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동사2021. 4. 30. 17:33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 cvuffRKbWXE

# He pushed his plate away, drained the cup of coffee. Right on cue, Shelley appeared at his side once more.

 "You want a look at the dessert menu?" she asked.

 "No thanks," he said, reaching for his wallet. "I'll settle (A)[    ]."

 "Sure thing," she said , turning to go. "I'll get your check."

 "Wait," Danny said. "You do takeout?"

 

# 빈칸 (A)에 들어갈 단어는?

 

[해석] 그는 접시를 치우고 커피를 다 마셨다. 때마침 셜리가 그의 옆에 다시 한 번 나타났다.

  "디저트 메뉴 보시겠어요?"라고 그녀는 물었다.

  "고맙지만, 됐어요."라고 그는 말하면서 지갑을 찾았다. "(다) 계산 끝낼게요."

  "물론 그러시죠."라고 그녀는 말하고는 돌아가려고 했다. "계산서 가져올게요."

  "잠깐만요? 테이크아웃(포장)도 되나요?"라고 대니는 말했다.

[정답] (A) : up

 

[어휘 또는 표현]

[(right) on cue]

때맞추어; 마침 좋은 때에 : at exactly the most (or least) opportune moment, as if on purpose [ㅎ 큐(cue) 사인, 스탠바이 큐(cue), 레디(Ready) 액션, 레디 고, 이번 신은 한 큐(cue)에 갑시당. 당구 치면 'cue'가 뭔지 알게 됩니당. 당구의 막대기 (cue [kjuː] : [연극]  큐; (일반적으로) 신호, 암시), 전 대대에서 한 큐에 9 개 밖에 못 쳐봤습니당.]

We had just been talking about the awful new company initiative when, on cue, the CEO walked into the room.

"우린 회사의 끔찍한 새 이니셔티브 정책에 대해서 얘기하고 있었는데 때맞추어 CEO가 방으로 걸어들어왔다."

The bell sounded for the beginning of the lesson, and, right on cue, the teacher walked in.

"벨이 울려 수업의 시작을 알렸고 때마침 선생님이 들어오셨다."

Just as we're leaving, right on cue, the kids say they need the toilet.

"우리가 떠나려고 할 때, 때마침 애들이 화장실 가야 한다고 말한다."

[sure thing]

(미) (부사적으로) 꼭, 반드시, 확실히; (감탄사적으로) 물론이죠, 그럼요 (certainly, of course); (성공·승리 등이) 확실한 것

Sure thing. Let's keep in touch. "물론이지 서로 연락하자고."

A : Would you mind taking this to the dry cleaner for me? "이거 나 대신 세탁소에 가져다줄래요?"

B : Sure thing, when do you need it back? "물론이죠. 근데 언제 받아 와야 해요?"

Making the bestseller list has been a sure thing for Stephen King.

"베스트셀러 리스트에 오르는 건 스티븐 킹에게는 확실한 것이다."

[해설]

settle [sétl] : ~을 확정하다, [시간·가격·조건 등을] 정하다; ~할 것을 결정하다; [사무·문제·고민 등을] 처리[해결]하다; [계산·빚 등을] 지불하다(up); 결산[청산]하다; 정착시키다; 안정시키다, 자리 잡다, 이주하다; 진정시키다, 달래다  : (O E seti, German Sessel, Latin sela : seat, E sit) ['set-'은 'sit'과 'seat'와 같은 어원에서]

[settle up]

(다) 계산하다(지불하다), (다) 계산을 끝내다 : to pay what you owe on an account or bill

'up'은 '위로'의 의미를 갖지만 가까이 오면 커지는 모습에서 'show up'에서도 쓰이지만 드물게는 ★강화사로 '종결, 완성'의 의미로 '완전히, 모두, 모두 다'의 뜻으로도 사용된다. 'Clean up the room.(방을 다 깨끗이 치워라.)'이나 'The stream has dried up.(냇물이 바싹(다) 말라붙었다.)'에서도 'up'은 이런 강화사로 쓰인 셈이다.

We settled up and checked out of the hotel. "우린 다 계산을 끝내고 호텔을 체크아웃했다."

[돈 계산의 일이 자리를 잡은, 곧, 마무리(settle)가 완전히 된 데서]

I'll settle up with the bartender, then let's go. "바텐더에게 (다) 계산을 끝내고 가자."

Would you like to settle up now, sir. "선생님, 지금 (다) 계산하실 건가요?"

You buy the tickets and I'll settle up with you later. "네가 표 사라. 나중에 너와 정산할게." [ㅎ 똔똔이 되게 마무리하는 데서]

Posted by 연우리
구동사2021. 4. 28. 01:15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 RQjIGtrecN0

#  "I have an idea," she said, leaning closer to him. "Let's go to my place for coffee. You haven't seen it, have you?"

   Goddamn stupid question, he thought to himself, but played (A)[     ].

  "As a matter of fact, I have." He surprised her, "I mean, when Life did a spread on your spread. It looks fabulous."

  "Wait till you see the view," she murmured. "In any case, shall we talk some business first?"

  "Why not?" By now he was bursting with curiosity at the reason for her sudden rediscovery that he existed.

  "As I'm sure you know, I've got a sensational record as head of production. I've given the boys on the board some really terrific Christmas and Fourth of July presents."

 

#  빈칸 (A)에 들어갈 단어는?

 

[해석]   "이건 어때?"라고 그녀는 그에게 더 가까이 몸을 기울이며 말했다. "우리 집으로 가서 커피 마시자. 우리 집 못 보았지, 그치?"

   '지랄 같은 질문'이라고 속으로 생각했지만 장단을 맞춰 주었다.

   "사실은 봤어."라는 말에 그녀는 놀랐다. "네 말은 라이프 지가 자기 집에서 성찬을 차려놓고 큰 기사를 실었을 때 말이야. 거 멋지더라."

   "보기 전까진 기다려."라고 그녀는 중얼거렸다. "어쨌든 비즈니스를 먼저 얘기해도 되지?"

   "왜, 안되겠어?" 이제 그는 자신이 존재한다는 것을 그녀가 갑자기 재발견한 이유에 대한 호기심이 터질듯했다. 

   "자기가 알고 있으리라고 확신하듯이 난 영화사 사장으로 대단한 기록이 있어. 난 식탁에서 남자 애들에게 정말로 멋진 크리스마스나 독립 기념일 선물을 해주곤 했지."

[정답]   (A) : along

 

[어휘 또는 표현]

As a matter of fact, I have. = As a matter of fact, I have (seen it).

burst with ~ : ~으로 터질 듯하다 

spread : (신문·잡지의) 큰 표제 기사; (책·신문의) 좌우 양면 기사[광고, 사진); (식탁에 차려놓은) 많은 음식, 성찬

board : 식탁

[해설]

[play along]

따라 주는 척하다 → 장단을 맞추다 (좋은 의미보단 나쁜 의미로) : pretend to cooperate; to do what someone asks you to do, for a limited period of time

She had to play along and be polite. "그녀는 장단을 맞춰가면서 정중한 척해야만 했다."

My mother has learnt to play along with the bizarre conversations begun by father.

"엄마는 아빠가 시작한 이상한 대화에 장단을 맞춰주는 법을 배웠다."

I know  that  school can be  boring sometimes, but you just need to play along for a while until college,  where you can study things that really interest you. "학교가 때론 지루한 건 알아. 하지만 대학 갈 때까진 그냥 따라 주는 척해. 대학에선 정말로 관심 있는 것들을 공부할 수 있어."

[본문]

Goddamn stupid question, he thought to himself, but played (A)[along].

"'지랄 같은 질문'이라고 속으로 생각했지만 일단 장단을 맞춰 주었다."

 

Posted by 연우리
구동사2021. 4. 12. 17:31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tFUNtq2aAuM

#1.   Eve's eyes widened in shock. "I wouldn't do that."

    "Yes, you would. If you come up (A)[    ]. If they don't find Bonnie on that island. You couldn't help yourself." She gazed out the windshield. "And I'll turn you down, Eve. Not because of what I went through. I could take that, I think. But you couldn't take it. It would kill you."

 

#2.   The high production value means that the film is visually stunning, but no amount of aesthetic beauty can save a film whose paper-thin plot runs on (B)[    ] from start to finish. 

 

#  빈칸 (A)와 (B)에 공통으로 들어갈 단어는?

 

[#1. 해석]   이브의 눈은 놀라서 휘둥그레졌다. "전 안 그럴 거예요."

    "아니요, 그러실 거예요. 빈손으로 가면, 그래서 섬에서 보니를 찾을 수 없게 되면요. 자제할 수 없게 되죠." 그녀는 앞 유리 밖을 응시했다. "그리고 전 당신의 부탁을 거절할 거예요. 제가 겪은 것 때문이 아니에요. 그건 견딜 수 있어요. 하지만 당신은 그걸 견딜 수 없어요. 죽고 싶을 테니까요."

[#2. 해석]   많은 제작비는 그 영화가 시각적으로 뛰어난 것임을 의미하지요. 하지만 아무리 많은 시각적 아름다움도 처음부터 끝까지 얄팍한 구성에 가까스로 붙어있는 영화를 구할 수는 없는 겁니다.

[정답]   (A)와 (B) : empty

 

[어휘 또는 표현]

[help oneself]

1) 마음대로 집어먹다, 자유로이 먹다 [to]; 훔치다 : give oneself or take (food etc)

Help yourself to another piece of cake. "케이크 한 조각 더 드세요."

He helped himself to (= stole) my jewelry. "그는 내 보석을 훔쳐 갔다."

2) 자제하지, 억제하지 (못하다) : to be able to stop

I burst out laughing when he told me – I just couldn't help myself

"그가 내게 말했을 때 나는 울음을 터뜨렸다. 그냥 자제할 수가 없었다."

[해설]

[come up empty]

빈손으로 오다, 실패하다 : to be unsuccessful

We searched for a viable candidate but came up empty

"우리는 버틸 수 있는 후보자를 찾았지만 빈손으로 돌아왔다."

[run on empty]

자력이 다하다, 힘을 잃다, 역부족이다 → 거의 엥코 상태다

[엥코] 

(일본어) (속어) (전차·자동차 등이) 고장 남

You can only run on empty for so long. If you don't take a vacation soon you'll probably get sick or burnt out.

"자긴 너무 오랫동안 거의 앵코 상태로 가는 거야. 곧 휴가를 가지 않으면 병이 나거나 고장이 날 거야."

I don't know how much longer we can live this way —we're running on empty with no jobs in sight.

"난 얼마나 더 이런 식으로 살 수 있을지 모르겠어. 우린 일자리도 안 보이는 상태로 가고 있거든."

I get the impression he's been running on empty for months now. A holiday will do him good.

"그는 이제 몇 달 동안 거의 엥코 상태로 달린다는 느낌이야. 휴가를 취해야 도움이 될 거야."

'구동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let up 그치다; 하던 일을 그만두다  (0) 2021.04.14
lie in wait (for) 잠복하여 기다리다  (0) 2021.04.13
be drowning in ~과 throw up  (0) 2021.04.10
come from과 coming from  (0) 2021.04.08
brush off, brush up (on), brush by  (0) 2021.04.06
Posted by 연우리
구동사2021. 4. 4. 03:41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ZHV1RAeNKVo

#  The answer, I think, is yes. But we need a more robust and engaged civic life than the one to which we've become accustomed. In recent decades, we've come to assume that respecting our fellow citizens' moral and religious convictions means ignoring them (for political purposes, at least), leaving them undisturbed, and conducting our public life--insofar as possible--without reference to them. But this stance of avoidance can make (A)[   ] a spurious respect. Often, it means suppressing moral disagreement rather than actually avoiding it. This can provoke backlash and resentment. It can also make (B)[    ] an impoverished public discourse, lurching from one news cycle to the next, preoccupied with the scandalous, the sensational, and the trivial.

 

# 빈칸 (A)와 (B)에 공통으로 들어갈 단어는?

 

[해석] 내 생각에 답은 예입니다. 하지만 우리는 익숙해져 버린 것보다 더 건강하고 바쁜 시민의 삶을 필요로 합니다. 최근 몇 십 년에 걸쳐서 우리는 우리의 동료 시민들의 도덕적, 종교적 신념들을 존중하는 것은 그것들을 무시하고 (적어도 정치적인 목적을 위해서는) 그것들을 방해하지 않고 가능한 한 그것들을 언급하지 않고 우리의 공적인 삶을 살아가는 것을 의미한다고 여기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이런 외면하는 자세는 가짜 존중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흔히 그것은 실제로 도덕적인 의견 차이를 피하기보다는 그걸 억압하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 이는 반발과 분개심을 유발할 수도 있다. 공적 담론의 황폐화를 조장해서 스캔들과 선정적인 것들과 사소한 것들에 집착한 채로 한차례의 뉴스에서 다음 차례의 뉴스로 비틀거리며 나가게 한다.

[정답]   (A)와 (B) : for

 

[어휘 또는 표현]

spurious [spjúəriəs] : 가짜의, 의사의; 사생아의 : (L spurius : false → E spurous : born out of wedlock) [혼외에서 태어난 데서]

[해설]

[make for]

1)  to cause; lead to; result; help [상황에 따라 '도움이 되다', '기여하다', '일조하다', 또는 '야기하다', '조장하다'로 해석한다.]

Follow after the things which make (      ) for peace. "평화에 기여하는 것들을 추구하라."

[괄호에 'something'을 넣어서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다.]

The large print makes (       ) for easier reading.  "굵은 글씨체는 독서를 쉽게 하는 데 도움이 된다."

The new computers make (       ) for much greater productivity.

"새로운 컴퓨터들은 생산성을 훨 놓이는 데 도움이 된다."

But it does not always make (      ) for comfortable reading.

 

 

"하지만 그게 편안한 독서에 항상 도움이 되는 것은 아니다."

International football matches do not always make for better understanding between countries.

"국제 축구게임은 국가 간의 이해를 증진하는데 항상 도움이 되지는 않는다."

Having faster computers would make (     ) for a more efficient system.

"더 빠른 컴퓨터를 갖는 것이 더 효율적인 시스템에 도움이 될 거다."

[본문]

But this stance of avoidance can make (       ) (A)[for] a spurious respect.

"하지만 이런 외면하는 자세는 가짜 존중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It can also make (      ) (B)[for] an impoverished public discourse  "공적 담론의 황폐화를 조장해서"

2) 향하다 : to move towards a place

He picked up his umbrella and made (*himself) for the door. "그는 우산을 들고 문으로 향했다."

사용하지 않고 필히 생략하지만 이해를 하기 위해서는 재귀 대명사를 넣어보면 이해가 잘 된다.

Everyone made for the exit as soon as the show was over. "쇼가 끝나자 마자 모두가 출구로 향했다."

I think it's time we made for home. "내 생각에 우리는 집으로 가야할 시간이야."

 

Posted by 연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