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 JC9YXYmAAic
3736. [가천대학교 2019]
I think about what it must have been (A)[likely] for my parents at this moment. They must have felt the shock of finality, of realizing (B)[what] was happening could not be revised. Where they (C)[ended] up, they wouldn't know the language. The life they knew was over and they had only a dim sense of (D)[what] the future held.
3736. ['what'의 자격과 흔적 자리]
정답 - A : [likely] → [like] : '의문사 what'의 흔적 자리가 되기 위해서는 전치사 'like'이 사용되어야 한다.
[해석] 이 순간 제 부모님들에게 그것은 틀림없이 무엇이었을까에 대해 나는 생각한다. 부모님들은 틀림없이 최종적인 쇼크, 일어나고 있었던 것은 고칠 수가 없다는 쇼크를 느꼈을 것이었다. 그들이 마무리하는 곳에서 거기 언어를 모를 것이었다. 아는 삶은 끝났고 미래가 어떨지에 대해 희미하게만 인식했다.
3737. *[가천대학교 2019]
The (A)[finding] by Wolfe-Simon of NASA increases the possibility for finding life in the universe. Nonetheless, she faces some skeptics who wonder if laboratory procedures (B)[followed] were adequate enough (C)[to remove] all doubt. These scientists argue that proper controls were not in place to (D)[absolute] guarantee the validity of the conclusion drawn.
3737. [형용사와 부사 관계절과 후치 수식]
정답 - D : (D)[absolute] → [absolutely] : 뒤에 목적어인 'the validity ~'가 따르므로 'guarantee'는 동사이므로 부사인 'absolutely'가 사용되어야 한다.
(B) [followed] = that were followed (by ~) : 순서 개념이(A사건 was followed by B사건 = A and(그리고) B) 아니고 행위자 표시 개념의 'by 이하'가 따르는 경우로 보면 'that were'를 탈락시키면 'followed'만 남을 수 있다. 뒤에 'by her (and her teammates)' 정도가 생략된 거라면 'followed'는 단독으로 후치 수식할 수 있겠습니다.
the conclusion drawn ← the conclusion (which was) drawn : 홀로 남은 과거 분사는 전치 수식으로 보낼 수도 있지만 (the drawn conclusion) 반복성을 나타내려면 뒤에 홀로 남기게 된다.
[해석] 나사의 울프-사이몬의 발견은 우주에서 생명체들을 발견할 가능성을 높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녀는 일부 회의론자들을 대면하게 된다. 이들은 뒤따르는 실험실의 과정들이 모든 의심을 제거하기에 충분한지 궁금해한다. 이런 과학자들은 적절한 통제 수단들이 이끌어지는 결론의 타당성을 절대적으로 보장할 만 하지 않다고 주장한다.
3738. *[광운대학교 2019]
다음 중 어법 상 적절하지 않은 것은?
(A) What I'll do is postpone the meeting.
(B) What I object to is that he lied about it.
(C) Whether we will finish on time ruined the afternoon.
(D) While I was working in Boston, I lived with my aunt.
(E) Whether we will succeed depends primarily on the weather.
3738. [유사 강조문 기타]
정답 - C : 'ruined'의 주어 자리에는 '~냐 아니냐'는 사용될 수 없다. 'VP'(동사구) 밖에 있으면서도 동사의 의미 상의 지배를 받기에 넓은 의미에서 보어인데 'external complement'라 칭하기도 한다. 시제를 '과거'(finished)로 바꿔도 안 되기는 매일반이다. 이상한 해석만 가능하다. 'our not finishing on time' 정도면 주어 자리에 사용될 수도 있을 듯.
E : '~냐 아니냐'는 'depends'의 주어로 사용될 수 있다.
[해석] 우리가 성공하게 될지는 주로 날씨에 달려있다.
A : = What I'll do is (to) postpone the meeting. ← I'll postpone the meeting. : 'what'을 이용해서 유사 강조구문을 만들 때 앞에 'do'가 나와 있으므로 'to'를 생략할 수 있다.
[해석] 내가 하려는 건 회의를 연기하는 것이야.
B : I object that he lied about it. → What I object to is that he lied about it. : 'what'을 이용해서 유사 강조 구문을 만들 때 명사인 'what'과 이어지려면 전치사 'to'가 있어야 한다.
[해석] 내가 반대하는 것은 그가 그것에 관해 거짓말을 했다는 거다.
D : 진행형은 시간 축소를 표현하기도 한다. '집에서'의 뜻으로는 'with ~'면 충분하다.
[해석] 보스턴에서 일하는 동안 고모[이모]네 집에서 살았다.
3739. *[아주대학교 2019]
It was ironic that the yuppies came to be so reviled (A)[for] their vaunting ambition and outsized expectations, as if they (B)[invented] the habit of more, when in fact they'd only inherited it (C)[the way] a fetus picks up an addiction (D)[in the womb]. The craving was there in the national bloodstream, and the baby boomers found themselves in the melancholy position of wrestling with a two-hundred-year dependency on a drug that was now (E)[in short supply].
3739. ['as if 절' 내의 가정법]
정답 - B : → [had invented] : 'as if' 절에는 가정법일 경우 주절과 동일 시점의 뻥이면 가정법 과거, 이전 시점의 뻥이면 가정법 과거 완료를 사용한다. 'came' 보다 앞선 시점에서의 뻥이므로 'had invented'를 사용해야 한다.
C : 'the way' 앞에 전치사 생략.
D : 신체의 일부는 정관사를 사용한다.
[해석] 여피들이 교만한 야망과 특대형의 기대치에 대해서 마치 '더 많이'의 습관을 만들어 냈던 양 아주 욕을 먹게 되었던 것은 아이러니하다. 기실 이들은 태아가 자궁안에서 중독되는 식으로 그걸 물려받았기 때문이다. 갈망은 거기 국민의 피에 있었고 베이비 부머들은 이제는 공급 부족인 약에 대한 200 년 간의 의존과 싸워야 하는 우울한 처지에 처해 있음을 알게 되었던 것이다.
[CT5-66]2974. ⋆ [광운대학교 2011]
다음 중 가정문 어법으로 틀린 것을 고르시오.
(A) If the Korean War wouldn't take place, Korea could be a stronger nation.
(B) Were the sun to rise in the west, Ms. Kim would marry you right now.
(C) Had it not been for the U.S. help, Korea could not have come this far.
(D) Mr. Kobayashi speaks English very well as if he were a native speaker.
(E) I wish I had chosen a different university for my education.
[CT5-66]2974. [혼합 가정법]
정답 - A : [wouldn't take place] → [hadn't taken place] : 전쟁이 일어난 것은 과거이므로 가정법 과거완료를 사용하고 귀결절은 현재 상황이므로 가정법 과거가 쓰인 경우이다.
[해석] 한국 전쟁이 발발하지 않았더라면 지금 한국은 더 강한 나라가 되어 있을 수도 있다.
B : Were the sun to rise ~ = If the sun were to rise ~ : 'were to 가정법'의 도치형이다.
[해석] 만약 태양이 서쪽에서 뜬다면 Ms. Kim은 지금 당장 결혼하겠지만.
C : Had it not been for ~ = If it had not been for ~ : 가정법 과거완료의 도치형이다.
[해석] 미국의 도움이 없었더라면 한국은 이만큼 오지 못했을 수도 있다.
D : 'as if 가정법 과거'가 쓰인 경우이다.
[해석] Mr. Kobayashi는 마치 모국어 화자인 것처럼 영어를 아주 잘 말한다.
E : 'wish' 다음에 가정법 과거 완료가 쓰인 경우이다.
[해석] 다른 대학을 선택해서 교육을 받지 못한 것이 아쉽다.
'편입 문법 3000 Plu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766회] (0) | 2022.06.16 |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765회] (0) | 2022.06.14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763회] (0) | 2022.06.09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762회] (0) | 2022.06.07 |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761회] (0) | 2022.06.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