 정말 딸리는 것을 알았다. 젭 올리버는 여전히 징후가 없었고 샌디도 출근하지 않았다. 처음에는 짜증이 났다. 샌디의 아파트로 전화했더니 받지를 않았다. 오는 중이겠지 하고 생각했다. 늦는 거겠지 생각했다. 하지만 결국 출근하지 않았다. 30 분마다 전화했다. 9 시 30 분에는 짜증은 걱정으로 바뀌었고 차량 파손에 대해 생각하기 시작했다. 경찰에 전화해서 알아보려 했다. 데스크 담당은 그날 아침에 교통사고는 없었다고 했다. 그런 후 잠시 의미심장한 결과를 배태한 침묵이 따랐고 그는 다른 가능성을 고려하는 거 같았고 이름과 용모에 대해 물었다. 개리는 알렉산드라 듀프리, 일명 샌디인데 백인이고 아담하고 녹색 눈과 빨강 머리라고 했다. 10 초 후에는 개리는 에머슨 형사와 핸드폰으로 통화하고 있었다.

[정답]     1. (A) : way        2. (B) : pregnant

 

[해설]

A give way to B : A가 물러나고 B가 등장하다, A는 B로 바뀌다

pregnant [prégnənt] : 임신한; 수태한; ~로 가득 찬[with]; 비옥한, 다산의; [생각 등이] 풍부한; 의미심장한, 시사적인 언동 등]; (중대한 결과 등을) 배태한  : (L pre- : before + gnasci- : be born → L praegnant-, (g)natus : born from gignere : bring into being cf generare(generate) 의 결합형) [태어나기 전은 수태한, 배태한, 그래서 (중대한 결과를) 배태한, 'nation'과 같은 어원에서]

nation [néiʃən] : 국민; 국가, 나라; 민족, 종족 (L nasci : to be born → natus : 과거 분사 → L nation-)

Renaissanc[rènəsάːns] : 문예부흥기; 부흥, 부활; 신생; 재생  : (L re- : again + nasci : be born)

 

'어휘' 카테고리의 다른 글

belong : 강화사 + long  (0) 2022.02.06
fulcrum ~ pulchritude ~ sepulcher ~ cherub  (0) 2022.02.06
scurry 종종 걸음  (0) 2022.02.02
milliner 밀라노 사람? 여자 모자 제조, 판매인  (0) 2022.01.31
coast 명사와 동사 (side)  (0) 2022.01.30
Posted by 연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