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사 강조 구문'에 해당되는 글 2건

  1. 2021.01.21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163회]
  2. 2021.01.19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160회]
편입 문법 3000 Plus2021. 1. 21. 02:46
728x90

​[동영상 강의 유튜브 연우리 영어]  https://youtu.be/GQmdSBI1jm0

[PT24-15]0858. ⋆⋆ [성균관대학교 2004]

The (A)[grown] daughter in Grown Ups could not tell stories in a way (B)[to command] the attention of the party because she hadn't gotten any practice as a child. (C)[That] she'd done as a child was (D)[listen] attentively and appreciatively (E)[as] her mother and brother told stories.

[PT24-15]0858. [유사 강조 구문]

정답 - C : [That]  [What] or [All that] : 'was'의 주어에 해당되는 선행사가 있어야 한다.

D : 주어진 문제는 'As a child she had listened attentively ~.'를 유사 강조 구문으로 전환해서 'What she had done as a child was (to) listen attentively ~.'가 된 것으로 앞에 과거 분사인 'done'이 나와도 원형인 'listen'이 쓰인 것은 맞는 표현이다.

B : 'way' 다음에는 'to 부정사'와 'of ~ing'가 모두 가능하다.

[해석] Grown Ups에서 성장한 딸은 일행의 관심을 받을 수 있는 방식으로 이야기를 할 수 없었는데 이는 어린 시절 훈련이 되어있지 못했기 때문이었다. 어린 시절에 행한 것이라곤 어머니와 오빠가 이야기를 할 때 집중해서 감상하며 듣는 것이 다였다.

 

[PT24-16]0859. ⋆⋆ [대구가톨릭대학교 2004-1]

(A)[After studying] hard (B)[to become] an accountant, he discovered (C)[that it] was not (D)[what he wanted to do].

[PT24-16]0859. [유사 강조 구문]

정답 - D : [what he wanted to do]  [what he wanted] : 'it' 'to become an accountant'라면 'was'의 보어는 'what he wanted'여야 한다. 상태 동사인 'become'은 대동사 'do'로 받을 수 없다.

he wanted to become an accountant  (유사 강조 구문)  what he wanted was to become an accountant

he did not want to become an accountant  (유사 강조 구문)  what he wanted was not to become an accountant

 보어의 주어 전환  to become an accountant was not what he wanted = it (= to become an accountant) was not what he wanted

유사 정답 - C : [that it]  [that accounting] : 'do'의 목적어와 동일한 것이려면 'it'은 'accounting'이어야 한다. 하지만 이런 식으로 대명사를 단어로 바꾸는 식으로 문제가 나오지는 않는다.

I studied architecture at first and realized it was not what I wanted to do.

"나는 처음에 건축학을 공부했는데 그게 (건축학) 내가 하기 (공부하기) 원하는 것이 아님을 깨달았다."

[해석] 회계사가 되기 위해서 열심히 공부한 후에 그는 회계사가 되는 것은 자신이 원하는 것이 아님을 알았다.

 

[PT24-17]0860. [강남대학교 2009]

(A)[Those who are] interested (B)[in applying for] the position (C)[should submit] their (D)[detailing resumes to] the Personnel Department.

[PT24-17]0860. [전치 수식의 능동과 수동]

정답 - D : [detailing resumes to]  [detailed resumes to]

detail : (타동사 only) : 상술하다, 상기하다   : (L talea : twig, cutting → F de- : separation + tailer : to cut)   ['tailor'(재단사)와 같은 어원에서]

Some resumes are detailed, others less so.  "일부 이력서는 자세하고, 덜 자세한 것도 있다."

'resumes'를 전치 수식할 때도 이미 형용사로 쓰이는 자세한, 상세한의 뜻인 'detailed'를 써야 한다.

B : be interested in ~ing :  ~하는 데 관심이 있는    apply to 회사, 대학 등등      apply for 일자리, 융자, 비자

[해석] 이 일자리에 지원하는 데 관심이 있는 사람들은 상세히 쓴 이력서를 인사부에 제출하세요.

 

[PT24-18]0861. [대구가톨릭대학교 2004-1]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A)[today] are often pushed so much in the direction of specialization that (B)[little] time is left (C)[for] the further development of the basic reading skills (D)[initiating] in earlier years.

[PT24-18]0861. [후치 수식 분사의 능동과 수동]

정답 - D : [initiating]  [initiated] : 'initiate'(전수하다, 가르치다)가 타동사이므로 목적어 없이 현재 분사가 쓰일 수 없다.

initiate [iníʃièit] : (타동사 only) [사업·개혁·계획 등을] 시작하다, 개시하다, 일으키다; 창시하다; 초보[원리]를 가르치다; [남에게] 비법[비결]을 전수하다; [남을] 입회[가입, 입당]시키다; [개정·조약 등을] 제안[발의]하다   : cause ~ to begin; admit     : (L initium : beginning → L initare → L initiat- : begun → 16 세기 중엽 E initiate) ['initial'과 유사한 어원으로 기억해도 된다. (L in- : into + ire : to go → L inire → L initium → initalis → initial)]

B : 'time'은 불가산 명사인데 'for ~'는 한정이 아니고 분류사로 기능하므로 정관사는 쓰지 않는다.

[해석] 고등학생들과 대학생들은 자주 너무 많이 전문화의 방향으로 떠밀리다 보니 더 어린 시절에 전수받은 기초적인 읽기 능력을 추가적으로 발전시킬 시간이 거의 없다.

 

[PT24-19]0862. [한국항공대학교 2006-1]

Language (A)[processing] is governed by two major (B)[parts] (C)[locating] in the brain's left (D)[hemisphere]: Broca's area and Wernicke's area.

[PT24-19]0862. [후치 수식 분사의 능동과 수동]

정답 - C : [locating]  [located] : 'locate'는  'situate'와 함께 위치시키다의 뜻으로 '위치 타동사'이다. 뭔가가 위치하는 것은 'be located ~'를 사용한다. 좌뇌에 위치한 것이므로 과거 분사를 써야 한다. 'two major parts which are located~'에서 'which are'가 삭제된 경우이다.

[해석] 언어 처리는 좌뇌에 위치한 두 개의 중요한 부분인 브로카령과 베르니케령에 의해 지배된다.

 

[PT24-20]0863. [계명대학교 2006-1]

(A)[Locating in] the heart of the city, the Plaza Ville Hotel is (B)[the most central] luxury hotel (C)[in town]. Each of the 200 rooms (D)[has] a wonderful view of either the river or the mountains.

[PT24-20]0863. [분리된 전치 수식과 위치 타동사의 수동태]

정답 - A : [Locating in]  [Located in] : 호텔의 위치 표시는 'be located in ~'이므로 과거 분사를 사용해야 한다.

C : 'in town'에서 'town'은 기능 무관사로 쓰이고 있다.

[해석] 시 중심부에 위치한 플라자 빌 호텔은 시내의 가장 중심부에 있는 고급 호텔이다. 200 개의 객실 각각은 강 또는 산의 멋진 전망이 있다.

Posted by 연우리
편입 문법 3000 Plus2021. 1. 19. 04:26
728x90

[동영상 강의 유튜브 연우리 영어]  https://youtu.be/WUhgMgYDsAM

[ET24-2-2]0839. ⋆⋆ [서울여자대학교 2011]

Those who criticize religion should have an accurate understanding of ________.

(A) what it is they are criticizing                        (B) what is it they are criticizing

(C) what is they are criticizing it                        (D) what are they criticizing it is

[ET24-2-2]0839. [의문사의 강조 구문의 간접 의문문]

정답 - A : What are they criticizing? (직접 의문문)

What is it (that) they are criticizing? (의문사의 강조)

'전치사 of'의 목적어로 간접 의문문인 'what it is ( ) they are criticizing'이 쓰여야 한다.

[해석] 종교를 비판하는 사람들은 자신들이 무엇을 비판하고 있는지를 정확히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

 

[핵심 문법] 의문사 강조 구문

What drove him mad?  "무엇이 그를 미치게 했나요?"

It was what What drove him mad 

It was what  that  which  drove him mad

It was what that / ( ) / which drove him mad

What was it that / ( ) drove him mad?  "바로 무엇이 그를 미치게 했나요?"

의문사 'what'이 강조될 때 'that'이나 'zero 관계사'가 쓰인다. 'which'는 쓰이는 빈도가 아주 낮다.

I wonder what it was that / ( ) drove him mad. (간접 의문문)

"나는 바로 무엇이 그를 미치게 했는지가 궁금하다?"

What is it ( ) ails you, at all? “도대체 무엇이 당신을 괴롭히고 있습니까?”

강조 구문의 'is it'을 빼고 보면 이해하기 쉽다.

What is it you have θ?   "바로 무엇을 가지고 있어요?"

의문사 'what'을 강조하면서 'that'이 생략된 경우이다. 'is it'을 'do'로 바꾸면 쉽다.

A : Tell me what it is that you suspect. "바로 무엇을 의심하는지 내게 말해라."

B : I have a feeling someone is embezzling money. "누군가가 횡령을 하고 있다는 느낌을 갖고 있어요."

What do you suspect?

You suspect what?

It is what that you suspect

What is it that you suspect?

Tell me what it is (that) you suspect. (간접 의문문 어순)

We had to find out who it was who was promoting violence. "우린 바로 누가 폭력을 조장하고 있었는지를 알아내야만 했다."

'who was promoting violence'에서 의문사인 'who'를 강조하면서 관계사는 'who'를 쓰고 있는데 간접 의문문이므로 'who it was'의 어순이 되고 있다.

Who was it that / who / ( ) was promoting violence? (직접 의문문 'who'의 강조)

'Who was promoting violence?'의 의문사 강조 구문이다.

 

[ET24-2-3]0840. [계명대학교 2003-1]

All __________ is a continuous supply of fuel oil.

(A) what is needed                       (B) that is needed

(C) the thing needed                     (D) for their needs

[ET24-2-3]0840. [유사 강조 구문]

정답 - B : 'Only a continuous supply of fuel oil is needed.'를 'all'을 이용해서 유사 강조 구문으로 전환한 것이다.

A : 선행사가 있으므로 'what'을 쓸 수 없다.

[해석] 필요한 것은 연료가 되는 기름의 지속적인 공급뿐이다.

 

[핵심 문법] 유사 강조 구문(Pseudo-cleft Sentence)

You need a good rest most. "너는 충분한 휴식을 가장 필요로 한다."

A good rest you need most. (Fronting) "충분한 휴식이 너는 가장 필요하다."

It is a good rest that you need most. (Cleft Sentence)

"충분한 휴식이야말로 네가 가장 필요로 하는 것이다."

What you need most is a good rest. (Pseudo-cleft Sentence)

"네가 가장 필요로 하는 것은 충분한 휴식이다."

보통의 문장을 문장의 구조를 변형시킴으로써 강조하고 싶은 부분을 강조할 수가 있다. 예컨대 첫 문장에서 목적어(a good rest)를 강조하고 싶어서 그 목적어를 맨 앞으로 보내는 방법을 택할 수가 있는데 이를 'Fronting'(선행)이라고 한다.

'It ~ that ~강조 구문'은 흔히 '분리 강조 구문' 또는 '분열문'이라고 하는데 이는 하나의 문장을 두 개로 분리시킨 후에 접속사 'that'(또는 which, who )을 이용하여 하나로 다시 연결하기 때문에 붙여진 명칭이다.

마지막으로 '선행사 포함의 관계사 what'이나 '선행사 + 관계절'을 주어로 하고 2형식으로 'be 동사'를 사용하는 강조 구문이 있는데 이를 '유사 강조 구문'이라 한다.

You have only to study hard. "너는 열심히 공부하기만 하면 된다."

이 문장에서 'to study hard'를 강조하고 싶으면 '~하기만 하면 되다'를 대신하여 선행사 'all'을 사용해서 '~해야만 되는 것은 ~이 전부다'로 바꿔서 표현할 수가 있다. 'study ' 대신 일단 '대동사 do'를 써서 관계절을 만들면 'all (that) you have to do'가 되고 보어로 'to study hard'를 쓰고 'be 동사'로 다시 연결하면 '유사 강조 구문'이 만들어진다.

 All you have to do / *to is (to) study hard.

"네가 해야 될 것은 열심히 공부하는 게 다다. / 공부하는 것뿐이다."

동사와 관련이 있는 부분을 유사 강조구문으로 강조할 때는 '대동사 do'를 사용해야 하고 보어로는 부정사를 사용한다. 다만 이런 경우 흔히 원형 부정사를 쓰기도 하는데 그것은 대동사가 쓰이고 'be 동사'가 나오면 이미 유사 강조 구문임을 알기 때문에 원형이 쓰여도 그것이 부정사임을 다 이해하기에 가능한 것이다.

All we had to do was follow the map. "우리가 해야만 했던 것이라곤 지도를 따르는 것이었다."

What you need most is to take a good rest. / *take a good rest.  "당신이 가장 필요로 하는 것은 잘 쉬는 것이다."

앞에 '대동사 do'가 없을 때는 원형 부정사를 쓸 수는 없다.

He only complains.  All he does is (to) complain. "그가 하는 것이라고는 불평뿐이다."

Least of all do I want to hurt you. "너를 해치고 싶은 생각은 조금도 없다."

 The last thing I want to do is (to) hurt you. "내가 결코 원치 않는 것이 너를 해치는 것이다."

David lost his job last year, so what he did was sell his apartment.

"데이비드는 작년에 그의 직장을 잃었고 그가 한 것은 그의 아파트를 판 것이었다."

It is his callousness that I shall ignore. (Cleft Sentence)  "내가 보고도 못 본 체할 건 바로 그의 냉담함이다."

The thing I shall ignore is his callousness. "내가 보고도 못 본체 할 것은 그의 냉담함이다."

What I shall ignore is his callousness.

His callousness is something I shall ignore.

When you get caught between the moon and New York city, the best you can do is (to) fall in love. (= ~, you'd best fall in love.)  "달과 뉴욕 시 사이에 갇혀 있을 때 할 수 있는 최선은 사랑에 빠지는 것이다."

He has spoilt the whole thing. "그가 전부다 망쳐 놓았다."

 What he has done is (to) spoil the whole thing. "해 놓은 거라곤 다 망쳐놓은 것뿐이야."

대동사의 형태가 ★과거 분사여도 아무런 상관이 없다.

I am going to teach him a lesson. "그에게 본때를 보여주겠다."

 What I am going to do to him is (to) teach him a lesson.

"그 녀석에게 뭘 할 것이냐면 본때를 보여줄 거야."

I am teaching him a lesson. “그 녀석에게 본때를 보여주고 있는 중이야.”

 What I am doing is teaching him a lesson. / *to teach him a lesson.

"뭐 하고 있냐고 본때를 보여주고 있는 중이야."

진행 의미일 때는 자체로는 진행의 의미가 없는 부정사를 쓰면 안 되고  ★진행 의미를 가질 수 있는 동명사를 써야만 한다.

Cry for help was all I did. "내가 한 것이라곤 도와 달라고 외친 것뿐이다."

유사 강조 구문이 도치되어 맨 앞에 원형이 나타난 문장이다.

 

Posted by 연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