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각 동사 수동태 뒤의 to 부정사'에 해당되는 글 3건

  1. 2022.04.21 지각 동사 수동태 뒤의 to 부정사 1
  2. 2022.04.19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739회]
  3. 2021.01.09 be seen 뒤의 to 부정사
문법2022. 4. 21. 17:36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BHj2RvC1nUQ

#     This was the last time in his life that he was heard (A)[raise] his voice. Henceforth he spoke always in a monotonous whisper like an instrument (B)[of which all] the strings but one are broken in a last ringing clamour under a heavy blow. 
    She rose (C)[to her feet] and looked at him. The very violence of his cry soothed her in an intuitive conviction of his love, and she hugged (D)[to her breast the lamentable remnants of] that affection with the unscrupulous greediness of women who cling desperately to the very scraps and rags of love, any kind of love, as a thing that (E)[of right belongs to] them and is the very breath of their life. She put both her hands on Almayer's shoulders, and looking at him half tenderly, half playfully, she said ~ ~
                                                  [「올마이어의 어리석음」, 조지프 콘래드, 141쪽]
 
#   (A), (B), (C), (D), (E) 중에서 문법적으로 잘못된 것은?
 
[해석]   이것이 그가 목소리를 높이는 것이 들린 마지막 때였다이후로는 항상 단조롭게 속삭이듯 말했다. 마치 하나의 현만을 제외하고 모든 현이 강력한 타격에 마지막으로 울리는 아우성으로 끊어진 악기 같았다.
    그녀는 일어서서 그를 쳐다보았다. 그의 목소리의 폭력성에서 그의 사랑을 직관적으로 확신하면서 그녀는 위로를 받았다. 그녀는 그 애정의 비탄스러운 찌꺼기를 가슴에 안았다. 사랑의 남은 편린에 결사적으로 매달리는 여자들의 거리낌 없는 탐욕으로. 어떤 사랑이든 자신들의 것이 마땅한, 자신들의 삶의 숨결인 듯이. 그녀는 올마이어의 어깨에 두 손을 올리고 반쯤은 부드럽게, 반쯤은 장난치듯 바라보면서 말했다. ~ ~
[정답]    (A) [raise] → [to raise]
 
[어휘 또는 표현]
of right : 당연한 권리로서, 당연한 권리가 있는
[해설]

[핵심 문법수동문의 지각 동사의 'to 부정사'

지각 동사가 수동태로 쓰이면 원형 부정사를 쓰지 않고 'to 부정사'를 써야 한다그 이유에 대해서는 간단하게는 지각 동사가 원형 부정사를 지배하는 힘이 약해졌기 때문이라고도 한다이제는 좀 더 자세히 알아보기로 한다.

saw him enter the building at 10.  "내가 보았어그가 10시에 그 건물에 들어가는 것을."

He was seen *enter to enter the building at 10. "본 사람이 있어그는 10시에 그 건물에 들어갔다."

능동문은 문의 의미 중심(cf. theme)이 'I saw'라는 'perception'(지각)에 있는 반면 수동문은 문의 의미 중심이 'He ~ to enter ~'(그가 들어갔다)라는 'fact'(사실)에 있다그래서 수동문에서 'was seen'은 'He ~ to enter ~'가 사실이라고 말하는 '근거 제시'가 된다.

이를 그림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was seen   -----------➜   enter

근거 제시 근거에 따른 사실

여기서 보듯이 근거의 제시인 'was seen'과 근거에 따른 '사실인 enter' 사이에는 전후 관계가 존재하므로 당연히 'to'가 쓰여야 한다.

*He was watched to cross the street.

'watch'는 'see'와 달리 자발적으로 보는 것이기 때문에 보는 주체가 나타나야 하고 근거 제시로는 쓰이지 못한다.

The accused man was observed to enter the bank. "피고인이 은행에 들어가는 것이 목격되었다고 한다."

신문 기사라면 그리고 증인이 누군지 모르거나 밝히기 싫다면 이런 표현을 쓸 것이다.

He was heard *laugh to laugh.  "그가 웃는 소리가 들렸다."

'was heard'는 직접 눈앞에서 보면서 웃는 소리를 들은 것이 아니고 예컨대 방 밖에서 소리를 들어보니 그가 웃는 것임을 알았다고 말하는 것이며 이 점에서 'was heard'는 근거 제시이며 따라서 뒤에 'to 부정사'가 따라야 한다.

This was the last time in his life that he was heard to raise his voice. Henceforth he spoke always in a monotonous whisper. "이것이 그가 목소리를 높이는 것이 들린 마지막 때였다이후로는 항상 단조롭게 속삭이듯 말했다."

이 문장에서 수동 부분을 능동으로 쓰는 것은 글의 흐름상 뒤의 문장의 'he'와 자연스럽게 이어지지 못해서 곤란하다.

McKinley was overheard to say that he would like to get the knife into Spencer's possessions. 

"누군가 엿들은 사람에 따르면 매킨리는 그 칼을 스펜서의 물건들 사이에 놔두고 싶다고 말했다고 한다."

여기서는 'overhear'가 수동으로 쓰였지만 'overhear'와 'notice'는 좀처럼 수동으로 쓰이지 않는다.

The smallest pin could be heard drop"아무리 작은 핀이 떨어져도 들을 수 있을 정도로 조용했다."

Not only a pin, even a dead mosquito, might have been heard drop.

"핀은 물론이고 죽은 모기가 떨어져도 들을 수 있을 정도로 조용했다."

위의 두 예문에서는 절대적인 조용함을 강조하려고 수동형이 쓰인 것이지 근거 제시로 쓰인 것이 아니므로 수동문임에도 불구하고 원형 부정사가 쓰이고 있다.

The smallest pin could be heard to drop.  "소리로 보건대 가장 작은 핀이 떨어졌을 것이다."

이 문장은 좀처럼 쓰이기 어려운 문장이다테이블 위에 여러 가지 핀들을 놓고 분류를 하고 있는데 떨어지는 것을 보지는 못하고 소리만 듣고 그 소리로부터 추론해서 가장 작은 핀이 떨어졌을 거라고 말하는 경우에나 가능하다.

*He wasn't seen to cross the street.

They didn't see him cross the street. "그들은 그가 길을 건너는 것을 보지 못했다."

능동문은 'not'이 'see'만을 부정하기 때문에 '보지는 못했지만 건넜다'라는 쪽의 의미를 갖는다수동문의 경우는 매우 이해하기 어려우므로 'no longer'가 쓰이는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부정문으로 된 수동태는 쓰지 못한다고만 기억하자.

He was no longer seen to cross the street. "그가 길을 건너는 것을 더 이상 볼 수 없었다."

Patriotic Englishmen have been known to strike in time of war.

"알려진 바에 따르면 애국적인 영국인들도 전쟁 시에 파업을 했다고 한다."

 

'know'의 경우에도 수동문으로 쓰이면 'to'를 써야 한다.

[본문]

This was the last time in his life that he was heard (A)[to raise] his voice.

 

Posted by 연우리
편입 문법 3000 Plus2022. 4. 19. 00:34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DHujTAfiXo0

3643. [영남대학교 2020]

None of the candidates [            ] was accepted.

(A) applying          (B) application           (C) applied           (D) been applying

3643. [후치 수식 준동사(비정형 동사)]

정답 - A  : 'was'가 정동사이므로 앞 부분은 후치 수식이어야 한다. 'None of the candidates who (had) applied'에서 'who'를 삭제하면 'applied'는 준동사로 바뀌어야 한다. 능동이므로 현재 분사로 바뀌어야 한다. '현재 분사'는 시점 동시적인 분사라고 하지요. 

C : 'applied'가 과거형이라면 정동사이므로 '주어 정동사' 뒤에 의악형 정동사 'was'가 따르므로 곤란해집니다. 과거 분사라면 수동이고 '지원 당하는 것이므로' 곤란하다.

[해석]   지원한 지원자들 어느 누구도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3644. [영남대학교 2020]

Strange [       ] it seems, the most common way of gaining illegal entry into residences is through unlocked doors.

(A) as            (B) if           (C) so             (D) such

3644. [술어부 선행의 양보]

정답 - A  : 'seems'의 보어가 안 보이므로 'strange'는 선행된 것입니다. 선행되면 'as'는 90% 양보로 사용됩니다.

[해석]   이상하게 보이지만 주거지에 불법 침입을 하는 가장 흔한 방법은 잠기지 않은 문으로 들어가는 겁니다.

 

3645. [수원대학교 2020]

A decent (A)[respect to] the opinions of mankind (B)[require] that they (C)[should] declare the causes (D)[which] impel them to the separation.

3645. [일치 방해부와 청유형]

정답 - B  : [require] → [requires]  : 'to the opinions of mankind'는 일치 방해부입니다. 'respect'가 주어이므로 단수 일치형인 'requires'를 사용해야 합니다.

C : 'requires'가 청유형 동사이므로 'that 절'에는 '(should) 원형'을 사용합니다.

[해석]   인류의 의견들을 제대로 존중하려면 각 나라들이 분리할 수밖에 없는 이유를 선포해야만 한다고 합니다.

 

3646. **[수원대학교 2020]

The investigator found the (A)[very] car (B)[that] the (C)[alleged] criminal had been witnessed (D)[use].

3646. [지각 동사 수동태 뒤의 'to 부정사']

정답 - D  : [use] → [to use] > [using]

So you actually witnessed him use the totem to control fire?

"실제로 그가 불을 조절하기 위해 토템을 사용하는 것을 목격했다고?"

'witness'는 어원을 조금 다르지만 'see'와 마찬가지로 지각 동사로 여겨 목적어 뒤에는 원형 부정사를 사용한다. 이유는 목격하는 사건과 사용하는 사건이 동시적이어서 이후 관계를 나타내는 'to'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다.

I never ever witnessed him using drugs. "나는 그가 마약을 쓰는 것을 (일 순간도) 본 적이 없었다."

'지각 동사 목적어' 뒤에 현재 분사가 오는 경우는 분사가 진행의 의미를 띠고 있어서 일시적인 모습(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게 된다.

He was witnessed to use often vulgar words with Subordinates and resorting to abusive language.

"목격된 바에 따르면 그는 종종 부하들과 저속한 말을 하면서 욕설을 해댔다고 한다."

지각 동사가 수동태가 되면 동시적인 사건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고 ['근거 제시' → '제시되는 내용']의 전후 관계가 성립하기 때문에 전후 관계를 나타내는 'to 부정사'가 사용되게 된다.

[본문제]

The investigator found the (A)[very] car (B)[that] the (C)[alleged] criminal had been witnessed (D)[to use] / [using].

수동태이므로 지각 동사여도 'to 부정사'를 사용해야 하면 의미 차이가 있지만 '현재 분사'(using)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한 사건 전체를 목격했으면 'to use'를 사용할 것이고 일 순간이라도 목격했다면 'using'을 사용할 것이다. 대체로 'to use'를 답으로 한다.

[해석]   조사관은 목격된 바에 따르면 범인으로 추정되는 자가 사용했다는 바로 그 차를 발견했다.

[ET48-2-1]1997.  [울산대학교 2008-1]

She (A)[was seen] (B)[go into] the theater (C)[with] her (D)[boy friend].

[ET48-2-1]1997. [지각 동사의 수동태의 to 부정사]

정답 - B : [go into] → [to go into] : 'saw(지각 동사) her(목적어) + go(원형 부정사)'가 수동태로 전환되면 'She was seen to go'로 바뀐다지각 동사가 수동태가 되면 원래의 목적격 보어인 원형 부정사는 'to 부정사'로 바뀐다.

[해석그녀는 보이프렌드와 함께 극장으로 들어가는 것이 목격되었다.

 

[핵심 문법수동문의 지각 동사의 'to 부정사'

지각 동사가 수동태로 쓰이면 원형 부정사를 쓰지 않고 'to 부정사'를 써야 한다그 이유에 대해서는 간단하게는 지각 동사가 원형 부정사를 지배하는 힘이 약해졌기 때문이라고도 한다이제는 좀 더 자세히 알아보기로 한다.

saw him enter the building at 10.  "내가 보았어그가 10시에 그 건물에 들어가는 것을."

He was seen *enter to enter the building at 10. "본 사람이 있어그는 10시에 그 건물에 들어갔다."

능동문은 문의 의미 중심(cf. theme)이 'I saw'라는 'perception'(지각)에 있는 반면 수동문은 문의 의미 중심이 'He ~ to enter ~'(그가 들어갔다)라는 'fact'(사실)에 있다그래서 수동문에서 'was seen'은 'He ~ to enter ~'가 사실이라고 말하는 '근거 제시'가 된다.

이를 그림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was seen   -----------➜   enter

근거 제시 근거에 따른 사실

여기서 보듯이 근거의 제시인 'was seen'과 근거에 따른 '사실인 enter' 사이에는 전후 관계가 존재하므로 당연히 'to'가 쓰여야 한다.

*He was watched to cross the street.

'watch'는 'see'와 달리 자발적으로 보는 것이기 때문에 보는 주체가 나타나야 하고 근거 제시로는 쓰이지 못한다.

The accused man was observed to enter the bank. "피고인이 은행에 들어가는 것이 목격되었다고 한다."

신문 기사라면 그리고 증인이 누군지 모르거나 밝히기 싫다면 이런 표현을 쓸 것이다.

He was heard *laugh to laugh.  "그가 웃는 소리가 들렸다."

'was heard'는 직접 눈앞에서 보면서 웃는 소리를 들은 것이 아니고 예컨대 방 밖에서 소리를 들어보니 그가 웃는 것임을 알았다고 말하는 것이며 이 점에서 'was heard'는 근거 제시이며 따라서 뒤에 'to 부정사'가 따라야 한다.

This was the last time in his life that he was heard to raise his voice. Henceforth he spoke always in a monotonous whisper. "이것이 그가 목소리를 높이는 것이 들린 마지막 때였다이후로는 항상 단조롭게 속삭이듯 말했다."

이 문장에서 수동 부분을 능동으로 쓰는 것은 글의 흐름상 뒤의 문장의 'he'와 자연스럽게 이어지지 못해서 곤란하다.

McKinley was overheard to say that he would like to get the knife into Spencer's possessions. 

"누군가 엿들은 사람에 따르면 매킨리는 그 칼을 스펜서의 물건들 사이에 놔두고 싶다고 말했다고 한다."

여기서는 'overhear'가 수동으로 쓰였지만 'overhear'와 'notice'는 좀처럼 수동으로 쓰이지 않는다.

The smallest pin could be heard drop"아무리 작은 핀이 떨어져도 들을 수 있을 정도로 조용했다."

Not only a pin, even a dead mosquito, might have been heard drop.

"핀은 물론이고 죽은 모기가 떨어져도 들을 수 있을 정도로 조용했다."

위의 두 예문에서는 절대적인 조용함을 강조하려고 수동형이 쓰인 것이지 근거 제시로 쓰인 것이 아니므로 수동문임에도 불구하고 원형 부정사가 쓰이고 있다.

The smallest pin could be heard to drop.  "소리로 보건대 가장 작은 핀이 떨어졌을 것이다."

이 문장은 좀처럼 쓰이기 어려운 문장이다테이블 위에 여러 가지 핀들을 놓고 분류를 하고 있는데 떨어지는 것을 보지는 못하고 소리만 듣고 그 소리로부터 추론해서 가장 작은 핀이 떨어졌을 거라고 말하는 경우에나 가능하다.

*He wasn't seen to cross the street.

They didn't see him cross the street. "그들은 그가 길을 건너는 것을 보지 못했다."

능동문은 'not'이 'see'만을 부정하기 때문에 '보지는 못했지만 건넜다'는 쪽의 의미를 갖는다수동문의 경우는 매우 이해하기 어려우므로 'no longer'가 쓰이는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부정문으로 된 수동태는 쓰지 못한다고만 기억하자.

He was no longer seen to cross the street. "그가 길을 건너는 것을 더 이상 볼 수 없었다."

Patriotic Englishmen have been known to strike in time of war.

"알려진 바에 따르면 애국적인 영국인들도 전쟁 시에 파업을 했다고 한다."

'know'의 경우에도 수동문으로 쓰이면 'to'를 써야 한다.

[PT48-13]2015. [한국외국어대학교 2002-1]

Select one which is grammatically correct.

(A) Larry expected his brother pass the exam.

(B) Fred helped his mother clean the room.

(C) Sandy got her sister take the medicine.

(D) Tiger was believed win the game.

(E) Jim was made investigate the case.

[PT48-13]2015. [help 목적어 + (to) V]

정답 - B : 'help 목적어다음에는 '원형 부정사'나 'to 부정사'가 따른다.

[해석] 프레드는 엄마가 방을 청소하는 것을 도왔다.

A : [pass] → [to pass] : expect 목적어 + to v

[해석] 래리는 그의 형이 시험에 붙을 것으로 예상했다.

C : [take] → [to take] : 설득적 사역 get 목적어 + to v

[해석] 샌디는 여동생을 설득해서 약을 먹게 했다.

D : [win] → [to win] : 'It was believed that Tiger would win the game.'에서 S-S 상승.

[해석] 타이거는 게임에서 승리할 것으로 믿어졌다.

E : [investigate] → [to investigate] : 사역 동사가 수동태가 되면 'to'는 다시 살아난다.

[해석] 짐은 어쩔 수 없이 그 사건을 수사해야 했다.

 

Posted by 연우리
문법2021. 1. 9. 03:42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VuIJHKwsiKQ

#  Why did the patrol stop? Why didn't they just keep going? Lingering in the neighborhood is exactly what the priest told them not to do. The priest went back to  the soldiers and (A)[pleaded with] them again. If they stopped the tear gas, he said, he would get the crowd (B)[to stop throwing] stones. The soldiers didn't listen. Their instructions were to get tough and be (C)[seen get tough] with thugs and gunmen. The priest turned back toward the crowd. As he did, the soldiers fired off another round of tear gas. The canisters fell at the feet of the priest, and he staggered across the street, (D)[leaning on] a windowsill as he gasped for air. In a neighbored so devout (E)[that four hundred] people would show up for mass on a typical weekday, the British Army gassed the priest.

 

# (A), (B), (C), (D), (E) 중에서 문법적으로 잘못된 것은?

 

[해석]  순찰차는 왜 멈췄을까요? 왜 그냥 계속 가지 않았을까요? 동네 근처에서 머문 것은 정확하게 신부님이 그들에게 하지 말라고 했던 것이다. 신부님은 군인들에게 가서 다시 설득했다. 최루탄을 멈추면 사람들을 설득해서 돌 던지지 않게 하겠다고 신부님은 말했다. 군인들을 듣지 않았다. 그들의 행동 지침은 거칠게 굴고 폭력배와 총을 든 녀석들에게는 거칠게 보이라는 것이었다. 신부님은 사람들에게 다시 돌아갔다. 그럴 때 군인들은 최루탄을 한 무더기로 쏘았다. 최루탄 통들이 신부님의 발밑에 떨어졌고 신부님은 비틀거리며 거리를 가로질러 유리 창턱에 기대어 숨을 쉬려했다. 평일날에 4백 명이 미사에 참가하는 신성한 동네에서 영국군이 신부님을 독가스로 중독시킨 것이었다.

[정답] (C)[seen get tough → seen to get tough]

 

[어휘 또는 표현]

patrol [pətróul] : [군사] 정찰[순찰] 대; 정찰[초계] 기; 순찰자; 순찰차; 순회, 순시 : (F : patte : paw +  gadrouille : dirty water → F patrouille : paddle in mud → patroulle → German Patrolle) [손으로(paw) 더러운 물이나 흙탕(mud)을 저어보는 데서 유래했다고 하는데 어원이 도움이 안 된다. 그냥 외우자.]

plead [pliːd] : 탄원하다, 간청하다; 변호하다, 변론하다; (변호, 변명으로) 항변하다  : (L placere : to please) [복잡한 어원 형성 과정은 무시하고 'please'로 기억하자.]

thug ʌg] : 폭력배, 악당  : (Hindi thag : swindler, cheat) [인도 식민지에서 영국인들이 불량한 인도인들을 부르던 인종 차별적인 언어에서.]

canister [kǽnəstər: 작은 깡통; (대포) 산탄  : (Gk kanna : cane, reed → Gk kanastron : wicket, basket → L canistrum, E cane) [어원과 상관없이 'can'(깡통)으로 연상하자.]

devout [diváut] : 경건한, 독실한; (한정적)[언행·소망 등이] 성실한; [사람이] 열성적인 : (L devovere → L devotus : devoted → O F devot, E devote) ['devote'와 같은 어원에서]

devote [divóut] : 바치다; 헌납하다; 일신을 바치다, 헌신하다  : (L de- : 강화사 또는 formally + vovere : to vow(맹세하다)) ['vote'도 맹세하고 하는 거죠.]

he would get the crowd (B)[to stop throwing] stones

'get'이 설득적 사역 동사임을 해석에 살렸다. 돌 던지던 것을 중단한 것이므로 동명사를 사용한 것은 적합하다.

[해설]

to get tough and be (C)[seen to get tough] with thugs and gunmen

수동은 본 것을 추론으로 '거치게 행동한 것'이므로 전후 관계가 발생해서 'to 부정사'를 사용해야 한다.

 

Posted by 연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