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 aM7WRDPbFWI
#1. D.D. nodded. "All right. We're getting somewhere now. We have a killer who identifies with Harry Day and who has possibly forged a relationship with Day's equally homicidal daughter. Cool."
"The daughter who's already predicted that we'll let her out of prison first thing tomorrow," Phil added more slowly. "I'm gonna guess that's what's in (A)[ ] for her."
"Not gonna happen," D.D. said.
"Agreed," Superintendent McKinnon stated firmly. "My prisoner, my facility. Period."
#2. You'll be in for (B)[ ] when they find out who broke the window.
# (A)와 (B)에 공통으로 들어갈 단어는?
[#1. 해석] 디디는 동의한다. "좋아요. 지금 우리는 성과를 얻고 있어요. 해리 데이와 공감하고 똑같이 살인범인 해리의 딸과 어쩌면 관계를 갖게 된 킬러가 있는 거네. 멋지네."
"내일 아침 최우선적으로 자신을 감방에 내보내 줄 거라고 예측한 바로 그 딸." 필은 더 천천히 덧붙인다. "그게 그 여자에게 무슨 이익이 되는 것인지 추측해보겠어."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아."라고 디디는 말한다.
"저도 동의해요."라고 형무소장인 매키넌은 단호하게 말한다. "내 죄수, 내 담당 시설. 더 얘기할 필요가 없지."
[#2. 해석] 누가 창문을 깼는지 알아내면 넌 어려움에 처할 거야 (혼날 거야).
[정답] (A)와 (B) : it
[어휘와 표현]
get somewhere : 성공하다; 잘 되어가다
gonna = going to
period : 점, 땡, 더 할 말 없음
What's in it for me? "나한테는 뭐가 돌아오는 건데?", "나한테는 뭐 해줄 건데?", "나에게 유리한 점은 뭔데?"
be in for it(= trouble) : to be about to receive punishment : 안으로 들어가서(in) 어려움(trouble)을 향하게 되다.
[해설] 같은 ''it'이 사용되지만 'be in it for ~'에서 'it'은 '그 일', '거기에서'의 뜻이고 'be in for it'에서 'it'은 '어려움', '곤란'의 뜻이다.
to be very likely to face trouble, punishment, or retribution
I'm telling mom and dad that you broke the window. You're in for it now!
"엄마, 아빠에게 네가 창문 깼다고 말할 거야. 너 이제 혼날 거야!"
I'll be in for it once they realize the money is gone.
"일단 게들이 돈이 없어진 거 알면 나는 큰일 날 거야."
A : Can you do me a favor?
B : What's in it for me? "나한테 뭐 해줄 건데?" = What do I get in return? = What do I get out of it?
But, "it's not organizations that resist change; people resist," says Isabella. "The people have to see what's in it for them." None of this is to say you won't get your new idea accepted, but the idea alone is almost less important than how you get people to buy into it, she explains. Put another way, how you frame the idea matters more.
하지만 "변화에 저항하는 것은 조직이 아니고 사람들이다."라고 이사벨라는 말한다. "이 사람들은 거기에 자신들에게 무슨 이득이 있는가를 알려고 한다." 이 모든 것은 당신의 새로운 아이디어를 받아들여지게 하지 못한다는 것이 아니고 그 아이디어만으론 사람들이 그걸 믿게 하는 방법보다도 거의 덜 중요하다고 그녀는 설명한다. 달리 말하면 아이디어의 프레임을 짜는 게 더 중요하다는 것이다.
'표현' 카테고리의 다른 글
can't fight my way out of 쌈 마이 웨이 (0) | 2021.10.31 |
---|---|
smart : 찔림, 쑤심 or 건방짐 (0) | 2021.10.27 |
get on the horn과 I got it과 You got it (0) | 2021.10.22 |
Ditto 마찬가지 (0) | 2021.10.20 |
as far back as ~ (0) | 2021.1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