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명사 일치'에 해당되는 글 3건

  1. 2022.02.27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714회]
  2. 2021.04.12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426회]
  3. 2021.04.11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423회]
편입 문법 3000 Plus2022. 2. 27. 13:59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 04J6l-JId74

3549. [덕성 여자 대학교 2020]

He is proud of [        ] a goal in the World Cup in his twenties.

(A) score        (B) having scored          (C) being scored          (D) having been scored

3549. ​[시제 대체]

정답 - B : 'in his twenties'는 과거지만 전치사 'of' 뒤에서 과거를 쓸 수 없으므로 시제 대체된 형태인 'having scored'를 사용한다.

[해석]   그는 이십 대에 월드컵에서 골을 넣었던 것을 (지금) 자랑스러워한다.

[ET11-3-3]0467. [경기대학교 2004-2]

China (A)[has been aggressively researching] tests and a possible vaccine for SARS, (B)[who] is believed to (C)[have originated] in Guangdong in (D)[late 2002].

[ET11-3-3]0467. [선행사에 따른 관계사의 선택]

정답 - B : [who] → [which] : 'SARS'는 사람이 아니고 질병이므로 관계사는 'which'를 사용한다.

C : 'have originated'는 시제 대체된 것으로 과거에 해당된다.

[해석] 중국은 싸스에 대한 테스트와 가능한 백신에 대해 공격적으로 연구를 해왔는데 싸스는 2002년 말에 광동성에서 생긴 것으로 여겨진다.

 

3550.  (A)[Recommending] books about meaning (B)[is] difficult. Plenty of the world's great (C)[literature] and religious texts tackle the topic of (D)[what] meaning is or how to (E)[find them].

3550. ​[대명사 일치]

정답 - E  : [find them] → [find it]  : 'meaning'은 양쪽 형 명사지만 본문에서는 불가산 명사로 사용되고 있으므로 대명사는 'it'로 받아야 한다.

(A), (B) : 동명사 전체는 단수 취급하므로 'is'를 사용하는 것이 맞다.

(C) : 'literature'는 집합적 불가산 명사로 사용되고 있다.

(D) : 'meaning'이 주어로 'what'이 보어로 사용되고 있다.

[해석]   의미에 관한 책들을 권하기는 어렵다. 세계의 많은 위대한 문학과 종교적인 글들은 의미란 무엇이고 의미를 찾는 방법에 대한 주제를 다룬다.

[CT4-26]2338. [고려대학교 2010]

Climate change is melting glaciers (A)[high] in the Himalayas, threatening crucial water resources for (B)[much of] Asia ― and (C)[giving] us a convincing reason (D)[to fight them].

[CT4-26]2338. [대명사의 일치]

정답 - D : [to fight them] → [to fight it] : 'climate change'를 받는 것이므로 대명사는 'it'을 써야 한다. 'change'는 잔돈의 뜻일 때는 제외하고는 가산 명사지만 'climate change'는 'the changes that are thought to be affecting the world's weather so that it is becoming warmer'의 뜻으로 집합적 불가산 명사이다.

A : 'which are high ~'에서 'which are'가 생략된 형태로 볼 수 있다.

B : 고유 명사도 정관사가 붙은 경우나 마찬가지로 정형 명사구이므로 'much'와 연결되기 위해서는 'of'가 필요하다하나의 덩어리 개념이므로 'many'가 아니고 'much'를 써야 한다.

C : 쉽게는 진행형들이 {[melting ~], [threatening ~] - and [giving ~]}의 구조로 병치된 것으로 볼 수 있지만 '대시로 연결된 것'과 '각각의 '~ing'가 3 개가 등위 된걸'로 보기에는 적합지 않은 문제가 있다. 'threatening'은 앞 문장 전체를 받는  ', which is threatening crucial water resources for (B)[much of] Asia'으로 보고 첨가하는 의미로 대시를 사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해석기후 변화는 히말라야 산맥 높은 곳의 빙하들을 녹이고 있어서 (결과적으로) 아시아의 많은 지역의 중대한 수자원을 위협하게 되고 그래서 우린 기후 변화와 싸워야 할 설득력 있는 이유가 있게 된다.

 

3551. [서경 대학교 2020]

(A)[It] is both what you say (B)[it] and how you (C)[it] that matters when (D)[it] comes to communicating with others.

3551. [의문사 흔적 자리]

정답 - C : [it] → [   ] : 'what'이 'say'의 목적어 자리를 차지하고 있으므로 'it'는 없어야 한다.

A : 강조 구문의 'It'이다. 

'both A and B'를 '1 + 1 = 1'로 보고 동사인 'matters'를 단수 일치형을 사용하고 있다.

D : 말하려고 하는 주제 등을 'it'로 받는다. 

[해석]  무엇을 말하는지와 어떻게 그걸 말하는지가 중요하다. 다른 사람들과 대화하는 것에 관한 한.

[PT5-5]0131. ⋆ [삼육대학교 2004-1]

He is outstanding in everything he does, but (A)[when] (B)[it] comes to (C)[songs], he considers himself (D)[a] failure.

[PT5-5]0131. [to + ~ing]

정답 - C : [songs] → [singing songs] : 그가 하는 행위는 동명사가 되어야 한다. 노래들 자체는 행위가 아니다.

D : a failure : 실패자, 실패작이란 뜻일 때는 가산명사화된 것이다.

[해석] 그는 하는 모든 일에 뛰어나지만 노래를 하는 것에 관한 한 스스로를 실패자로 여긴다.

 

3552.  [숙명여대  2020]

The study, (A)[that] is the first (B)[to] indicate laughter may help prevent heart disease, found (C)[that] people with heart disease were 40 percent (D)[less] likely to laugh in a variety of situations (E)[compared] with people of the same age without heart disease.

3552.  ​['계속적 용법 that' 불가형]

정답 - A : [that] → [which] : 계속적 용법은 'that'을 사용하지 못한다.

the first to ~ : 솔선하여 ~하다; 맨 전저 ~하다 : to be very likely or eager to do something

You know I'd be the first to help you out; just ask me next time. 

"내가 널 솔선해서 구해낼 사람인 거 알지. 다음엔 그냥 내게 부탁해."

It's on the first floor, that is, at street level. "그건 일층에, 다시 말하면 길가에 있어요."

We're coming next month, that is to say, in November. "다음달에 갑니다. 즉, 11 월에요."

동격 표시라면 ',that is (to say),'로 최소한 양쪽에 'comma'가 있어야 한다. 물론 본문은 동격으로는 뜻도 통하지 않는다.

D, E : 'less'가 있는 경우 원칙적으로 'compared with'를 사용하지 않고 'than'을 사용해야 한다. 하지만 실제로는 'compared with'가 사용되기도 한다.

[해석]  연구는 맨 처음으로 심장병을 막기 위해 웃음이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밝힌 바 있는데 이에 따르면 심장병이 있는 사람들은 같은 나이의 심장병이 없는 사람들보다 다양한 상황에서 웃는 경우가 40 퍼센트 덜하다고 한다.

[PT75-6]3238. (= [CT5-127]3035.) [경원대학교 2007-1]

다음 글의 흐름으로 보아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자연스럽지 못한 것을 고르시오.

Usually young people get taller (A)[compared with] the typical adult including their fathers. A new style of buses (B)[should be developed] earlier considering this. But there (C)[has been] no consideration for the difficulties young people have had. Now it is high time that we (D)[made a plan] for young people. We must design a new style of buses.

[PT75-6]3238. ['should have PP' + 'high time 가정법' 기타]

정답 - B > A

B : [should be developed] → [should have been developed] : should have PP : ~했었어야 했다 : 'earlier'가 있으므로 과거에 대한 얘기이고 '더 일찍 개발되었어야 했다'는 뜻인 'should have been developed'가 쓰여야 한다.

A : [compared with] → [than] : 앞에 'taller'가 있으므로 원칙적으로 'than'으로 상관되어야 한다.

C : 'it is high time 가정법'에서 과거형인 'made'가 쓰인 것은 맞다.

[해석보통 젊은이들은 자신들의 아버지를 포함한 전형적인 성인들보다 키가 더 커진다이점을 고려해서 새로운 스타일의 버스가 더 일찍 개발되었어야 했다하지만 젊은이들이 겪어 온 어려움들에 대한 고려는 없었다이제는 젊은이들은 위해 계획을 세워야 할 때다새로운 유형의 버스를 만들어야 한다.

[PT56-10]2244. [한국항공대학교 2012]

Although the science of genetics is relatively new (A)[compared to] many (B)[other sciences], people have understood the hereditary nature of traits and (C)[have "practiced"] genetics for (D)[thousands of years].

[PT56-10]2244. [규범 문법과 실제]

정답 - A : [compared to] → [compared with] : 규범 문법에 따르면 비교는 'compare A with B'를 사용하고 비유는 'compare A to B'를 사용하라고 한다하지만 실제로는 비교의 뜻으로 'with'와 함께 'to'도 흔히 사용된다. B, C, D가 모두 틀리지 않은 경우에 한하여 A를 답으로 고른다.

The club is relatively new compared to other hunting clubs in the United States.

[어휘] genetics [dʒənétiks] : 유전학유전적 특징[현상] trait : (성격·습관의특징특색특질

hereditary [hərédətèri] : 유전하는유전적인 hereditary traits / characteristics : 유전 형질

practice : 실행[실천]하다

[해석유전학은 다른 많은 과학들과 비교했을 때 비교적 새로운 것이지만 사람들은 수천 년 동안 특성의 유전적 속성을 이해하고 유전학을 실제로 이용해온 셈이다.

 

Posted by 연우리
편입 문법 3000 Plus2021. 4. 12. 19:08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m9VDsBWfBZQ

[PT51-16]2105. [명지대학교 2010]

I should like to see children (A)[taught] that they should not say they like things (B)[which] they do not like (C)[merely because] certain other people say they like (D)[it].

[PT51-16]2105. [대명사의 일치]

정답 - D : [it] → [them] : 'things'를 받는 것이므로 'them'을 써야 한다.

A : ~ teach 사람 that 절 → 사람 be taught that 절 : 'that 절'이라고 배우다(가르쳐지다)

[해석단지 다른 어떤 사람들이 좋아한다고 말하는 것만을 이유로 자신이 좋아하지 않는 것들을 좋아한다고 말하지 않아야 한다고 아이들이 배우게 되는 것을 보고 싶다.

 

[PT51-17]2106. [상명대학교 2012]

Iguanas have been (A)[an important food source] in Latin America since (B)[prehistoric times], and (C)[it is still prized] (D)[as game animals] by the campesinos, who typically cook the meat (E)[in a heavily spiced stew].

[PT51-17]2106. [대명사의 일치]

정답 - C : [it is still prized] → [they are still prized] : 'Iguanas'를 받는 것이므로 'they'를 써야 한다.

[어휘] game animal : (법률로 정해진수렵 짐승   stew : 스튜 (요리); 조바심혼란

campesino [kӕmpəsíːnou] : (라틴 아메리카의농민농장 노동자

spice : 향료를 넣다에 [으로흥취[정취]를 곁들이다 heavily spiced : 향료가 많이 들어간

[해석이구아나는 남미에서는 선사시대 이래로 중요한 식량원이고 남미의 농부들은 지금도 이구아나를 수렵 짐승으로 소중하게 여겨 이 고기를 보통 향료를 많이 넣어 스튜 요리로 먹는다.

 

[PT51-18]2107. [고려대학교 2005-1]

They (A)[must regard] any statement about this issue, (B)[whatever] the source, (C)[as gossip until (D)[they are] confirmed.

[PT51-18]2107. [대명사의 일치]

정답 - D : [they are] → [it is] : 내용상 'any statement'를 받는 것이므로 대명사는 단수형인 'it'을 사용해야 한다.

B : 'whatever the source may be'에서 'may be'가 흔히 생략되는 경우이다.

C : gossip : 1) (불가산 명사험담쑥덕공론가십 기사 2) (간혹 단수형 명사세상 이야기

3) (가산 명사남의 일을 말하기 좋아하는 사람, (특히 여자다쟁이(gossiper)

[해석그들은 이 문제에 관한 어떤 말도 정보통이 어디든 간에 확인되기 까지는 가십으로 간주해야 한다.

 

[PT51-19]2108. [경기대학교 2011-1]

(A)[Most of the water] at the bottom of the North Pacific Ocean (B)[has not been exposed to] sunlight in at least 800 years and (C)[some of them] has been down there for (D)[two millennia].

[PT51-19]2108. [대명사의 일치]

정답 - C : [some of them] [some of it] : 불가산 명사인 'the water'를 받는 것이므로 'them'이 아니라 'it'을 사용해야 한다.

D : millennium : 천년 복수형은 'millenniums' 또는 'millennia'이다.

[해석북 태평양 해저의 물의 대부분은 적어도 800년 동안 햇빛에 노출되지 않았으며 그중 일부는 2천 년 동안 그곳에 존재해왔다.

 

[PT51-20]2109. [경기대학교 2004-1]

There (A)[was] more news about Britain, but (B)[they] came (C)[under] the heading of (D)[human interest].

[PT51-20]2109. [대명사의 일치] 정답 - B : [they] → [it] : 'news'는 불가산 명사로 단수 'it'로 받는다.

human interest : (신문 기사 등에서의사람들의 흥미를 일으키기 위한 사건인정에 호소하는 것.

come under ~ : ~로 분류되다, ~의 항목에 들다

[해석] 영국에 대한 더 많은 기사가 있었지만 그것은 사람들의 흥미를 일으키기 것으로 분류된다.

 

Posted by 연우리
편입 문법 3000 Plus2021. 4. 11. 23:35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y-viE0D5W9c

[ET51-3-2]2088. [홍익대학교 2011]

And so, shocked (A)[as] I was when those transvestites (B)[passed] me in front of the restaurant, (C)[he] confirmed something about which I already had an inkling: the hazy border (D)[between] the sexes.

[ET51-3-2]2088. [대명사의 일치]

정답 - C : [he] → [they] : 'those transvestites'를 받는 것이므로 대명사는 'they'를 써야 한다.

[해석그래서 예의 복장 도착자들이 그 식당 앞에서 나를 지나쳐 갈 때 나는 충격을 받았지만 그들은 이미 내가 흐릿하게 알고 있는 무언가를즉 남성과 여성 사이의 모호한 경계가 있음을 확인시켜 주었다.

 

[ET51-3-3]2089. ⋆⋆ [고려대학교 2009]

We all will have to (A)[start living] within our means - or preferably (B)[below it]. If you don't overborrow or overspend, you're (C)[far less] vulnerable (D)[to whatever problems] the financial system may have.

[ET51-3-3]2089. [대명사의 일치]

정답 - B : [below it] → [below them]

1) 'means'가 '재력수입'의 뜻일 때는 복수형이다.

Before you calculate how much JA you can get, you must find out if your weekly means are more than the maximum increases for JA payment. (JA = Job seeker's allowance) "구직자 수당을 얼마나 받게 될지 계산하기에 앞서 주당 수입이 구직자 수당의 최대 증가치를 넘는지를 알아냐만 한다."

If you save on a regular basis and avoid bingeing on debt, you'll be living in a financially responsible way. As for whether this constitutes living within your means or living below them / *it, I'll leave that to you and your co-worker to settle. "정기적으로 저금하고 빚을 내서 퍼먹지 않으면 경제적으로 책임 있게 살게 될 겁니다. 이렇게 해서 수입 내로 또는 수입 이하로 살게 되는지에 관해서는 귀하와 귀하의 동료가 해결하도록 맡길 겁니다."

2) 'means'가 '수단방법'의 뜻일 때는 단/복수 모두 'means'로 동형이다.

An effective means is also required to deal with corruption in the police. 

"경찰 내의 부패를 막기 위한 효율적인 수단이 또한 필요하다."

Several means are used to get rid of unwanted hairs on the face, arms, legs, and other area.

"몇 가지 수단들이 사용됩니다. 얼굴과 팔과 다리와 기타 부위의 원치 않는 털을 제거하기 위해서."

3) '평균'의 뜻일 때는 단수는 'mean'이고 복수형은 'means'.

Accordingly, the average usually means the arithmetic mean, and an arithmetic mean is generally called an average.

"따라서 평균은 보통 수학적인 중간값을 의미하며 수학적인 중간값은 일반적으로 애버리지라고 합니다"

Arithmetic means are the averages that we are familiar with. "수학적인 평균치들은 우리가 익숙한 평균값들이다."

A : start ~ing to V

D : to whatever problems the financial system may have = to any problems that the financial system may have

[해석우리 모두는 수입 한도 내에서 더 바람직하게는 수입보다 적은 돈으로 살기 시작해야만 될 거다과도하게 빌려서 과도하게 쓰지 않으면 경제 시스템이 갖고 있는 어떤 문제점들에 대해서도 훨씬 덜 취약합니다.

 

[PT51-1]2090. [경기대학교 2010]

I have only tentative conclusions, subject to revision and applicable only to myself. (A)[One] is (B)[that] I'd like to look my death (C)[at] the face (D)[when and however] it comes.

[PT51-1]2090. [소유격을 대신하는 정관사]

정답 - C : [at] → [in] : 상징적인 것이지만 죽음의 얼굴을 뚫어지게 보는 것이므로 전치사는 'in'을 사용한다이 경우 신체의 부위를 표시하는 것이어서 'face' 앞에는 정관사를 사용하고 있다.

A : One = One conclusion

D : 원칙은 {[whenever] and [however]}로 병치시키는 것이지만 {[when and how] ever}로 병치시킬 수 있는 것으로 여겨 간혹 사용된다.

[해석오로지 임시적인 결론들만 있는데 고칠 수도 있고 오로지 제 자신에게만 적용됩니다한 결론은 나의 죽음이 언제 어떻게 오더라도 그것의 얼굴을 직시하겠다는 것입니다.

 

[PT51-2]2091. ⋆⋆ [대구가톨릭대학교 2007-1]

(A)[All of a sudden], the young woman (B)[rose] to (C)[her feet] and struck him on (D)[his] face.

[PT51-2]2091. [소유격을 대신하는 정관사]

정답 - D : [his] → [the] : 목적어가 나온 뒤에 구체적인 신체의 부위가 온 것이므로 정관사를 사용한다그리고 찰싹 때린 느낌이므로 'on'을 사용하고 있다.

B, C : get rise to one's feet : 일어나다  spring to one's feet : 벌떡 일어서다 [여기서 'to'는 힘이 닿았다는 뜻으로 'on'을 사용한 거나 마찬가지다.]

[해석갑자기 그 젊은 여자가 벌떡 일어나더니 그의 얼굴을 때렸다.

 

[PT51-3]2092. [경원대학교 2001-1]

(A)[All of a sudden] the young woman (B)[rose] (C)[to her feet] and struck him (D)[on his face].

[PT51-3]2092. [소유격을 대신하는 정관사]

정답 - D : [on his face] → [on the face] : 사람이 목적어로 나오고 그 사람의 신체의 일부분을 전치사 다음에 표시할 때는 정관사를 써야 한다.

[해석갑자기 그 젊은 여성은 벌떡 일어나서 그의 얼굴을 때렸다.

 

[PT51-4]2093.  [국민대학교 2009]

어법상 올바르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A) I found this book more interesting than I had expected.

(B) My brother was robbed of his watch on his way to school.

(C) The police are looking for a red automobile driven by a man.

(D) He has to be an old man, because I was told that he was born in 1940s.

[PT51-4]2093. [must와 have to + 유한 집합 표시의 정관사]

정답 - D : [has to] → [must]; [1940s] → [the 1940s]

A nice well made sarcastic line, yes, but he has to be kidding. 

"예, 잘 만든 비꼬는 말이지만 그는 농담하고 있음이 틀림없다."

'have to'도 경우에 따라서는 '~임에 틀림없다'의 뜻으로 쓰이기는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임에 틀림없다'는 'must'로 표현한다.

'the 1940s(1940년대)'는 유한 집합이므로 정관사를 사용해야 한다.

{1940, 1941, ~, 1948, 1949} = the 1940's = the 1940s

[해석그는 노인임이 틀림없다. 1940년대에 태어났다고 들었으니까.

B : 'of'는 소위 '박탈의 of'에 해당된다. 'to school'은 '기능-목적 무관사'다.

[해석내 동생은 학교 가는 길에서 시계를 털렸다.

A [해석나는 이 책이 기대했던 것보다 더 재미있다는 느낌이 들었다.

 

C [해석] 경찰이 한 남자가 몰았던 빨간색 자동차를 찾고 있다.

 

Posted by 연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