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계사 앞 전치사 선행사 결정형'에 해당되는 글 3건

  1. 2022.05.19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753회]
  2. 2022.03.29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729회]
  3. 2021.01.07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102회]
편입 문법 3000 Plus2022. 5. 19. 06:11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r8kgymLL8MU

3693.​ [가천대학교 2019]

The new advertisement is designed around the cliche of the "level playing field," (A)[by which] competitors meet without advantages. To this idea of sportsmanship (C)[is] opposed the new entrepreneurial ruthlessness, (C)[in which] the whole idea is to complete (D)[unfairly] and take advantage of the weakness of others.

3693.​ [관계사 앞 전치사 선행사 결정형]

정답 - A : [by which] → [on which] : 선행사가 'the ~ field'이므로 관계사 앞의 전치사는 '운동장 위에서'의 의미로 'on'이 사용되어야 한다.

C = '전치사 구 도치형'으로 중간에 'is opposed'를 놓고 뒤에 주어가 따르게 된다.

[해석]   새 광고는 "평평한 운동장"이란 상투 어구를 중심으로 만들어진다. 이런 운동장에서는 경쟁자들은 유리한 점이 없이 만나게 된다. 이런 스포츠맨의 아이디어에 반대되는 것이 새로운 사업가적인 냉혹함인데 여기에선 전체 아이디어는 불공정하게 경쟁하면서 상대의 약점을 이용하게 된다.

 

3694.​ [가톨릭대학교 2019]

A person with heat stroke has overheated to the point [         ] the body is unable to cool itself: at this point, internal temperature may have risen to as high as 41℃ and the sweating mechanism has ceased to function.

(A) that              (B) where             (C) while           (D) in which

3694.​ [관계사 앞 전치사 선행사 결정형 기타]

정답 - B : where : 선행사가 'the point'이고 '그 온도에서'가 되려면 'at which'를 사용해야 하는데 D는 'in which'여서 곤란하고 'at which'를 대신하는 관계 부사 'where'를 사용할 수 있다.

A : 의미상 '동격의 that'일 수 없다. '관계사 that'일 수 없다. 뒤에 흔적 자리가 없다.

C : 'while'은 부사절 접속사로 보통은 앞의 명사를 수식할 수 없다. 드물게 형용사 절로 사용되기는 한다.

[해석]  열사병에 걸린 사람은 신체가 스스로를 식힐 수 없는 온도까지 과열되게 된다. 이 온도에서는 체온은 아주 놓이 41℃까지 오를 수 있었고 땀을 흘리는 메카니즘도 작동하지 않게 된다.

[CT2-278]1257. [성균관대학교 2012]

(A)[What] I cannot forget is (B)[the way] he had with an idea, the genuine curiosity (C)[with which] he approached it, the pause (D)[while] he gave his little thoughtful cough, and then the bulldog tenacity (E)[which] he would argue his point.

[CT2-278]1257. [관계사 앞 전치사 필요형]

정답 - E : [which] → [with which] : 'which'는 'he(주어) would argue(동사) his point(목적어)'에 들어갈 자리가 없어서 곤란하다. 'with the bulldog tenacity'를 관계사로 바꾸면 'with which'가 되어야 한다.

D : the pause while he gave his ~ cough 생각에 잠겨 작게 기침하는 동안의 중단

Love the pause while he decides which way to evade. 

"어느 쪽으로 피할까 그가 결정하는 그 망설임을 사랑하라."

What did you do throughout the summer while I worked? "내가 일했던 그 여름 내내 넌 뭘 했어?"

'while'의 'during which'로 관계 부사로 볼 수도 있고 (O E 'the while that'), 그냥 'while ~'이 형용사 절로 앞의 명사를 꾸민다고 보아도 된다. 이는 '단계 또는 국면의 as'와 마찬가지다.

This is freedom as we generally understand it.

"이것이 우리가 일반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에서의 자유이다."

He soon fell asleep and dreamed of his home when he was a boy.

"그는 곧 잠에 떨어졌고 소년 시절의 집에 대한 꿈을 꾸었다."

'when 절'이 형용사 절로 앞의 명사를 수식할 수 있듯이 'as 절'도 형용사 절로 앞의 명사를 수식할 수 있는데 'as'의 경우에는 절 내부에 수식하는 명사를 대명사로 받았을 때에 한해서 쓰인다. 이때 'as'는 '~할 때의; ~하는 단계에서는; ~하는 한에서'의 뜻으로 쓰이는데 이를 '단계 또는 국면의 as'라고 칭한다.

 

3695.​ [경기대학교 2019]

(A)[Until] the mid-sixties, neurologists believed that the left side of the brain, the side (B)[responsible] for language and analytical thought, was (C)[dominant], and that the right side (D)[hadn't done] much of anything.

3695.​ [불필요한 대과거]

정답 - D : [hadn't done] → [didn't do]  : believed {[(that) the left side ~ ~] and [that the right side ~]}로 병치된 것으로 양쪽이 과거면 된다. 대과거를 사용할 이유가 없다. '앞쪽의 that'은 생략할 수 있지만 '뒤쪽의 that'은 생략할 수 없다.

[해석]   60 년대 중반까지는 신경학자들은 뇌의 좌반 부는 언어와 분석을 책임지는 부분으로 우월한 존재이고 우반 부는 어떤 것도 별로 하지 않는다고 믿었다.

 

3696.​ [숙명여자대학교 2019]

Epistemology deals (A)[not only] with the nature of truth, but also with the ways in which we can know reality. There are a variety of ways (B)[for which] we can know reality, (C)[each of which] has its advocates and detractors. Among the (D)[ways of knowing], there are: by divine revelation, by authority, through personal intuition, (E)[from our own five senses], and through experimentation.

3696.​ [관계사 앞 전치사의 선행사 결정형]

정답 - B : [for which] → [in which] : 방법을 나타내는 전치사는 'in the way'를 사용하니까 관계사도 'in which'를 사용한다. 드물게 'by which'를 사용하기도 한다.

[해석]  인식론은 진리의 속성을 다룰 뿐만 아니라 우리가 실체를 아는 방법들을 다룬다. 실체를 아는 방법으로 다양한 방법들이 존재하며 각 방법들은 지지자도 있고 싫어하는 사람들도 있다. 아는 방법들 중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신점이나 권위자에 의지하거나 개인의 직관을 통하거나 오감을 통하거나 실험을 통하는 것이 있다.

 

Posted by 연우리
편입 문법 3000 Plus2022. 3. 29. 18:33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  BiffAuK46Zk

3601. [아주대학교 2020]

Because traumatic events are unbearable in their horror and intensity, they often exist (A)[as memories that] are not immediately recognizable as truth. Such experiences are best understood not only through the straightforward acquisition of facts but (B)[a process of discovering] (C)[where and why] conscious understanding and memory fail. Literature (D)[opens a window on] traumatic experience because it teaches readers to listen to (E)[what can be told] only in indirect and surprising ways.

3601. [상관 대등 병치]

정답 - B → [through a process of discovering] : 상관 병치를 시킬 때 대등한 구조를 병치시켜야 한다. {not only [through ~] but [through a process of discovering ~}로 병치되어야 한다. 'not only' 뒤에 'but (also)'로 'also'가 생략될 수 있다.

[해석]  정신적 충격을 준 사건들은 그 공포와 강렬함이 견딜 수 없는 지경이기 때문에 흔히 즉각적으로 사실로 인정되지 않는 기억으로 존재하는 경우가 흔하다. 그런 경험들은 직접적으로 사실의 획득을 통하거나 또는 의식적인 이해와 기억이 실패하는  장소와 이유를 발견하는 과정을 통해서 가장 잘 이해된다. 문헌에 따르면 외상의 창문을 확 열어 준다고 한다. 그것이 독자들에게 오로지 간접적이고 놀라운 방식으로 말해질 수 있는 것을 들을 수 있게 가르치기 때문이다.

[CT6-27]3424. [아주대학교 2004-1]

Babe Ruth was (A)[recognized] for both his (B)[outstanding] skill on the baseball field and (C)[because of] his humanitarian concern (D)[with] the poor.

[CT6-27]3424. [상관 대등 병치]

정답 - C : [because of]  [   ] : '~로 인정받다'의 뜻은 'be recognized for ~' 여기서 'for' 대신 'because of'를 쓸 수는 없다. 'for {[both [his ~ skill ~ field] and [his ~ concern ~ poor]}'로 병치되어야 한다.

[해석] 베이브 루스는 야구장에서의 뛰어난 기술과 가난한 사람들에 대한 박애주의적인 관심으로 인해 인정받았다.

 

3602. [아주대학교 2020]

It seems to be related to [           ] the people were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A) extent to which                  (B) extent which to                 (C) extent the which to

(D) the extent which to              (E) the extent to which

3602. [관계사 앞 전치사 선행사 결정형]

정답 - E : the extent to which  : 동반 이동한 전치사구에서 전치사는 선행사에 의해서 결정되는 경우가 있다. 선행사가 'extent'이므로 'to some extent'에서 보듯이 전치사는 'to'를 사용한다. 

A : 'extent'는 보통 불가산 명사로 사용된다. 뒤에서 관계절이 한정하고 있으므로 정관사를 붙여야 한다. 정도를 분류하는 것이 아니므로 무관사로 쓰지 않는다.

B, D : 동반 이동하면 'to which'를 써야 한다. 'which to'는 곤란하다.

[해석]   그건 그 사람들이 프로그램에 동참하고 있었던 정도와 관련되는 거 같다.

[ET16-1-1]0603. ⋆ [아주대학교 2011]

In this book, Mary Evans explores _________ social theory has engaged with and illuminated the question of relations between the gender and the social world.

(A) the extent to which                       (B) the extent to what

(C) the extent which                           (D) the extent to those

(E) the extent that it

[ET16-1-1]0603. [관계사 앞 전치사의 선행사 결정형]

정답 - A : 선행사가 'extent'이므로 'to the extent'에서 'to which'가 쓰여야 한다.

cf. to some extent : 어느 정도

C : '주어(social theory) has {[engaged with] and [illuminated]} 목적어(the question ~)'의 완벽한 구조이므로 명사가 들어갈 흔적 자리가 없으므로 'which'는 쓸 수 없다.

B : 'what'은 'the thing which'인데 C와 마찬가지로 'which'의 흔적 자리가 없다.

D : '전치사 to' 다음에 나온 'those'는 'social theory'와 이어지지도 못하고 이어져도 목적격이어서 '정동사 has'와 이어지지 못한다. 본문에서 'social theory'는 집합적 불가산 명사로 쓰이고 있다.

E : 'it'은 앞뒤로 어디로도 연결되지 않는다.

engage with ~ : ~ 분석하다 = make an effort to understand and deal with ~

[해석] 이 책에서 메리 에번스는 사회 이론들이 성과 사교계의 관계라는 문제를 어느 정도만큼 분석하고 설명하는가를 탐구한다.

[CT2-131]1110.  [경기대학교 2003-1]

(A)[Most doctors] are profoundly (B)[troubled over] the extent (C)[which] the medical profession today is (D)[taking on] the trappings of a painkilling industry.

[CT2-131]1110. [관계사 앞 전치사 선행사 결정형]

정답 - C : [which] → [to which] : 'to some extent(어느 정도)'에서 보듯이 선행사가 'extent '일 때 관계사는 'to which'를 사용해야 한다.

trappings : (특히 옷 등의) 장식; (특히 권력·지위를 나타내는) 장식 의상, 예복; 장식용 마구 : clothing or equipment; that which gives the appearance of something

take on ~ : ~의 모습을 띠다

[해석대부분의 의사들은 의료계가 얼마만큼 진통제 산업의 모습을 띠고 있는지에 대해 심각하게 고민하고 있다.

[원전] Most doctors are profoundly troubled over the extent to which the medical profession today is taking on the trappings of a pain-killing industry. Their offices are overloaded with people who are morbidly but mistakenly convinced that something dreadful is about to happen to them. It is all too evident that the campaign to get people to run to a doctor at the first sign of pain has boomeranged. Physicians find it difficult to give adequate attention to patients genuinely in need of expert diagnosis and treatment because their time is soaked up by people who have nothing wrong with them except a temporary indisposition or a psychogenic ache.

[CT2-142]1121.  [경기대학교 2007-1]

While autism is generally a lifelong struggle, there are (A)[some reported] cases (B)[to which] kids who were identified (C)[as] autistic and treated at an early age no longer (D) [exhibit] symptoms.

[CT2-142]1121. [관계사 앞의 전치사 선행사 결정형]

정답 - B : [to which] → [in which] : 선행사가 'cases'이므로 'in the cases', 즉 'in which'로 빠르게 생각해내야 한다.

autism [ɔ́ːtizm] : 자폐성; 자폐증    : (L Gk autos : self + E -isma : 증상) [자기만 생각하는 데서]

[해석자폐증은 일반적으로 평생 싸워야 할 증상이지만 자폐증으로 확인되고서도 일찍 치료받음으로써 더 이상 자폐증 증상을 보이지 않았던 아이들의 사례들에 관한 몇몇 보도가 있다.

 

3603.** [건국대학교 2020] 

An autistic savant is a person with an unusual ability, skill, or knowledge that is (A)[much more] developed than that of an average person. In fact, many savants have (B)[highly developed] mathematical skills. (C)[The others] are able to retain large amounts of information in their memory. For example, (D)[some autistic savants] can recite entire dictionaries or telephone book word for word. Still others are able to draw detailed maps of an area after (E)[flying over it] once in a helicopter.

3603. [유한 집합 표시의 정관사]

정답 - C → [Others]  : 영어에서는 집합의 유한성이 정해지면 정관사 'the'를 사용합니다. 'the 1980s'나 'the three primary colors', 'the two Koreas', 등이 여기에 해당됩니다. 둘을 대상으로 한 명을 받을 때는 'one'을 사용하고 나머지 한 명은 유한집합이므로 (원소 하나 자리 집합) 정관사 'the'를 붙여서 'the other'를 사용합니다. 세 명이라면 'one', 'another' 그리고 'the third'를 사용합니다. 여러 명을 대상으로 할 때 처음 몇몇은 'some'으로 다른 몇몇은 'others'로 지칭합니다. 나머지 전부 다를 지칭하려면 유한 집합 표시의 정관사를 붙여 'the others'를 사용합니다. '또 다른 이들'을 지칭하려면 'some', 'others', 'still others'로 이어갑니다. 본문에서 'The others'는 집합의 유한성을 표시하는데 문맥상 유한성이 표시되면 안 됩니다. '나머지 전부의 savants'가 되어서 곤란합니다.

E : 'flying over it'에서 'over'는 전치사이므로 대명사든 명사(구)든 길이에 상관없이 전치사 뒤에 사용해야 합니다.

[해석]  자폐성 천재는 보통 사람보다 훨 더 개발된 비상한 능력, 기술 또는 지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다. 사실 많은 천재들은 고도로 발달된 수학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일부 천재들은 많은 정보를 기억 속에 보유할 수 있다. 예컨대 일부 자폐성 천재들은 사전이나 전화부 전체를 글자 그대로 암송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자폐성 천재들은 헬리콥터를 타고 한 번만 그 위를 날은 지역의 세세한 지도를 그릴 수 있다.

[원본]

[ASD is an umbrella term that includes many subcategories. One of these subcategories is autistic savants. Psychologists estimate that 10 percent of people with ASD have some savant abilities.] An autistic savant is a person with an unusual ability, skill, or knowledge that is much more developed [than that of an average person.] [Many savants] are able to retain large amounts of information in their memory. For example, some autistic savants can recite entire dictionaries or telephone books word for word. [Others] are able to draw detailed maps of an area after flying over it once in a helicopter. [Although the autistic savant has these specific abilities or skills, he or she may have difficulty with other types of mental or physical tasks.]

[PT52-20]2138. [가톨릭대학교 2010]

다음 글에서 문법적으로 옳지 못한 부분을 포함하고 있는 문장을 고르시오.

(A)Gambling is a controversial subject, a subject that leads to debate and discussion. (B)It used to be illegal in most parts of the States, and some forms of gambling are still illegal in certain places. (C)Some people view it as a harmless form of fun that makes life more interesting. (D)The other think of it as an evil enterprise that takes money from the poor and gives it to the rich.

[PT52-20]2138. [some ~ others]

정답 - D : [The other] → [Others] : 'Some people'이 나와 있으므로 'Other people'은 'Others'로 써야 한다이분법이 아니므로 'The others'도 아니다.

[해석도박은 논쟁과 토론으로 이어지는 논란의 소지가 많은 주제이다도박은 전에는 미국의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불법이었고 일부 지역에서는 지금도 여전히 불법이다도박은 삶을 더 재미있게 만드는 무해한 형태의 오락이라고 여기는 사람들도 있고 가난한 사람들로부터 돈을 빼앗아 부자들에게 주는 악마의 사업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다.

[ET51-1-2]2082. ⋆⋆ [숭실대학교 2009]

A red-flag (A)[warning] issued by the National Weather Service for Los Angeles is expected to persist (B)[by] about 4 p.m. today, (C)[when] temperatures are expected to reach (D)[the low 80s] in some places.

[ET51-1-2]2082. ['till'과 'by' + 유한 집합 표시의 정관사]

정답 - B : [by] → [until] : 'persist(지속되다)'가 지속 개념을 갖고 있으므로 'until'을 써야 한다.

D : the low 80s : {81, 82, 83} : 유한 집합이므로 정관사를 사용한다.

the mid 80s : {84, 85, 86}

the high 80s : {87, 88, 89}

Highs in the mid 80s. Lows in the upper 50s.

[해석미국 LA 기상과가 내린 적색경보는 오늘 오후 4시경까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기온은 장소에 따라서는 80도 초반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PT51-5]2094. ⋆⋆ [단국대학교 2006-1]

The forest's mangrove trees (A)[grow] 70 feet or more above islands of (B)[layered] sand, deposited by (C)[rivers] that flow more than a thousand miles from (D)[Himalayas] to the Bay of Bengal.

[PT51-5]2094. [산맥과 유한 집합 표시의 정관사]

정답 - D : [Himalayas] → [the Himalayas] : 산들의 집합체인 산맥은 유한 집합 표시의 정관사를 앞에 사용한다.

[해석이 숲의 맹그로브 나무들은 층층의 모래로 이루어진 섬들에서 70피트 또는 그 이상의 높이에서 자라는데 이 모래층은 히말라야산맥에서 벵골 만까지 천마일 이상을 흘러가는 강들에 의해 퇴적된 것이다.

[PT51-6]2095. [단국대학교 2012]

A skier is probably (A)[past] his best (B)[by] the age of thirty, and (C)[most] international tennis champions are in their early (D)[twenty].

[PT51-6]2095. [소유격 뒤의 유한 집합]

정답 - D : [twenty] → [twenties] : 20 대는 [20, 21, ... , 29]의 유한 집합인데 정관사 대신 소유격 뒤에 온 경우로 'one's twenties'를 사용한다

B : by ~ : ~쯤은 (이미)

[어휘] past one's best : 전성기가 지난한창때가 지난   at one's best : 한창인가장 좋은 상태인

[해석스키 선수는 30 살에는 아마도 이미 전성기를 지났을 것이며 대부분의 국제적인 테니스 챔피언들은 20 대 초반이다.

Posted by 연우리
편입 문법 3000 Plus2021. 1. 7. 07:28
728x90

[동영상 강의 유튜브 연우리 영어]  https://youtu.be/z2Jcm_ZADlA

[PT15-17]0599. [계명대학교 2004-2]

(A)[Having not] met him (B)[before], I made up my mind (C)[to watch] him (D)[from a distance] for a while.

[PT15-17]0599. [분사의 부정]

정답 - A : [Having not] → [Not having] : 분사의 부정은 의미상 주어 이외에는 가장 앞에 온다.

[해석] 전에 그를 만난 적이 없었기 때문에 한동안 멀리서 그를 살펴보기로 결심했다.

 

 

[PT15-18]0600. [세종대학교 2008-1]

(A)[No content] with (B)[turning] his hotel into a museum, Mr. Robinson also (C)[sponsors] ambitious events (D)[at the adjacent] office tower and shopping mall.

[PT15-18]0600. [분사의 부정]

정답 - A : [No content] → [Not (being) content] : 형용사의 부정은 아주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no'를 사용하지 않는다.

[해석] 자신의 호텔을 박물관으로 바꾼 것에 만족하지 못하고 로빈슨 씨는 인근의 사무실용 고층 빌딩과 쇼핑몰에서의 야심찬 이벤트를 후원했다.

 

 

[PT15-19]0601. [대구가톨릭대학교 2005-1]

A : Did you blame him for his mistakes?

B : Yes, but _________ it.

(A) I'd rather not do                 (B) I'd not rather do

(C) I'd better not do                 (D) I'd rather not have done

[PT15-19]0601. [would rather not have PP]

정답 - D : 원형 부정사의 부정도 원형 앞에 'not'을 사용한다. 과거에 대한 이야기이므로 'would rather not have PP(차라리 ~하지 않을 걸 그랬다)'를 써야 한다. 'would rather have *not PP'의 형태를 써서는 안 된다.

[해석] A : 그의 실수에 대해 비난을 했습니까?    B : 그랬지만 차라리 그러지 않았어야 했다.

 

 

[PT15-20]0602. [단국대학교 2004-1]

__________ I hugged her tightly in my arms.

(A) Hardly know what I was doing                      (B) Hardly to know what I was doing

(C) Hardly knowing what I was doing                  (D) Hardly knew what I doing

[PT15-20]0602. [준동사의 부정]

정답 - C : 주절과 이어지기 위해서는 분사 구문이어야 하고 부정 어구는 분사 앞에 두면 된다.

B : '모르기 위해서'의 뜻이어서는 곤란하다.

[해석] 무엇을 하고 있는지도 모르면서 나는 그녀를 손으로 꼭 껴안았다.

 

 

[ET16-1-1]0603. ⋆ [아주대학교 2011]

In this book, Mary Evans explores _________ social theory has engaged with and illuminated the question of relations between the gender and the social world.

(A) the extent to which                   (B) the extent to what

(C) the extent which                       (D) the extent to those

(E) the extent that it

[ET16-1-1]0603. [관계사 앞 전치사의 선행사 결정형]

정답 - A : 선행사가 'extent'이므로 'to the extent'에서 'to which'가 쓰여야 한다.

cf. to some extent : 어느 정도

C : '주어(social theory) has {[engaged with] and [illuminated]} 목적어(the question ~)'의 완벽한 구조이므로 명사가 들어갈 흔적 자리가 없으므로 'which'는 쓸 수 없다.

B : 'what'은 'the thing which'인데 C와 마찬가지로 'which'의 흔적 자리가 없다.

D : '전치사 to' 다음에 나온 'those'는 'social theory'와 이어지지도 못하고 이어져도 목적격이어서 '정동사 has'와 이어지지 못한다. 본문에서 'social theory'는 집합적 불가산 명사로 쓰이고 있다.

E : 'it'은 앞뒤로 어디로도 연결되지 않는다.

engage with ~ : ~ 분석하다 = make an effort to understand and deal with ~

[해석] 이 책에서 메리 에번스는 사회 이론들이 성과 사교계의 관계라는 문제를 어느 정도만큼 분석하고 설명하는가를 탐구한다.

 

[핵심 문법] 관계사 앞 전치사의 선행사 결정형

They were all astonished at the rapidity with / *of / *to which she had learned to speak Korean.

"그들은 모두 그녀가 한국어를 말하는 법을 배웠던 속도에 놀랐다."

'which'의 선행사가 'the rapidity'이므로 '~ the rapidity'로 파악해서 전치사는 'with'를 써야 한다. 이처럼 선행사를 보고 전치사를 결정하는 것을 ‘전치사의 선행사 결정형’이라 한다.

The ease with which abalones can be collected from the shores has almost resulted in their extinction.

"전복은 해안가에서 쉽게 채집할 수 있어서 거의 전복의 멸종을 초래했다."

선행사 'ease'를 보고 전치사가 'with' 임을 알 수 있다. (with ease)

Behavioral scientists arrange living things according to the complexity of their behavior and the extent to which it can be modified. (to some extent)

"행동 과학자들은 생명체들의 행동의 복잡성과 그 수정의 정도에 따라서 생명체들을 분류한다."

The true measure of a man is the degree to which he has managed to subjugate his ego. (to some degree)

"인간의 참된 척도는 그가 자신의 에고를 얼마나 예속시킬 수 있었느냐이다."

Biochemists have solved many of the mysteries about photosynthesis, the process by which plants make food. (by the process : 그 작용에 의해서)

"생화학자들은 광합성, 즉 식물들이 영양분을 만드는 과정에 대한 많은 신비들을 해결한 바 있다."

The novels of Richard Wright still serve as a yardstick by which Black novelists of the United States are measured. ('판단 기준의 by')

"리처드 라이트의 소설들은 미국의 흑인 소설가들을 판단하는 척도로 지금도 여전히 역할을 하고 있다."

Desire and curiosity are the two eyes through / *with / *of which he sees the world.

"욕망과 호기심은 세상을 (통해서) 바라보는 두 개의 눈이다."

w'hich'의 선행사가 'the two eyes'이므로 'through the two eyes'로 파악하고 전치사는 'through'를 써야 한다.

The number of the cases in which kids are the main victims is continuously growing. (in the cases)

"아이들이 주된 희생자인 경우들의 수는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Often, as a way to save time and money, an administrator will cut a deal with the union in which he agrees to give a bad teacher a satisfactory rating in return for union help in transferring the teacher to another district. (in the deal)  "흔히 시간과 돈을 절약하는 방법으로 한 행정관은 나쁜 선생에게 노조가 그 선생을 다른 지구로 전근시키는 데 도움을 주는 대가로 만족할만한 평가를 주기로 합의하는 거래를 맺게 될 것이다."

Do you live in an environment in which you can enjoy all four seasons?

"당신은 사계절을 모두 즐길 수 있는 환경에서 살고 있습니까?"

When researchers alter the environment in which a fruit fly develops, changes result.

"초파리가 생기게 되는 환경을 연구자들이 바꿀 때 변화가 야기된다."

Posted by 연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