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입 문법 3000 Plus2021. 2. 3. 07:48
728x90

[동영상 강의 유튜브 연우리 영어]  https://youtu.be/1gIeyhMXEmc

[CT2-174]1153.  [대구대학교 2005-1]

문법적으로 옳은 것을 고르시오.

(A) Most people are unawares that prairies once existed in what is now the state of Michigan.

(B) The leaves of the yucca are usually point, stiff, and narrow with sawlike edges.

(C) The effect of Tsunami is usually severe enough to cause numerous casualties.

(D) Titanium, considered an invaluable metal, is used industrial in significant quantities.

[CT2-174]1153. ['지역의 what'과 기타]

정답 - C : 'severe enough to cause'의 어순은 맞다.

[해석] 쓰나미의 영향은 보통 매우 많은 사상자를 야기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심각하다.

A : [unawares]  [unaware] : 'are' 다음에는 형용사가 따라야 한다.

unaware : 형용사 : 눈치 못 채는, 모르는   unawares : 부사 : 무심코, 부지중에, 갑자기

'what'은 '지역의 what'에 해당된다.

[해석] 대부분의 사람들은 지금의 미시건 주에 한때 대평원이 존재했다는 사실을 모른다.

B : [point]  [pointy] : 형용사가 병치되어야 한다.  pointy : 뾰족한

[해석] 유카 나무의 잎은 보통 뾰족하고 빳빳하며 폭이 좁고 가장자리는 톱니 같다.

D : [industrial]  [industrially] : 부사가 쓰여야 한다   industrially : 공업용으로

[해석] 티타늄은 매우 귀중한 금속으로 여겨지지만 공업용으로 많은 양씩 사용된다.

 

[CT2-175]1154.  [홍익대학교 2009]

At the turn of (A)[that] century, there were (B)[few] automobiles, or horseless carriages, as they (C)[were] called at the time. They were rather fragile machines that sputtered, smoked, and (D)[broken] down often.

[CT2-175]1154. [과거의 병치 + '단계 또는 국면의 as']

정답 - D : [broken]  [broke] : {[sputtered], [smoked], and [broke down] often}로 과거가 병치되어야 한다.

sputter : 푸푸 소리를 내다

C : or horseless carriages, as they were called at the time : 'as'는 '단계 또는 국면의 as'이다.

"즉 당시의 이름인 말 없는 4륜 마차(horseless carriages)"

[해석] 그 세기가 바뀔 무렵에는 그 당시에는 말이 없는 사륜마차로 불렸던 자동차는 거의 없었다. 당시에 자동차들은 푸푸 소리를 내고, 매연을 뿜어내고 자주 멈춰서는 상당히 약한 기계였다.

 

[CT2-176]1155. [단국대학교 2004-1]

He (A)[placed himself] as (B)[close] as he could to the information booth, just (C)[beyond] the ring of people (D)[besieged] the clerks.

[CT2-176]1155. [후치 수식의 능동과 수동]

정답 - D : [besieged]  [besieging] : 'the ring of the people'이 전치사의 목적어이므로 'besieged'의 주어가 될 수 없다. 뒤에서 수식해야 하는데 뒤에 목적어가 있으므로 현재 분사여야 한다.

B : close to ~ : ~의 가까이에

[해석] 그는 직원들을 둘러싸고 있는 사람들 바로 위쪽의 안내소에 가능한 한 가까이 위치했다.

 

[CT2-177]1156. [아주대학교 2006-1]

Globalization, a word (A)[hearing] so often in other contexts, has effectively (B)[leveled] the playing field, (C)[accounting] for despair in Paris, dismay in Buenos Aires (D)[but] wild celebrations in Dakar and Seoul.

[CT2-177]1156. [후치 수식의 능동과 수동]

정답 - A : [hearing]  [heard] : 들리는 단어이므로 수동이어야 한다. 'a word which is heard so often in other contexts'에서 'which is'가 삭제된 경우이다.

[해석] 다른 상황에서도 아주 흔히 듣게 되는 단어인 세계화는 축구장도 효과적으로 평준화시켰고 프랑스의 절망과 아르헨티나의 경악과 세네갈과 한국의 광적인 축하행사의 원인이 되었다.

 

[CT2-178]1157. [대구가톨릭대학교 2004-1]

We are (A)[even] in March now, but snow (B)[still lies deep on] the highways in the mountainous regions, (C)[kept] traffic (D)[in complete paralysis].

[CT2-178]1157. [분사 구문의 계속적 용법]

정답 - C : [kept]  [keeping] : 분사 구문의 계속적 용법인데 목적어가 따르므로 현재 분사가 쓰여야 한다.   even : 정말로

[해석] 우리는 정말로 지금 3월이다. 하지만 눈이 산간 지역의 고속도로 위에 깊이 쌓여있어서 차량들이 계속해서 완전한 마비 상태가 되게 한다.

 

[CT2-179]1158. [성균관대학교 2002-1]

A : "I wish Bill would drive us to the airport."

B : "He has _________ to take us all."

(A) very small a car                  (B) a too small car                 (C) such small a car        

(D) too small a car                   (E) a car such small

[CT2-179]1158. ['too 형용사 a 명사' + to V]

정답 - D : 뒤의 'to 부정사'와 연결되기 위해서는 'too'가 쓰여야 하고 'too 형용사 a 명사'의 어순이어야 한다.

[해석] A : "빌이 우리를 공항까지 태워주면 좋으련만."

B : "그의 차는 우리 모두를 태워가기에는 너무 작은 차다."

 

[CT2-180]1159. [세종대학교 2003-2]

(A)[Because of] the heavy traffic, (B)[commuters enter] the city in the morning usually take (C)[at least] 45 minutes (D)[to get across] the bridge.

[CT2-180]1159. [후치 수식 준동사]

정답 - B : [commuters enter]  [commuters entering] : 'commuters'가 뒤에 나오는 정동사 'take'의 주어가 되기 위해서는 'enter 이하'는 분사로 후식 수식이 되어야 한다.

[해석] 차량들이 많기 때문에 아침에 도시로 들어오는 통근자들은 다리를 건너는 데 보통 적어도 45분이 걸린다.

 

[CT2-181]1160. ⋆⋆ [동국대학교 2011]

Some jobs cause clothes to become very dirty, in _______ case the company usually supplies uniforms and pays for laundering them.

(A) no                (B) which               (C) whose             (D) any

[CT2-181]1160. [요약의 관계사와 환언의 관계사]

정답 - B : 앞부분을 'the case(그런 경우)'로 요약 한 후 'which case'로 연결한 것이다.

A, D : 두 개의 절이 접속사 없이 연결될 수 없다.

C : 소유격에 해당될 만한 선행사도 없다.

[해석] 어떤 일들은 옷을 더럽게 만드는데 이런 경우 회사는 보통 유니폼을 제공하고 세탁비도 지불한다.

 

Posted by 연우리
편입 문법 3000 Plus2021. 2. 3. 07:46
728x90

[동영상 강의 유튜브 연우리 영어]  https://youtu.be/oGB-4oY_qi0

[CT2-167]1146. [경기대학교 2004-1]

This liquid medicine removes deeply (A)[embedding] dirt and grease, (B)[allowing] your (C)[horse's skin] to breathe more (D)[easily].

[CT2-167]1146. [전치 수식의 능동과 수동]

정답 - A : [embedding]  [embedded] : 깊이 박혀있는 먼지이므로 과거 분사를 써야 한다.

[해석] 이 액체 약은 깊이 박혀있는 먼지와 기름을 제거해서 말의 피부가 더 쉽게 호흡하게 한다.

 

[CT2-168]1147. [단국대학교 2008-1]

On the causes of global warming, skeptics make the argument that most of the greenhouse effect comes from water vapor and only 4% of the carbon dioxide __________ the atmosphere is due to human activity.

(A) enter          (B) entered         (C) entering           (D) enter into

[CT2-168]1147. [후치 수식의 능동과 수동]

정답 - C : 'only 4% of the carbon dioxide [~ the atmosphere] is due to human activity'의 구조이므로 [~ the atmosphere]에는 목적어가 있으므로 능동의 관계절이고 분사로도 현재 분사로 수식해야 한다. 'which enters the atmosphere'에서 'which'가 없어지면 'enters'는 'entering'으로 바뀐다.

[해석] 지구온난화의 원인에 대해서 회의론자들은 온실 효과의 대부분은 수증기에서 발생하고 대기권으로 들어오는 이산화탄소의 겨우 4%만이 인간의 활동에 의한 것이라고 주장한다.

 

[CT2-169]1148.  [계명대학교 2006-1]

Experts say (A)[it is] very important for children (B)[over the age] of six to develop a hobby or (C)[take part in] a club. Children can learn important social skills (D)[during] doing something they enjoy.

[CT2-169]1148. [접속사 분사 구문]

정답 - D [during]  [while] : '전치사 during' 다음에 동명사를 쓰는 구문은 없다. 'while ~ing'로 접속사 분사 구문을 써야 한다.

'by doing something they enjoy'도 적합지 않다. 'doing something they enjoy'는 여기서는 목적에 대한 수단이 아니다.

 

[CT2-170]1149. [총신대학교 2008-1]

Silently I was walking to the door with my eyes __________.

(A) closing            (B) are closed            (C) closed           (D) have closed

[CT2-170]1149. ['with 구문']

정답 - C : with 구문 : 'with my eyes' 다음에 'my eyes'에 대한 보어 관계에 해당되는 표현으로 'closed'가 쓰여야 한다.

[해석] 나는 눈을 감은 채로 조용히 문 쪽으로 걸어가고 있었다.

 

[CT2-171]1150.  [한국외국어대학교 2006-1]

Choose the sentence that is NOT grammatically correct.

(A) I have never heard of this kind of hilarious story.

(B) Once acquired, bad habits are hard to get rid of.

(C) According to a poll, most people object the death penalty.

(D) The new manager is someone our company cannot dispense with.

(E) You must dispose of aluminium cans properly in order to recycle them.

[CT2-171]1150. [동사 결합 전치사 + O-S 상승 기타]

정답 - C : [object the death penalty]  [object to the death penalty] : '반대하다'의 뜻일 때 'object to ~'를 써야 한다.

[해석] 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사형제도에 반대한다고 한다.

A [해석] 이런 종류의 재미있는 이야기를 들어 본 적이 한 번도 없다.

B : = Once (they are) acquired, bad habits are hard to get rid of. 'it is hard to get rid of bad habits'에서 'bad habits' O-S 상승되면 뒤에는 그대로 'to get rid of'를 쓰면 된다.

*Once acquired, it is hard to get rid of bad habits. : '가주어 it'가 'acquired'의 주어가 되어서 현수 접속사 분사 구문이 돼서 곤란하다. [해석] 일단 습득되고 나면 나쁜 습관들은 제거하기가 어렵다.

D : = The new manager is someone that / whom / who our company cannot dispense with.

[해석] 새 매니저는 우리 회사가 없이 지낼 수 없는 사람이다.

E [해석] 알루미늄 깡통들은 재활용하기 위해서는 제대로 처리해야만 한다.

 

[CT2-172]1151.  [단국대학교 2006-1]

어법에 어긋난 문장을 고르시오.

(A) The 1950s were a time when doctors still made house calls.

(B) People who are very sick are often frightened and confused.

(C) The woman thanked the doctor whose treatment had cured her.

(D) They say that garlic is a plant what is commonly used in cooking.

[CT2-172]1151. [선행사가 있으면 'what' 사용 불가]

정답 - D : [what]  [that] : 선행사 'a plant'가 있으므로 선행사 포함의 관계사를 쓰면 안 된다. 'garlic'은 불가산 명사로 주어 동사를 일치시킬 때는 단수 취급을 한다.

[해석] 마늘은 요리할 때 흔히 사용되는 식물이라고 그들은 말한다.

A : 'the ~s'의 '~ 연대'는 복수형으로 취급한다.

[해석] 1950년대는 의사들이 여전히 집으로 왕진을 갔던 때였다.

B : 관계절이 속성이나 성질 표시의 분류사이므로 'people'이 맞다.

[해석] 많이 아픈 사람들은 종종 두려워하고 혼란스러워한다.

C : 관계절이 대상을 한정하는 것이므로 'the doctor'가 맞다.

[해석] 그 여자는 자신을 치료해서 자신을 낫게 해준 의사에게 감사를 표했다.

 

[CT2-173]1152. [경기대학교 2011-1]

Korea (A)[successfully hosted] the Group of 20 (B)[summit] in Seoul on November 11-12, (C)[what] is believed to have helped (D)[boost] the nation's diplomatic clout and international reputation.

[CT2-173]1152. [관계사 'what'과 'which']

정답 - C : [what]  [which] : 이미 앞에 선행사인 'summit'이 있으므로 'what'을 써서는 안 된다.

[해석] 한국은 11  11 일과 12 일 양일간 서울에서 G20 정상회담을 성공적으로 개최했는데 이 정상회담은 한국 외교의 영향력과 국제적인 명성을 높이는 데 도움을 준 것으로 믿어지고 있다.

 

Posted by 연우리
편입 문법 3000 Plus2021. 2. 3. 07:43
728x90

[동영상 강의 유튜브 연우리 영어]  https://youtu.be/ClUe7FTUNyg

[CT2-158]1137. [홍익대학교 2012]

Europeans are in the middle of a potentially disastrous debt crisis, _________ threatens not only the survival of the euro zone but the idea of the European Union itself.

(A) one that             (B) and             (C) rather than             (D) but

[CT2-158]1137. [동격과 관계사]

정답 - A : 'a crisis'를 대신하는 'one'과 주격 관계사 'that'을 사용한 것이 적합하다.

B, C, D : 주어가 'Europeans'로 복수이므로 'threatens'와 연결되지도 못한다.

[해석] 유럽인들은 잠재적으로 파멸을 초래할 수 있는 외채 위기를 겪고 있는데 이는 유로존의 존속뿐만 아니라 유럽연합이라는 구상 자체를 위협하는 위기이다.

 

[CT2-159]1138. [서울여자대학교 2007-1]

Once approved, new products line up next to the popular pretzels, chocolate-covered espresso beans and green chili tamales, _______________ additive-free.

(A) all of them                           (B) all of them are

(C) and all of them                      (D) all of them which are

[CT2-159]1138. ['with 구문' 'with' 생략]

정답 - A : 'with all of them additive-free(with 명사 형용사)'에서 'with'가 생략된 형태이다.

B, C : 최소한 'and all of them are additive-free'여야 한다. 물론 그래도 등위 된 것이 글의 흐름상 맞지는 않다.

D : 'all of which are additive-free'라면 비제한 관계절로 훌륭한 표현이 된다. A의 표현은 이런 관계절을 쓰지 않고 간단히 'with 구문'으로 대신한 것이다.

[해석] 일단 승인되면 새로운 상품들은 인기 있는 프레첼, 초콜릿이 덮인 에스프레소 콩, 녹색 칠리 타말레 옆에 진열되는데 이것들은 전부다 첨가물이 없다.

 

[CT2-160]1139. [국민대학교 2007-1]

어법상 올바르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A) I was about to burst out crying.

(B) I can't choose but laugh at how she walks.

(C) Hardly had we got into the cabin before it began to snow.

(D) The story was so intrigued that I couldn't help listening till the end.

[CT2-160]1139. [감정 분사]

정답 - D : [so intrigued]  [so intriguing] : 이야기가 흥미를 주는 것이므로 'intriguing'을 써야 한다. 이야기는 흥미를 줄 수는 있어도 흥미를 느낄 수(받아 가질 수)는 없다.

[해석] 이야기가 아주 흥미로워서 끝까지 들을 수밖에 없었다.

A [해석] 나는 울음을 터뜨리기 직전이었다.

B [해석] 그녀가 걷는 모습에 나는 웃을 수밖에 없다.

C [해석] 우리가 오두막집에 들어가자마자 눈이 내리기 시작했다.

 

[CT2-161]1140. [국민대학교 2003-1]

There is a nationwide campaign in Australia (A)[to cover up] in the sun (B)[to combat] the likelihood of skin cancer. No longer is it fashionable (C)[to lie] in the sun and develop a deep sun tan. Hats are usually (D)[to wear] by everyone when out in the sun.

[CT2-161]1140. [수동태]

정답 - D : [to wear]  [worn] : 'by 이하'로 볼 때 수동이어야 한다.

[해석] 호주에서는 피부암의 가능성과 싸우기 위해 햇빛 속에서는 몸을 가려야 한다는 전국적인 캠페인이 진행되고 있다. 햇빛 속에 누워서 진하게 선탠을 하는 것은 더 이상 인기가 없다. 햇빛 아래 외출할 때 보통 모든 사람들은 모자를 쓴다.

 

[CT2-162]1141. [경희대학교 2006-1]

Throughout the decades, television __________ nearly all our social ills: the rise in crime, increased divorce rates, racism, increased sexual promiscuity, dope addiction, and the collapse of the family.

(A) has blamed                        (B) has been blamed

(C) has blamed for                    (D) has been blamed for

[CT2-162]1141. [전치사 결합 동사와 수동]

정답 - D : blame A for B : B에 대해 A를 비난하다   A is blamed for B : A B에 대해 비난을 받다 : TV는 비난하는 것이 아니고 비난당하는 것이므로 수동형을 써야 한다.

blame B on A : B를 A의 탓으로 돌리다 

B : 뒤에 'for'가 없으면 안 된다.

[해석] 지금까지 몇 십 년에 걸쳐서 TV는 거의 모든 사회악 즉, 범죄율의 증가, 이혼율의 증가, 인종차별, 성적인 문란의 증가, 마약 중독 그리고 가족의 붕괴에 대해 비난을 받아 왔다.

 

[CT2-163]1142.  [동국대학교 2003-1]

We're going to sacrifice something that we should be (A)[passing it on to our grandchildren] as a national heritage, in order to (B)[have a quick fix of oil for six months] and if you (C)[really want additional oil] there are better ways (D)[to do it through conservation].

[CT2-163]1142. [관계절 흔적 자리 대명사]

정답 - A : [passing it on to our children]  [passing on to our children] : 앞의 'that'은 관계사이므로 뒤에 명사의 흔적 자리가 있어야 하므로 '목적어 자리의 대명사 it'을 없애주어야 한다.

B : quick fix : 손쉬운[일시적] 해결책, 응급 조치; 특허약  : something that can be done very quickly in order to solve a problem or repair something that is broken though it may not last long

[해석] 6개월 동안 손쉽게 석유를 얻기 위하여 국가의 유산으로 우리의 손자들에게 전해야 하는 것을 희생하게 될 것이다. 정말로 추가적으로 석유를 원한다면 보존하면서 그렇게 하는 더 좋은 방법들이 있다.

[원본] When the numbers start going up here, you can bet the pressure gauge rises here also. It is pressure to drill for oil in the Arctic National Wildlife Refuge. The refuge, known as ANWR, has been off limits since 1980 to any oil exploration without Congressional approval. Alaska's Sen. Frank Murkowski says it's time for Congress to reconsider. Sen. Frank Murkowski says, "ANWR becomes one of the reasonable alternatives and consequently we want to pursue it." Environmentalists call the ANWR the biological heart of Alaska, and compare it to the Serengeti plains of Africa for the diversity of wildlife. They say, put an oil field here and you will destroy it forever. Bruce Hamilton of the Sierra Club says, "We're going to sacrifice something that we should be passing on to our grandchildren as a national heritage, in order to have a quick fix of oil for six months and if you really want additional oil there are better ways to do it through conservation."

 

[CT2-164]1143. [총신대학교 2004-1]

Midas, __________ name has become a synonym for a rich man, had very little profit from his riches.

(A) for whom            (B) that            (C) whose            (D) of which

[CT2-164]1143. [소유격 관계사]

정답 - C : 'name'이 주어, 'has become'이 동사, 보어가 'a synonym'이므로 가산 명사 'name'이 홀로 나올 수 없으므로 소유격 관계사가 붙어 나와야 함을 금방 알 수 있다.

D : 사람이므로 'which'를 쓸 수 없다.

[해석] 마이다스는 그의 이름이 부자와 동의어가 되었지만 자신의 부로부터 거의 소득을 얻지 못했다.

 

[CT2-165]1144. [건국대학교 2003-1]

UNICEF, with a multimillion dollar budget, provides its many services thanks to voluntary contributions, most of _________ come from governments.

(A) whom               (B) which            (C) that            (D) what           (E) who

[CT2-165]1144. [양화 대명사의 관계사]

정답 - B : 'most of them come from ~'에서 'them'은 'contributions'를 받는 것이므로 관계사는 'most of which'를 써야 한다. 'them'이 사람에 해당되는 경우일 때는 'most of whom'을 사용한다.

[해석] 유니세프는 자발적인 기부금 덕택으로 백만 달러의 예산을 갖고 많은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대부분은 여러 정부에서 나온 것이다.

 

[CT2-166]1145. [성균관대학교 2002-1]

The appropriate response to the (A)[inadequacies] of our conceptual structures (B)[is] to remain (C)[open] to (D)[that] those structures distort (E)[or] hide.

[CT2-166]1145. [선행사 포함의 관계사 : 전치사의 목적어와 목적격 관계사]

정답 - D : [that]  [what] : 관계절 내에서 'distort or hide'의 목적어 자리를 대신하면서 주절 쪽에서는 '전치사 to'의 목적어 자리를 채워주려면 '선행사 포함의 what'을 써야 한다.

[해석] 우리의 개념 구조의 결함에 대한 적합한 반응은 그 구조가 왜곡하거나 감추고 있는 것들에 눈을 계속 뜨고 있는 것이다.

 

Posted by 연우리
편입 문법 3000 Plus2021. 2. 3. 07:41
728x90

​[동영상 강의 유튜브 연우리 영어]  https://youtu.be/SoBAIf6ZITw

[CT2-154]1133. [세종대학교 2009]

____________ inhabitants have been in the Americas for at least 15,000 years.

(A) It is a considerable amount of proof which

(B) There is a considerable amount of proof that

(C) It is a considerable amount of proof for

(D) There is a considerable amount of proof which

[CT2-154]1133. ['동격의 that']

정답 - B : proof that  : '동격의 that 절'이다.

A : 동격이라면 'which'를 쓸 수 없다. 'It is ~ which ~' 강조 구문일 수도 없다. 'which'의 뒷부분이 완전한 구조로 'a considerable amount of proof'가 쓰일 자리가 없다.

C : 뜻도 안 통하지만 '근거 제시의 for'라면 'for' 앞에 최소한 'comma'가 있어야 한다.

D : 동격이라면 'which'를 쓸 수 없다.

[해석] 남북 아메리카에는 적어도 15,000년 동안 사람들이 거주해왔다는 상당량의 증거가 있다.

 

[CT2-155]1134. [가톨릭대학교 2011]

Some defense watchers note that East Asian nations are becoming more conservative of late, __________ this could raise the possibility of an arms buildup in the region.

(A) voiced concern that                        (B) voicing concern about

(C) voicing concern that                        (D) voiced concern about

[CT2-155]1134. [분사 구문의 계속적 용법과 '동격의 that']

정답 - C : 'voicing'은 분사 구문의 계속적 용법이고 'concern' 다음의 'that 절'은 '동격의 that 절'이다.

A : 과거형인 'voiced'가 연결될 수 없다. 과거 분사라면 뒤에 목적어가 따를 수 없다.

B : 'about' 다음에는 명사가 따라야 하는데 'this'는 'could'의 주어로 '접속사 that'이 숨어있어서 곤란하다.

D : 과거형이거나 과거 분사인 'voiced'도 틀리고 전치사인 'about'도 틀리다.

[해석] 일부 방위 전문가들은 동아시아 국가들이 최근 더욱 보수적으로 되어가고 있음을 주목하면서 이러한 경향이 이 지역에서 무기 증강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는 우려를 표시한다.

 

[CT2-156]1135. [경원대학교 2007-1]

The idea (A)[where] electricity (B)[cannot] be created or destroyed (C)[seems] to imply that electrons and protons cannot (D)[be created] or destroyed.

[CT2-156]1135. [관계 부사와 '동격의 that'의 선택]

정답 - A : [where]  [that] : 'where' 'in which'로 바꿔서 원래 자리로 보낸다면 'electricity cannot be created or destroyed [in which]'인데 'which' 'the idea'이므로 전혀 뜻이 통하지 않는다. '~라는 생각'으로 동격의 'that 절'이 따라야 한다.

C : 'seems'의 주어는 'The idea'이다. 상승을 해제하면 = It seems that the idea ~ implies that ~.

[해석] 전기는 만들어지거나 파괴될 수 없다는 생각은 전자와 양자는 만들어지거나 파괴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 같다.

 

[CT2-157]1136. [대구대학교 2008-1]

다음 글에서 밑줄 친 부분 중 어법상 틀린 것을 하나 고르시오.

Ethnocentrism is the (A)[view which] one's own culture is better than all others. It is the way all people feel about themselves (B)[as compared] to outsiders. There is no one in our society (C)[who] is not ethnocentric to some degree, (D)[no matter how] liberal and open-minded he or she might claim to be. People will always dislike some aspect of another culture, be it a way of treating friends or relatives, or simply a food that they cannot manage to get down with a smile. This is not something we should be ashamed of because it is a natural outcome of growing up in any society. (참고: ethnocentrism-자민족중심주의)

[CT2-157]1136. ['which'와 '동격의 that']

정답 - A : [view which]  [view that] : 'one's own culture(주어) is(동사) better(보어) than others'의 구조여서 명사인 'which'가 원래 있었던 흔적 자리가 없다. 이처럼 완전한 구조이면 관계절이 아니다. 'the view'를 수식하는 '동격의 that 절'을 사용해야 한다.

B : = as they are compared ~

D : no matter how liberal and open-minded = however liberal and open-minded

'be it a way of treating friends or relatives ~' = 'whether it be a way of treating friends or relatives ~' : 'be'가 'it' 앞으로 도치되면 'whether'는 탈락된다.

[해석] 자문화 중심주의는 자신의 문화가 다른 문화들보다 훌륭하다는 견해이다. 이는 모든 사람들이 외부인들과 비교되었을 때 스스로에 대해 느끼는 모습이다. 아무리 진보적이고 열린 마음을 가졌다고 주장하더라도 어느 정도라도 자문화 중심 주의적이지 않은 사람은 우리 사회에 존재하지 않는다. 사람들은 친구나 친척을 대하는 방식이나 아니면 그저 웃으면서 먹을 수 없는 음식에 관한 것이든 다른 문화의 어떤 점인가를 항상 싫어한다. 이는 어느 사회든 그 사회에서 성장한 것의 당연한 결과이기 때문에 부끄럽게 생각할 것이 아니다.

 

Posted by 연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