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법2022. 6. 17. 05:58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bVdKFcpzFlY

#     ~ ~ In England of the eighteenth century, globalization brought new medicines and new treatments that saved many lives--but mostly the lives of those who could afford them.  While the new methods eventually lowered death rates for everyone, it was the aristocracy (A)[      ] life chances first pulled away from those of the common people. By the end of the nineteenth century, the development and acceptance of the germ theory of disease had set the stage for another explosion of progress as well as for the opening up of another great chasm--this time between the life chances of those who were born in rich countries and the chances of those who were not.
 
#      빈칸 (A)에 들어갈 한 단어는?
 
[해석]     18 세기 영국에서는 세계화가 많은 사람들을 구한 새로운 의학과 치료법을 가져다주었지만 이들은 대부분 그럴 여유가 있는 사람들이었다. 새로운 치료법들이 궁극적으로 모든 사람의 사망률을 낮췄지만 다름 아닌 귀족층들의 생존율만이 처음으로 보통 사람들의 생존율을 멀리 떼어놓았다. 19 세기가 끝날 무렵에는 질병에 대한 병균 이론이 생겨나 받아들여진 것이 또 한 번의 폭발적인 발전의 토대를 만들었는데 한편으론 또 하나의 거대한 간극을 생기게 하는 토대가 되었는데 이번에는 부유한 국가에서 태어난 이들과 그렇지 않은 이들 간의 생존율의 간극이 그것이었다.
[정답]     A : whose
 
[어휘 또는 표현] 
pull away from ~ : ~로부터 이탈하다, ~을 떼어놓다   
chasm : 깊이 갈라진 틈; 공백 ; (의견, 감정 등의) 단절, 틈
[해설] 
우선 문제 [A] 앞의 'it'가 무엇인지 알아야 한다. 단수인 'it'가 지칭할 수 있는 선행사(대명사]는 전혀 없다. 시간이나 거리 또는 상황일 수도 없다. 그렇다면 '강조 구문의 it'이다. 그래서 'that'을 넣으려고 하면 'life chances'가 지칭하는 대상이 모호해진다. (한정사가 없어서)
it was the aristocracy : 강조의 초점이  'the aristocracy'인데 강조 구문의 연결사 'that'을 상정하고 'the life chances of the aristocracy first pulled away ~'에서 'the life chances of which'나 'whose life chances (← its life chances)'를 만들어 예컨대 'whose life chances'를 앞으로 이동시켜 'that'와 싸우면 'that'는 무조건 지고 탈락한다.  그러면 'it was the aristocracy whose life chances first pulled away ~'의 강조 구문이 생기는데 이 경우에는 'it ~ whose' 강조 구문이라 칭한다.
 

 

Posted by 연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