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t through to'에 해당되는 글 2건

  1. 2022.05.06 get through to ~ ~에 이르다, ~을 이해시키다
  2. 2021.02.07 get to와 get down to와 get through to
구동사2022. 5. 6. 12:59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_e_41YcSucY

#     As soon as I was released I gathered my children and searched for work. My daughter seemed well adjusted to having me back home. But my son? Well, that's another story. My time away had only meant trouble and, clearly, he had mixed feelings. He was floundering in high school--when he was going at all--not to mention running with a bad crowd. I tried my best to get (A)[        ] to him but, based on my past, he seemed to shut me out. I didn't press the issue. Within days, I found the perfect job. It utilized my skills, what few I had, and the pay wasn't bad. For the first time, I could see my way through. There was only one problem: I lacked a high school diploma. ~ ~

 

#     본문에서 빈칸 (A)에 들어갈 단어를 찾아서 넣으시오.

 

[해석]    출옥하자 마자 나는 애들을 불러모았고 일자리를 알아 보았다. 딸은  내가 집에 돌아온 것에 잘 적응하고 있는 것 같았다. 하지만 아들은? 뭐, 그건 다른 얘기죠. 내가 없었던 시간은 그저 불편한 것 뿐이었죠. 아들은 확실히 상반된 감정이었어요. 그는 고등학교에서 허우적 거리고 있었어요. 그것도 여하튼 학교에 갈 때는. 나쁜 애들과 싸 돌아다니는 것 말할 필요도 없지요. 내 마음을 이해시키려고 최선을 다했지만 제 과거 때문에 아들은 절 밀어내는 거 같았어요. 저는 그 문제로 강압적으로 대하지는 않았어요. 며칠 내에 좋은 일자리를 얻었어요. 그건 제 기술을 사용하는 것이었어요. 얼마 되지도 않는 기술이지만요. 그리고 페이도 나쁘지 않았어요. 처음으로 나아갈 길이 보였어요. 유일한 문제점이 있었어요. 그건 제가 고등학교 졸업장이 없다는 것이었어요. ~ ~

[정답]     (A) : through

 

[어휘 또는 표현]

flounder [fláundər] : 버둥거리다, 허우적거리다; (당황·혼란 되어) 허둥대다; 간신히 나아가다; [경제 등이] 침체 상태를 벗어나지 못하다

shut out : 따돌리다

press the issue : 그 문제로 밀어붙이다, 압박하다

It utilized my skills, what few I had  "그 일은 내 기술을 이용하는 것이었다. 별 것도 아닌 내 기술을."

I will do what little I could do. "미진하지만 모든 걸 다 해보겠다."

분명히 뭔지 밝히기 싫거나 반복을 피할 때는 그냥 'what little'이 'what few'를 사용한다.

[해설]

I' could see my way through.'에서 'through'를 찾아서 넣으면 된다.

[get through to ~]

~에 도착하다, 이르다; 이해시키다  : to make someone understand what you are trying to say; to go forward to the next stage of process  ['get'은 변화형이고 '단계 등을 거쳐(through) ~에 이르게 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고 또는 '내 말이나 심정'이 '그의 귀를 통과해(through) 제대로 마음까지 도착(to)하는 것'이면 '이해시키다'의 뜻이 된다.] 

She got through to the final round of interviews. "그녀는 (여러 단계를 거쳐) 최종 면담 단계에 이르렀다."

I feel I'm not getting through to some of the kids in my class. 

"내 느낌으로는 우리 반의 몇명의 아이들에게 내 마음을 이해시키지 못하고 있는 거 같아."

She just will not listen to me--I don't know how to get through to her. 

"그녀는 그냥 내말은 들으려고도 안해--어떻게 해야 마음을 전할 수 있는 지 모르겠어."

 

The best way to get through to these kids is to be honest with them. 

"이 아이들과 소통하는 최선의 방법은 정직하게 대하는 것이다."

 

Posted by 연우리
구동사2021. 2. 7. 06:57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LyM9mlYAH5s

#1.  "I don't care," she said defiantly.

  "I think you'll care. Because on one of these islands you're going to die. You'll have to guess which one. Perhaps you're kneeling on it right now. It's hard for children to realize the horror of death. How can I bring it home to you . . .? Do you miss your mother? You'll never see her again."

   Mama!

   "I think that got (A)[      ] to you, bitch," he murmured. "Are you afraid at last?"

 

#2. Luyt also wants the Lions concept extended to hosting matches against countries from the Southern Hemisphere when they visit Britain. "We have been talking about the Lions playing on their own pitches instead of only abroad for many years and it is about time we got (B)[     ] to serious discussion," he added.

 

[#1. 해석]  "전 신경 안 써요."라고 앤은 반항하며 말했다.

    "신경이 쓰일걸. 저 섬들 하나에서 넌 죽을 테니까. 어는 건지 추측해봐야 할걸. 아마도 바로 거기에 무릎을 꿇어야 할 거야. 애들은 죽음의 공포를 깨닫기 어렵지. 어떻게 생생하게 말할 수 있나? 엄마 보고 싶지? 다시는 엄마 못 볼 거야."

    엄마!

    "쪼끄만 년, 이제야 짱 알아 들었구먼."이라고 그는 중얼거렸다. "이제 무섭지?"

[#2. 해석]  루이트는 라이온즈 팀의 구상이 남반구 나라들이 영국에 왔을 때 주최 팀이 되는 걸로 확대되길 원한다. "외국에서만 여러 해 동안 하지 말고 우리 경기장에서 라이온즈 팀이 경기하는 걸 논의해 왔지요. 그리고 이제 진지하게 토론을 시작할 때지요."라고 그는 덧붙였다.

[정답]   1. (A) : through       2. (B) : down

 

[어휘 또는 표현]

bring ~ home to ~ : 뼈저리게 느끼게 하다; 충분히 납득시키다; 명확히 깨닫게 하다

The sight of the flooded river brought the power of nature home to me

"범람하는  보니 새삼 자연  깨닫게 되었다."

[해설]

'get to' 4) 착수하다, 시작하다 : to start

We're gonna do it, let's get to it. "우린 그거 할 거야. 자 시작합시다."

착수, 시작하려면 그쪽으로 가야 한다. 

[get down to ~]

본격적으로 착수하다, 시작하다 : to begin to give serious attention to (something such as work, or doing something) [ㅎ 본격적으로 뭘 하려면 앞에 앉아야(down) 합니다.]

It's time we got down to work. "우린 일을 시작해야 할 때다."

I really must get down to my studies. I've been lazy too long. 

"난 정말 본격적으로 공부를 해야 한다. 너무 오랫동안 게으름 피웠거든."

OK, let's quit fooling around and get down to work. "오케이, 자 빈둥 그만 대고 일 시작합시다."

When we get down to details, the plan seems possible. 

"우리가 본격적으로 세부 사항에 돌입하자 계획이 가능해 보였다."

The committee got down to business after coffee. "위원회는 커피를 마신 후에 일에 매진했다."

While the weather's fine, I must get down to repainting the house.

"날씨가 좋아지면 나는 본격적으로 집에 페인트를 칠할 거다."

The meeting's not due to start for another five minutes but we're all here, so let's get down to business.

"회의는 5 분은 더 있어야 시작이지만 우린 다 모였으니 자 시작합시다."

'get to' 5) ~에게 이해되다 : to be understood by (someone)

I've tried to help the troublesome boy, but I can't seem to get to him.

"그 문제아를 도우려고 했지만 내 뜻이 그에게 이르지가 [이해되지가] 않는다."

내 말이 건너가 이르러야 그 뜻이 전달, 이해된 것이다.

[본문]

it is about time we got (B)[down] to serious discussion "이제 진지하게 토론을 시작할 때지요."

[get through to ~]

~에게 완전히 통하다, 이해되다; to (cause to) be understood or accepted by (someone)

Few teachers can get through to students who don't want to learn.

"배우길 원치 않는 학생들에게 말이 통하는 선생님은 드물다."

I can't seem to get it through to Grandfather that he must rest.

"할아버지에게 휴식을 취해야만 한다는 뜻을 전하지 못 한거 같다."

[본문]

I think that got (A)[through] to you, bitch. "쪼끄만 년, 이제야 짱 알아 들었구먼."

 

Posted by 연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