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휘2022. 9. 22. 18:22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https://youtu.be/12I-nQzyuXs

 

# Langdon chuckled to himself. He was amazed how few people knew Santi, the last name of one of the most famous Renaissance artists ever to live. His first name was world renowned ... the (A)[ ] prodigy who at the age twenty-five was already doing commissions for Pope Julius Ⅱ, and when he died at only thirty-eight, left behind the greatest collection of frescoes the world had ever seen. Santi was a (B)[ ] in the art world, and being known solely by one's first name was a level of fame achieved only by an elite few . . . people like Napoleon, Galileo, and Jesus . . . ~ ~

"Santi," Langdon said, "is the last name of the great Renaissance master, Raphael."

#1. 빈칸 (A)에 들어갈 단어는?

#2. 다음 중에서 빈칸 (B)에 들어가기에 적절한 것은?

A. Brobdingnag B. cyclops C. python

D. Gargantua E. behemoth

[해석] 랭던 교수는 혼자 낄낄거렸다. 그는 놀랐다. 산티가 지금껏 살았던 가장 유명한 르네상스 미술가들 중의 한 명의 이름이라는 것을 아는 사람이 거의 없다는 것에. 그의 성은 세계적으로 유명하다. 줄리어스 2세 교황을 위해 25세에 이미 맡아서 일을 하고 있었고 38 세로 죽었을 때는 세상이 그때까지 본 가장 위대한 프레스코 벽화 컬렉션을 남긴 신동이었다. 산티는 미술계에서는 거대한 존재였었다. 성으로만 알려져서 오로지 소수의 엘리트, 나폴레옹, 갈릴레오, 예수 같은 사람들만의 유명세가 달성되었다.

"산티는," 랭던 교수는 말했다. "위대한 르네상스의 대가인 라파엘의 성이다."

[정답] 1. (A) : child 2. (B) E. behemoth

[어휘 또는 표현]

monster [mάnstər] : 괴물, 괴수; 괴상한 것; 기형 : (비격식) 거대한 동물[것]; (미 속어) 음악계의 슈퍼스타

cyclops [sáiklaps] : [그리스신화] 키클롭스 : 외눈박이 거인족의 한 사람; 외눈 기형인 사람

Gargantua : 가르강튀아 : Ravelais 작 「Gargantua」 중에 나오는 경음마식(鯨飮馬食 :고래처럼 마시고 말처럼 먹는 데서)의 거인

Brobdingnag [brάbdiŋnӕg|brɔ́b-|-dig-] : 브로딩내그; 걸리버 여행기의 거인국

Brobdingnagian [brὰbdiŋnǽgiən] : 걸리버 여행기 중의 거인국의 주민; 거인

python [páiθan] : 혼(spirit); 악마(demon); 악마나 귀신이 들린 사람; 비단뱀

Bunyanesque [bΛnjənésk] : 'Paul Bunyan'(북부의 거인 벌목꾼)에서 유래(a giant lumberjack)

[해설]

behemoth [bihíːməθ] : 거대[괴상]한 사람[동물, 것] : 성경에 나오는 거대한 짐승(하마로 추정)에서 유래 [ㅎ 그는 거대한 나방?]

미술계의 거인이란 뜻으로는 'behemoth'가 적합하다.

'어휘'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oke 바퀴, 우산의 살  (0) 2022.09.27
morass 와 reparation  (0) 2022.09.25
disquietude 불안, 걱정, 동요  (1) 2022.09.20
explode : 타파 [打破] / 설파[說破] ← 폭파[爆破]  (0) 2022.09.18
passe 와 pundit  (2) 2022.09.16
Posted by 연우리
어휘2022. 9. 20. 15:22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https://youtu.be/yxsHGfiC4dM

 

# Langdon knew she was right, and yet he had deciphered the segno in a single reading. A perfect stanza of iambic pentameter, and the first altar of science had revealed itself in pristine clarity. Admitttedly, the ease with which he had accomplished the task left him with a nagging (A)[ ]. He was a child of the Puritan work ethic. He could still hear his father speaking the old New England aphorism: If it wasn't painfully difficult, you did it wrong. Langdon hoped the saying was false. "I deciphered it," he said, moving faster now. "I know where the first killing is going to happen. We need to warn Olivetti."

Vittoria closed in on him. "How could you already know? Let me see that thing again." With the sleight of a boxer, she slipped a lissome hand into his pocket and pulled out the folio again.

# 다음 중에서 빈칸 (A)와 (B)에 공통으로 들어가기에 적합한 것은?

A. ennui B. disquietude C. frisson

D. insouciance E. nonchalance

[해석] 랭던 교수는 그녀가 옳다는 것을 알았지만 한번 읽고서 그 사인을 해독했다. 완벽한 약강 오보격의 연으로 과학의 첫 제단은 원시적인 명료함 속에 나타나있었다. 인정되는 바 그가 그 일을 쉽게 성취했기에 그에게는 끊임없는 불안감으로 남았다. 그는 퓨리턴의 노동 윤리를 가진 아이였다. 그는 아버지가 뉴잉글랜드 지방의 오래된 격언을 말씀하시는 것이 여전히 들렸다. '고통스럽게 어렵지 않았다면 그건 잘못한 것이여.' 랭던 교수는 이 격언이 틀렸기를 바랬다. "나는 해독했어요."라고 말하며 더 빠르게 움직였다. "저는 첫 살인이 어디에서 일어날 것인지 알아요. 우린 올리베티에게 경고해야 해요."

비토리아는 그에게 바싹 다가 갔다. "어떻게 이미 알 수 있죠? 제가 다시 그거 볼게요." 권투 선수처럼 정교하게 그녀는 나긋한 손을 그의 주머니 속으로 넣어서 다시 서류를 끄집어 냈다.

[정답] (A) : B. disquietude

[어휘 또는 표현]

decipher [disáifər] : 판독하다; 해독[번역]하다; (일반적으로) 확실하게 하다 : (de- 꺼꾸로 + E cipher, F dechiffrer) ['cipher'는 암호, 부호, 숫자의 0, 암호를 없애는 데서]

ennui [aːnwíː] : (프랑스어) 권태감, 지루함, 울적함 : (O F enui : annoyance fr. enuier ; to annoy) ['annoy'도 처음에는 'ennui'(권태)를 뜻했지만 지금은 '일시적인 강한 불쾌감'을 뜻한다. ['annoy'와 같은 어원인데 불쾌감이 아니라 권태의 뜻으로]

segno = sign 

iambic pentameter : 약강 오보격

altar [ɔ́ːltər] : 제단; 성찬대 : (L altare : high, 제단) ['alter'와 같은 발음에 주의할 것.]

nagging : [의심·통증 등이] 계속되는, 누그러지지 않는; [사람이] 심하게 잔소리하는

aphorism : 아포리즘, 격언, 경구, 금언 : (Gk aphorizein : seprate : apo- : from + horizein : 경계를 이루다 → aphorismos : 정의, 간결한 판정)

close in on ~ : ~에게 바싹 붙다

sleight [slait] : 능란한 솜씨; 날쌘 재주; 책략 ['slight'와 같은 발음에 주의하자.]

lissome [lísəm] : 나긋나긋한; 유연한; 민첩한

sans souci[sα susi]: 마음 편함; 근심 걱정 없음; 마음 편히 : (M F san, sans fr. L sine : without + soucier : to trouble : without care, trouble, worry) [걱정 없음에서]

insouciance [insúː siəns]: (프랑스어) 근심[고생] 없음, 태평; 무관심 : (F in- : not + soucier : to trouble) [근심 없음에서]

nonchalance [nὰnʃəlάːns] : 무관심, 냉담; 태연함; 아랑곳하지 않음 : (O F non- : not + chaloir : to concern) [관심 없는 데서]

frisson [friːsɔ́ːŋ] : (프랑스어) (공포·흥분에 의한) (오싹) 떨림 : (O F fricon fr. L frigere : to be cold) [추운 듯 떠는 데서]

척추를 타고 올라오는 느낌은 'frisson'이다.

[해설] 

disquietude [diskwáiətjùːd] : [불가산] 불안, 걱정; 동요: uneasiness or anxiety : (L dis- : not + quietude : quiet) [조용[평안]하지 않은 데서]

angst [æŋkst] : (독일어) 공포, 두려움; 불안, 걱정

'어휘' 카테고리의 다른 글

morass 와 reparation  (0) 2022.09.25
behemoth ㅎ 그는 나방?  (0) 2022.09.22
explode : 타파 [打破] / 설파[說破] ← 폭파[爆破]  (0) 2022.09.18
passe 와 pundit  (2) 2022.09.16
"What's your beef?" vs. "Where's the beef?"  (0) 2022.09.14
Posted by 연우리
어휘2022. 9. 18. 14:02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https://youtu.be/dcDmopX5Ge4

 

# The Roman orator Cicero believed that every individual is a spark or splinter of God, and so treating another human being badly is like doing the same to ourselves. To him, this is a simple fact of universal law. We are social animals, born for the sake of each other, and the aim of life is simple: "to contribute to the general good by an interchange of acts of kindness, by giving and receiving, and thus by our skill, our industry, and our talents to cement human society more closely together, man to man." Cicero aimed to (A)[ ] the idea that you must sometimes sacrifice doing "what is right" for the sake of doing what is expedient. Doing what is right, he wrote in On Duties, is always what is expedient.

# 다음 중에서 빈칸 (A)에 적합한 것은?

A. explode B. implode C. explore D. implore E. deplore

[해석] 로마의 웅변가인 키케로는 모든 개인 신의 작은 일부분 또는 파편과 같으며 그래서 다른 인간을 험하게 대하는 것은 스스로를 험하게 대하는 것과 같다고 믿었다. 그에게는 이는 단순한 보편적인 법이다. 우리는 사회적 동물이고 서로를 위해서 태어나며 삶의 목표는 단순하다. 즉, 친절한 행위를 주고받는 교환을 통해서 전체의 이익에 기여하고 우리의 솜씨와 근면함과 재능을 인간 사회를 더 가깝게 인간 대 인간으로 합쳐서 공고하게 하는 것이다. 키케로는 적절한 것을 하기 위해서 때로는 옳은 것을 하는 것을 희생해야 한다는 생각을 타파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그는 『의무론』에서 올바른 것을 하는 것이 항상 적절한 것이라고 적고 있다.

[정답] (A) : A.

[어휘 또는 표현]

orator [ɔ́ːrətər, άr-] : 연설자, 변사; 웅변가 : (L os : mouth → Late L oralis) [오럴 테스트와 같은 어원에서]

Cicero [sísəròu] : 키케로; 고대 로마의 정치가

splinter : 파편, 깨진 조각; 가시; 부목 : a small, thin, sharp piece of wood, glass or ~ : (Middle Dutch splinter)

spark : 불꽃; 광채, 활기; 약간; 조금

expedient [ikspíːdiənt] : (목적에) 맞는, 편리한, 시기적절한; 편의주의의; 공리주의적인; 수단, 방책 : (L expedient-, expediens ; expepedire(to extricate, prepare, be useful)의 현재 분사), fr. ex + ped-, pes-(foot)) [발이 잘 나가는 데서]

[plodere : to clap]

explode [iksplóud] : [화약 등이] 폭발하다; 파열하다; 폭발적으로 증가하다; [감정·태도·사태 등이] 폭발적으로 [~이] 되다; 폭소하다; [화약·보일러·탱크 등을] 폭발시키다; [습관·미신·학설 등을] 타파[설파]하다 : (ex : out + plaudere : clap(손뼉을 치다)) [옛날에는 손으로 쾅 쳐서 무대에서 내 보내는 것을 뜻했는데 이후 쾅 소리와 함께 나가버리는 데서 폭발의 뜻으로 쓰임.]

implode [implóud] : 내파 하다; 폭파하여 파괴하다 (in : 안으로 + plodere : 쾅)

[plorare : cry (out), bewail : 몹시 슬퍼하다]

explore [iksplɔ́ːr] : [미지의 지역·세계를] 탐험[답사]하다, ~을 개척하다;[문제·가능성 등을] 연구[탐색, 조사]하다; ~을 알아보다; 탐사하다 : (ex : out + plorare : to cry(외치다)) [외쳐서 나오게 하는 데서, 원래는 사냥감 발견시 외치는 데서]

implore [implɔ́ːr] : [원조·자비 등을] 간청하다; 애원하다; 탄원하다 : (in + plorare : 울다) [울음 속에서 하는 데서]

deplore [diplɔ́ːr] : ~을 깊이 뉘우치다, 유감으로 생각하다; [남의 죽음 등을] 애통해 하다, 슬퍼하다; 통렬하게 비난[비판]하다, 개탄하다 : (de : 완전히(강화사) + plorare : 울다) : [원래는 큰 슬픔, 유감의 뜻이었으나 지금은 눈물이 날 정도로 비난, 한탄, 개탄하다의 뜻으로 많이 쓰인다.]

[해설]

'explode'가 '폭파' 외에 '타파, 설파'의 제2 의미 동사로 쓰임을 기억하고 있어야 한다.

[습관·미신·학설 등을] 타파[설파]하다

explode the myth : 미신, 신화, 그릇된 통념을 타파하다

At last, I thought, some one is willing to explode the myth that thin equals sexy!

"드디어 내 생각대로 어떤 사람이 마른 것이 섹시한 것이라는 그릇된 생각을 기꺼이 타파하려 한다."

Nuclear weapons explode the theory of just war.

"핵 무기는 정당한 전쟁이라는 이론을 타파한다."

 

'어휘' 카테고리의 다른 글

behemoth ㅎ 그는 나방?  (0) 2022.09.22
disquietude 불안, 걱정, 동요  (1) 2022.09.20
passe 와 pundit  (2) 2022.09.16
"What's your beef?" vs. "Where's the beef?"  (0) 2022.09.14
savants or scientists  (0) 2022.09.12
Posted by 연우리
어휘2022. 9. 16. 19:03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https://youtu.be/-PN0eQDmKIs

 

#1. When we were small, Jem and I confined our activities to the southern neighborhood, but when I was well into the second grade at school and tormenting Boo Radley became (A)[ ], the business section of Maycomb drew us frequently up the street past the real property of Mrs. Henry Lafayette Dubose. It was impossible to go to town without passing her house unless we wished to walk a mile out of the way. Previous minor encounters with her left me with no desire for more, but Jem said I had to grow up some time.

#2. At the beginning of the twentieth century, globalization was viewed as so inevitable that some thought war itself was probably (B)[ ], and certainly so irrational that no right-thinking leader in Europe would ever take his country to war. In 1910, a leading British (C)[ ], Norman Angell, wrote The Great Illusion, which rightly argued that national economies had become so interdependent, so much part of a global division of labor, that war among the economic leaders had become unimaginably destructive. War, Angell warned, would so undermine the network of international trade that no military venture by a European power against another could conceivably lead to economic benefits for the aggressor. He surmised that war itself would cease once the costs and benefits of war were more clearly understood.

#1. 다음 중에서 빈칸 (A)와 (B)에 공통으로 들어갈 단어는?

A. passe B. posse C. parse D. puss E. pathos

#2. 다음 중에서 빈칸 (C)에 들어가기에 적합한 것은?

A. pundit B. pulpit C. contrite D. culprit E. accomplice

[#1. 해석] 우리가 꼬마였을 때 젬 오빠와 나는 우리 활동을 남쪽 이웃으로 한정되었지만 초등 2 학년이 한참 되었을 때 부 래들리를 괴롭히는 것이 한물갔을 때 메이컴 군의 상업 구역이 자주 우리를 헨리 듀보스 할머니의 집을 지나서 거리를 따라가게 했다. 1 마일을 벗어나 가기 바라지 않는 한 할머니의 집을 지나지 않고 시내로 가는 게 불가능했다. 전에 사소한 일로 할머니를 조우하고 나서는 더는 그러고 싶지 않았지만 젬 오빠는 나더러 더 커야 하겠다고 말했다.

[#2. 해석] 20 세기 초에 세계화는 아주 피할 수 없는 것으로 여겨져서 일부 사람들은 전쟁 자체는 필경 한물간 것이고 확실히 아주 비이성적이어서 유럽의 제대로 생각하는 지도자라면 결코 자기 나라를 전쟁으로 몰고 가지 않을 거라고 생각했다. 1910 년에 영국의 (평화) 전문가인 노먼 에인절은 「거대한 환상」을 집필했는데 국가 경제는 아주 상호의존적이고 세계적인 노동의 분화의 일부가 되어서 경제적인 선발국들 사이에서의 전쟁은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파괴적이라고 적합하게 주장했다. 에인절의 주장에 따르면 전쟁은 국제 무역 네트워크를 심하게 저해해서 한 유럽의 강대국이 다른 강대국을 대상으로 하는 어떤 군사 도발도 공격을 한 나라에 경제적인 혜택을 가져오는 것을 상상할 수 없다. 그는 추측했다. 전쟁 자체는 일단 전쟁의 비용과 혜택을 더 명료하게 이해가 되면 사라지게 될 거라고.

[정답] 1. (A)와 (B) : A. passe 2. (C) : A. pundit

[어휘 또는 표현]

well into the second grade : 2 학년이 한참 되었을 때

posse [pάsi] : 무장대; 군중; 가능성, 잠재력 : (L posse : be able → Medieval L posse : power)

puss [pus] : (비격식) 고양이, 야옹; 계집애 (Dutch poes) [어원 불명]

pathos [péiθas] : 연민의 정[동정심]을 자아내는; 비애감, 페이소스; (미학에서) 예술 작품의 감정적·주관적 요소, 파토스 : (Gk pathos : 감정, 고통)

parse [paːrs] : (문장을) 문법적으로 해부하다; [문장을] 구성 요소로 분석하다; (넓은 뜻으로) ~을 세밀히 조사하다, 분석[해석]하다 : (L pars : part → F pars : parts → Middle E pars] ['parts of speech'(품사)에서]

pulpit [púlpit] : (교회의) 설교단, 강론단; (집합적) 목사, 성직자; 설교, 강론 : a raised platform or lectern in a church : (L pulpitum : platform, scaffold) [댕겨(pull) 올려진 플랫폼으로 연상하자.]

contrite [kəntráit] : [사람이] 통한의 회개한; [언행이] 후회의 빛을 보이는 : (L con- : together + terere : to rub) [완전히 다 떼를 벗겨낸(rub) 데서, ㅎ 두 손으로 비벼서.]

culprit [kΛlprit] : 미결수; 범인, 죄인; 원흉; (비격식) (문제의) 원인 : (L culpa : fault, blame) ['mea culpa'(내 잘못)과 연결해서 기억하자.]

mea culpa [méiə kΛlpə] : 나의 과실로; 내 잘못 : (L : through my fault : 'culpa'는 탈격으로(ablative) 여기서는 도구의 의미로 '~로'의 뜻이다.) [같은 어원으로 'inculpable'(죄 없는), 'culprit' (범인, 죄인) 등이 있다.]

accomplice [əkάmplis, əkΛmplis] : 공범자, 한패, 한통속 : a person who helps another commit a crime : (ac-, ad- + come : together + plicare : to fold) ['ally'는 함께 묶인(ligare : bind) 것이고 'plice'(to fold)이 쓰인 경우로 '함께 말려들어간' 것이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액세서리(accessory)도 '종범, 방조자'의 뜻이 있다.]

[해설]

passe [pæséi] : (프랑스어) 시대에 뒤진; 구식인, 쇠퇴한; 지나간, 왕년의; [사람이] 한창때를 지난; [여자가] 용모의 아름다움이 사라진 : (F passer : go by, pass) 

Wines from that region were quite popular for a while, but now they're rather passé.

"그 지역 와인은 한동안 아주 인기 있었지만 지금은 한물갔다."

pundit [pΛndit] : (인도의) 대학자; 학자; 전문가, 권위자; (구어) 유식한 체하는 사람 : an expert : (Sanskrit pandita : learned, skilled → pandita : learned man → 17 세기 중엽 pundit) ['pun'은 '말장난, 익살'의 뜻인데 이탈리아 말에서 나온 것으로 'a fine point'의 뜻으로 이 단어와는 무관한데 전문가, 권위자가 말장난하면 짜증.]

 
Posted by 연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