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법2021. 2. 5. 08:13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 M7Qz98XeA_k

#   "Are you enjoying the boat ride, Laura Ann?" Kistle asked as he dipped his oar into the water. "It's beginning to get dark. See all the shadows. That cypress tree looks like monster, doesn't it? (A)[      ] its roots spreading like an octopus beneath the water." He felt the excitement building as he looked around him. It had been a long time since he'd been to this swamp. What pleasure he had experienced here. The fear, the blood, the power . . . "There are all kinds of monsters here. There's an alligator hiding near that island waiting to be (B)[      ]. Perhaps I'll decide to feed you to him."

 

#1.  빈칸 (A)에 들어갈 단어는?

#2.  빈칸 (B)에 본문에서 한 단어를 찾아 적합하게 바꿔 넣으시오.

 

[해석]   "로라 앤, 보트 타는 거 재미있냐?" 키슬은 물속에 노를 담그면서 물었다. "어두워지기 시작하네. 저 그림자들 봐라. 저 사이프러스 나무는 괴물 같아 보이지, 그치? 그 뿌리들이 마치 저 물 아래서 문어처럼 뻗어있으니까." 키슬은 자기 주변을 보면서 흥분이 치솟았다. 이 늪에 왔다 간지가 한참 되었다. 그가 경험한 즐거움. 공포, 피, 힘 . . . "온갖 종류의 괴물들이 여기 있다. 저 섬 근처에 악어가 숨어서 먹을 것을 얻길 기다리고 있어. 아마 난 널 게한테 먹거리로 주기로 결정할지도 몰라."

[정답]  1. (A) : With       2. (B) : fed

 

[어휘 또는 표현]

cypress [sáiprəs] : 사이프러스

monster [mάnstər] : 괴물, 괴수; 괴상한 것; 잔인한[극악무도한] 사람; 악한; 거대한 동물  : (L monere : warn → L monstrum : portent or monster → O F monstre) [위험을 경고하는 존재에서]

What pleasure he had experienced here. = the pleasure that he had experienced here.

'what N'은 드물게 'the N'의 뜻으로도 사용된다. 보통은 'any N'의 뜻이지만.

[해설]

[본문]

(A)[With] its roots spreading like an octopus ~

앞 문장의 주어는 'The cypress tree'로 'with 구문'을 사용해야 하는데 점찍고 이처럼 분리시킬 수도 있다.

feed (능동) : 먹을 거 주다  [ㅎ 공원에 'DON'T FEED'라고 적혀 있으면 '먹을 거 주지 마라.'라는 뜻입니다.

be fed (수동) : 먹을 거 얻다, 받다 [ㅎ 반대 해석]

feed on ~ : ~을 먹다 

Owls feed on insects, birds, and small mammals. "올빼미는 벌레, 새, 그리고 작은 포유류를 먹는다."

[본문]

Perhaps I'll decide to feed you to him.

'you'가 '먹을거리'로 'him'은 악어입니다.

There's an alligator hiding near that island waiting to be (B)[fed].

악어가 먹을 것을 '얻기를' 기다리는 겁니다. 따라서 앞의 'to feed'를 'to be fed'로 바꾸면 됩니다.

'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t + 즉시 동사 뒤의 until ~  (0) 2021.02.08
like shooting fish in a barrel 쉬운가?  (0) 2021.02.07
bank on 인식형과 구속형  (0) 2021.02.04
with 생략 구문 내의 도치  (0) 2021.02.02
to 부정사 따르는 with 구문  (0) 2021.02.01
Posted by 연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