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tch'에 해당되는 글 3건

  1. 2023.07.05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935회]
  2. 2021.05.21 far from final 그리고 patch
  3. 2021.02.21 patch ★★★
편입 문법 3000 Plus2023. 7. 5. 03:44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 https://youtu.be/wMZKnB71xWc

 

4409. [광운대학교 2014]

다음 중 어법상 잘못된 것은?

(A) They regard it as a discourtesy that you didn't notify them earlier.

(B) I find that he tried to retract his statement hardly surprising.

(C) It's not that I don't understand what you're trying to say.

(D) It looked as if he was trying to hide his true identity.

(E) We owe it to you that we got off so lightly.

4409. ['that 절의 중간 제약]

정답 - B → [I find it hardly surprising that he tried to retract his statement.]

: 목적격 보어가 있는 경우 'that 절'은 목적어로 쓸 수 없다. 중간 제약에 위배되기 때문이다. '가목적어 it'과 목적보어를 사용한 후에 'that 절'은 외치시켜야 한다.

[해석] 그가 자기 진술을 취소하려 했었다는 것은 전혀 놀랍지 않다.

A : 'that 절'을 외치시키고 '가목적어 it'을 사용하고 있다.

[해석] 당신이 그들에게 더 일찍 고지하지 않았던 것을 그들은 무례로 간주한다.

C : 'It is not that ~'은 'It is not because ~'와 같은 뜻이다.

[해석] 당신이 말하고자 하는 것을 제가 이해하지 못한다는 것은 아닙니다.

D : 'as if' 다음에는 가정법과 직설법이 다 올 수 있다.

[해석] 그는 마치 자신의 진정한 신분을 감추려는 듯했다.

E : 'that 절' 대신 중간 제약을 피해 'it'을 사용하고 있다.

get off with ~ : ~을 받고 넘어가다

get off lightly / easy : 가벼운 벌을 받고 넘어가다

get away with ~ : ~라는 짓을 하고도 넘어가다

get off with someone : 사귀다, 섹스하다

[해석] 우리가 그렇게 가벼운 벌로 넘어간 것은 당신 덕택이죠.

4410. *[중앙대학교 2014]

The more materially (A)[inexplicable] one's devotion and commitment to a sacred cause -- that is, the more absurd -- the greater the trust others (B)[place] it and the more that trust generates commitment (C)[on their part]. (E)[No error].

4410. ['the 비교급 + the 비교급 구조 완성형]

정답- B [place] → [place in] : 'the 비교급'은 조건절에서는 반드시 절의 앞으로 가야만 한다. 원래 'one's devotion and commitment to a sacred cause (is or are) the more materially inexplicable'에서 'the more materially inexplicable'이 절의 앞으로 간 뒤에 'is'가 생략된 것이다. 'dash ~ dash'는 빼버리고 종속절에서 'the trust others placed in it is the greater'에서 'the greater'는 앞으로 가고 'the greater (is) the trust others place in it'에서 'is'가 생략된 것이다. 'the trust'를 수식하는 관계절에서 흔적 자리는 'place 뒤의 목적어 자리'인데 '전치사 in'이 빠진 채 'place *it'로 사용할 수 없다. 줄이 쳐져 있지 않아서 문제는 없지만 'the more that trust generates commitment on their part'에서 'the more commitment'로 선행시키는 것이 원칙이지만 종속절에서는 간단히 'the more'만 선행시키기도 한다.

[place / put trust in ~]

믿다, 신뢰하다 : to trust

He placed / put his trust in his closest friends and few others.

[해석] 어떤 대의명분(운동)에 대한 누군가의 헌신과 약속이 물질적으로 더 설명 불가능할수록, 즉 더 불합리할수록, 다른 사람들이 그 운동에 대해 부여하는 믿음은 더 커지고 그 믿음이 그들 측에 낳는 약속을 더 크게 한다.

4411. **[서강대학교 2014]

Prime numbers are what (A)[are] left when you (B)[have taken] all the patterns away. I think prime numbers are like life. They are very logical but you (C)[could] never work out the rules, even if you (D)[spent] all your time thinking about them.

4411. ['선행사 포함의 what'과 주어 동사의 일치]

정답 - A [are] → [is] : 'what'에 포함된 선행사는 주절의 주어와 원칙적으로 무관하다. 'They are a ~ teacher.'는 개체로서의 속성을 말하는 표현이고 'They are teachers ~'는 집단으로서의 속성을 말하는 표현이다. 보어인 'a ~ teacher'와 'teachers ~'는 주어-동사의 일치와 원칙적으로 무관하다. 'anything(s) which'에 해당되는 'what'은 그 자체가 단수로 인식되거나 복수로 인식되는 가에 따라 관계절 동사는 단수인 'is'를 쓰기도 하고 복수인 'are'를 쓰기도 한다. 'prime numbers'는 복수일 수 있지만 글쓴이가 집합(set)으로 보면 단수일 수 있다.

모든 쓸데없는 패턴들의 제외하고 나면 남는 것은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지만 집합으로 보면 단수 취급한다. 'what is'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지만 이런 식의 문제는 처음 본다.

B : 완료의 결과적 용법에 해당된다.

D : 그 생각에 모든 시간을 투입할 수는 없으므로(뻥이므로) 가정법 과거인 'spent'를 사용한 것은 합당하다.

C : 가정법 귀결절에 'could'를 사용한 것은 가정법 조건에 따르는 귀결의 내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사실 관계를 따질 필요가 없다. [ㅎ 일종의 '자연 뻥'이랄까.]

[해석] 정수는 모든 패턴들을 치워내고 나면 남는 것이다. 정수는 생명과 같은 거라는 생각이다. 정수는 아주 논리적이지만 만일 그에 대해 생각하는데 (뻥이지만) 당신의 모든 시간을 투입한다 하더라도 관련된 모든 규칙들을 결코 알아내지는 못할 것이다.

[원전]

영국 작가 'Mark Haddon'(마크 해던)의 출세작 'The Curious Incident of the Dog in the Night-Time'(한밤중에 개에게 일어난 의문의 사건)에서 인용되었다.

4412. *[한양대학교 2014]

Among the social movements to have arisen along (A)[with] and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one that remains somewhat controversial and of which the outcome is still far (B)[from] decided is the animal rights movement. The first attested historical proponent is ancient Greek thinker Pythagoras. Following his belief that humans can reincarnate (C)[by] animal bodies, he argues (D)[for] treating animals the same as humans.

4412. [변화 전치사 따르는 'reincarnate' + 'patch']

정답- C [by] → [into] : '다시 체화(car) 되어 들어가는 것'이므로 전치사는 'into'를 사용해야 한다.

reincarnate : [다른 육체에] 다시 태어나게 하다; 환생하다

A : '{[along with] and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로 전치사가 병치되고 있다.

B : of which the outcome is still far (B)[from] decided is the animal rights movement

= whose outcome is ~ : 'far from' 뒤에는 'patch'로 분사가 사용될 수 있다.

D : 'argue for ~'는 '찬성을 주장하다'의 뜻이다.

[해석] 산업혁명과 더불어 그리고 그 이래로 일어났던 사회 운동들 중에서 다소 논란이 있고 그 결과가 아직은 결정된 것과는 거리가 먼 것은 동물의 권리 운동이다. 처음으로 증언된 역사적 주창자는 고대 그리스의 사상가인 피타고라스이다. 인간은 동물의 몸으로 다시 태어날 수 있다는 믿음에 따라서 그는 동물들을 인간과 똑같이 대우할 것을 주창한다.

['far from'과 관련된 'patch' 현상]

​[far from ~]

not at all : 전혀 아니다, 거리가 멀다 [단순히 'not'을 사용하는 것보다 'far from'을 사용하는 것이 강한 표현이다.]

[patch?]

일반적인 문법 원칙에 어긋나 보이지만 땜질을 할 수밖에 없을 때 사용되는 표현을 'patch'라고 한다.

patch : (해진 데 등에 대는) 헝겊[가죽] 조각; 상처에 대는 헝겊; 반창고; (문장의) 한 절; [컴퓨터] 패치 : 프로그램의 오류를 임시 수정하는 일

She is far from (being) a fool. "그녀는 결코 바보가 아니다."

여기서는 전치사 'from' 다음에 명사나 동명사가 따라와서 'far from'은 'patch'라고 하지 않는다. 'far from'은 'not' 대신 사용되어 뜻을 강화시킨다.

It is still far from clear exactly what the Thais intend to do.

"태국인들이 정확하게 뭘 의도하는지는 여전히 전혀 분명하지 않다."

전치사 'from' 다음에 형용사인 'clear'가 따르는 것은 일반적인 문법 현상으로는 틀린 것이지만 'not'을 강조하는 표현으로 'far from'이 사용될 때 형용사가 따라도 이는 'patch'로 허용이 되는 것이다.

We are far from finished. "우린 전혀 끝난 것이 아니다."

We were far from disappointed when they told us they couldn't come to visit.

"그들이 우리에게 방문하러 올 수 없다고 말했을 때 우리는 전혀 실망하지 않았다."

But far from everyone is convinced that the Revolutionary Reading Plan is the right idea. "하지만 그 혁명적인 독서 플랜이 옳은 아이디어라고 모두가 확신하고 있는 것과는 거리가 멀다."

정동사 'is'의 주격의 주어가 있어야 하는데 'from' 뒤에서 'everyone'은 목적격이 되니까 일반적인 문법으로는 잘못된 것이다. 하지만 'far from'이 'not'을 대신한 것으로 보면 얘기가 달라진다. 'not everyone is ~'로 보면 부분 부정으로 '전부 다가 ~는 아니다'로 이상하지 않아진다. 겉으로는 이상하지만 그럴만한 이유가 있어서 사용된 것으로 패치에 해당된다.

But the study is controversial and far from everyone is convinced it revealed the murderer's identity. "하지만 그 조사는 논란이 많았고 모든 사람이 그 조사가 살인범의 정체를 드러냈다고 확신하는 것과는 거리가 멀었다."

the names on the Nobel Committee's list are treated as suggestions and are far from final

"노벨 위원회의 리스트의 이름들은 제안으로 간주되며 전혀 최종적인 것은 아니다."

It rested with a far from satisfied} expression on the little Belgian's long mustaches.

'dissatisfied' 대신 'far from satisfied'가 사용된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Posted by 연우리
표현2021. 5. 21. 22:37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 hPPg4drI3Bk

#  Despite the initial canvassing of names, the soliciting of further information from knowledgeable individuals--and yes, the discreet inquiry into private lives--the names on the Nobel Committee's list are treated as suggestions and are (A)[   ] from final. For its job is merely to propose five candidates as guidelines to the Nobel Assembly, which would do the actual voting. 

 

#   빈칸 (A)에 들어갈 단어는?

 

[해석]   처음에 인물들을 청했음에도 불구하고 추가적인 정보를 알만한 사람들에게 청하는 것은, 물론 개인적인 삶에 대해서도 신중한 조사는 노벨 위원회의 리스트에 오른 인물들은 추천으로 간주되며 전혀 최종적인 것이 아니다. 왜냐하면 위원회의 일은 실제로 투표를 하는 노벨 회의에 가이드라인으로 다섯 명의 후보들을 제안하는 것일 뿐이다.

[정답]   (A) : far

 

[어휘 또는 표현]

canvass [kǽnvəs] : [지역·단체에] [투표·기부·충고 등을] 원하다, 간청하다(solicit), 유세하다, [판매 촉진하러] 돌아다니다; [여론 등을] 조사하다; 점검하다; 철저히 검토하다; 여론 조사; 호별 방문 : to solicit votes, subscriptions, opinions; to examine carefully : [원래는 'toss in a canvas sheet'(오락 또는 벌)에서 적어 내도록 '간청하거나 조사하다'의 뜻으로 발전, 'canvas'(범포, 캔버스 천)는 밀가루를 체질하는 데서 '체질하다, 조사하다'의 뜻이 생긴 것으로 여겨진다.]

solicit [səlísit] : [원조·지지·호의를] 탄원하여 얻으려고 하다; 부탁하다, 애원하다; [못된 짓을 하도록] 꾀다; [창녀 등이] 손님을 끌어들다; 방문 판매하다  : (L sollus : entire + citus : 'ciere(set in motion)'의 과거 분사) [ㅎ 몸 전체(sol-)를 흔들면서(ciere) 해야 효과가?]

​[해설]

['far from'과 관련된 'patch' 현상]

​[far from ~]

not at all : 전혀 아니다, 거리가 멀다  [단순히 'not'을 사용하는 것보다 'far from'을 사용하는 것이 강한 표현이다.]

[patch?]

일반적인 문법 원칙에 어긋나 보이지만 땜질을 할 수밖에 없을 때 사용되는 표현을 'patch'라고 한다.

patch : (해진 데 등에 대는) 헝겊[가죽] 조각; 상처에 대는 헝겊; 반창고; (문장의) 한 절; [컴퓨터] 패치 : 프로그램의 오류를 임시 수정하는 일

She is far from (being) a fool. "그녀는 결코 바보가 아니다."

여기서는 전치사 'from' 다음에 명사나 동명사가 따라와서 'far from'은 'patch'라고 하지 않는다. 'far from'은 'not' 대신 사용되어 뜻을 강화시킨다.

It is still far from clear exactly what the Thais intend to do. 

"태국인들이 정확하게 뭘 의도하는지는 여전히 전혀 분명하지 않다."

전치사 'from' 다음에 형용사인 'clear'가 따르는 것은 일반적인 문법 현상으로는 틀린 것이지만 'not'을 강조하는 표현으로 'far from'이 사용될 때 형용사가 따라도 이는 'patch'로 허용이 되는 것이다.

We are far from finished. "우린 전혀 끝난 것이 아니다."

We were far from disappointed when they told us they couldn't come to visit. 

"그들이 우리에게 방문하러 올 수 없다고 말했을 때 우리는 전혀 실망하지 않았다."

But far from everyone is convinced that the Revolutionary Reading Plan is the right idea.

"하지만 그 혁명적인 독서 플랜이 옳은 아이디어라고 모두가 확신하고 있는 것과는 거리가 멀다."

정동사 'is'의 주격의 주어가 있어야 하는데 'from' 뒤에서 'everyone'은 목적격이 되니까 일반적인 문법으로는 잘못된 것이다. 하지만 'far from'이 'not'을 대신한 것으로 보면 얘기가 달라진다. 'not everyone is ~'로 보면 부분 부정으로 '전부 다가 ~는 아니다'로 이상하지 않아진다. 겉으로는 이상하지만 그럴만한 이유가 있어서 사용된 것으로 패치에 해당된다.

But the study is controversial and far from everyone is convinced it revealed the murderer's identity. "하지만 그 조사는 논란이 많았고 모든 사람이 그 조사가 살인범의 정체를 드러냈다고 확신하는 것과는 거리가 멀었다."

[본문]

the names on the Nobel Committee's list are treated as suggestions and are (A)[far] from final

"노벨 위원회의 리스트의 이름들은 제안으로 간주되며 전혀 최종적인 것은 아니다."

 

'표현' 카테고리의 다른 글

Over my dead body! [ㅎ 내 눈에 흙이 ~]  (0) 2021.05.26
The cat has nine lives.  (0) 2021.05.24
give 주다, 베풀다, 헌신하다  (0) 2021.05.20
after (before) the fact 사후에  (0) 2021.05.17
on a tear 난리 법석인, 취중 망동  (0) 2021.05.16
Posted by 연우리
문법2021. 2. 21. 14:13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IlRiyat8z28

#1.  Thus, although there is wide agreement that environment-induced decoherence is a crucial part of the structure spanning the quantum-to-classical divide, and while many are hopeful that these considerations will one day coalesce into a complete and cogent connection between the two, far (A)[   ] everyone is convinced that the bridge has yet been fully built.

 

#2.  "Interesting," Sienna said in a tone that suggested she had not heard a word."And yet I'm still not clear on why the death mask is kept here inside the palazzo?"

   Marta found the young woman's insistence both unusual and bordering (B)[   ] impolite. "Well," she continued, walking again, "when Dante died, he was still forbidden to enter Florence, and his body was buried in Ravenna. But because his true love, Beatrice, was buried in Florence, and because Dante so loved Florence, bringing his death mask here seemed like a kindhearted tribute to the man."

 

 

#1.  빈칸 (A)에 들어갈 단어는?

#2.  빈칸 (B)에 들어갈 단어를 본문에서 찾아 넣으시오.

 

[#1. 해석]  따라서 환경에 따라 유발되는 결어긋남이 양자 역학과 고전적인 분리 이론을 연결하는 구조물의 중요한 부분이라는 데 폭넓은 의견 일치가 있기는 하지만 그리고 많은 사람들이 이런 고려들이 언젠가 이 둘 간의 하나의 완전하고 일관된 연결로 통합되기를 희망하지만 모든 사람이 이 연결하는 다리가 아직은 완전히 건축되었다고 확신하는 것과는 거리가 멀다.

[#2. 해석]  "재미있군요." 시에나는 한 마디도 들어본 적이 없었다는 투로 말했다. "그렇지만 전 여전히 모르겠네요. 데스 마스크가 여기 궁전 안에 보관되는 이유가 뭐죠?"

   마사는 이 젊은 여자의 주장은 한편으로 유별나고 한편으로 무례에 가깝다고 생각했다. "뭐,"라고 다시 걸으면서 말했다. "단테가 죽었을 때 플로렌스로 오는 것이 여전히 금지되었고 그의 시신은 라벤나에 묻혔다. 하지만 그의 진짜로 사랑하는 베라트리체는 플로렌스에 묻혀 있었고 단테는 플로렌스를 아주 사랑했기에 그의 데스 마스크를 여기 플로렌스로 가져왔던 것은 이 사람에게는 정말 인정 많은 존경의 표시였었던 같았지요."

[정답]  1. (A) : from      2. (B) : on

 

[배경 지식]

decoherence[결어긋남] : 양자계가 결맞음을 잃어버리는 현상으로 결맞음이 완전히 없어진 양자계는 양자 정보 처리에 사용할 수 없다.

[어휘 또는 표현]

coalesce [kòuəlés] : ~과 합체하다 [with]; 합체하여 [~이] 되다; [상처 등이] 아물다; [당·그룹 등이] 합병하여 [~이] 되다[into]; 연합하다; [여러 개념 등이] 융합하다 : (L cum : with + L alere : nourish → co- + alescere : grow up → L coalescere : grow together) ['co'(합쳐) 'ale-'(영양)을 먹고 자라는 데서]

Cities, if unrestricted, tend to coalesce into bigger and bigger conurbations. 

"도시들은 규제하지 않으면 붙어 커져서 더욱 큰 광역 도시권들이 된다."

alimen[ǽləmənt] : 영양물, 자양물; 음식물; 필수품; ~을 부양하다; 영양물을 주다 : (L alere : nourish → L alimentum)  ['ali-'를 'ale(re)'로 기억하자.]

death mask : 데스 마스크 : 석고로 본을 떠서 만든 죽은 사람의 얼굴

palazzo [pəlάːtsou] : (이탈리아어) 궁전; 웅장한 관공서 건물; 개인의 저택

kindhearted : 친절한, 인정 많은, 마음씨 고운

tribute [tríbjuːt] : 감사[칭찬, 존경]의 표시; 공물  : (L tribuere ; allot, assign)

[해설]

['far from'과 관련된 'patch' 현상]

​[far from ~]

not at all : 전혀 아니다, 거리가 멀다  [단순히 'not'을 사용하는 것보다 'far from'을 사용하는 것이 강한 표현이다.]

[patch?]

일반적인 문법 원칙에 어긋나 보이지만 땜질을 할 수밖에 없을 때 사용되는 표현을 'patch'라고 한다.

patch : (해진 데 등에 대는) 헝겊[가죽] 조각; 상처에 대는 헝겊; 반창고; (문장의) 한 절; [컴퓨터] 패치 : 프로그램의 오류를 임시 수정하는 일

She is far from (being) a fool. "그녀는 결코 바보가 아니다."

여기서는 전치사 'from' 다음에 명사나 동명사가 따라와서 'far from'은 'patch'라고 하지 않는다. 'far from'은 'not' 대신 사용되어 뜻을 강화시킨다.

It is still far from clear exactly what the Thais intend to do. 

"태국인들이 정확하게 뭘 의도하는지는 여전히 전혀 분명하지 않다."

전치사 'from' 다음에 형용사인 'clear'가 따르는 것은 일반적인 문법 현상으로는 틀린 것이지만 'not'을 강조하는 표현으로 'far from'이 사용될 때 형용사가 따라도 이는 'patch'로 허용이 되는 것이다.

We are far from finished. "우린 전혀 끝난 것이 아니다."

We were far from disappointed when they told us they couldn't come to visit. 

"그들이 우리에게 방문하러 올 수 없다고 말했을 때 우리는 전혀 실망하지 않았다."

But far from everyone is convinced that the Revolutionary Reading Plan is the right idea.

"하지만 그 혁명적인 독서 플랜이 옳은 아이디어라고 모두가 확신하고 있는 것과는 거리가 멀다."

정동사 'is'의 주격의 주어가 있어야 하는데 'from' 뒤에서 'everyone'은 목적격이 되니까 일반적인 문법으로는 잘못된 것이다. 하지만 'far from'이 'not'을 대신한 것으로 보면 얘기가 달라진다. 'not everyone is ~'로 보면 부분 부정으로 '전부 다가 ~는 아니다'로 이상하지 않아진다. 겉으로는 이상하지만 그럴만한 이유가 있어서 사용된 것으로 패치에 해당된다.

But the study is controversial and far from everyone is convinced it revealed the murderer's identity. "하지만 그 조사는 논란이 많았고 모든 사람이 그 조사가 살인범의 정체를 드러냈다고 확신하는 것과는 거리가 멀었다."

[본문]

far (A)[from] everyone is convinced that the bridge has yet been fully built.

앞에서 설명한 'patch'에 해당된다.

 

['bordering on'과 'patch']

​가까운, 유사한 : to be very similar to something without being identical; to nearly be something

That comment borders on insubordination, and you should be more careful in the future. 

"그 말은 반항에 가까운 말이야. 앞으로는 자네 더 조심하게."

This notion of yours borders upon mutiny!  "너의 이런 생각은 반란에 가깝다."

Be careful, some sections of this paper are bordering on plagiarism.  

"조심해라. 이 페이퍼의 일부는 저작권 침해에 가깝다."

'border'가  'board'와 연관된 단어로 국경이므로 기본적인 뜻으로 사용되고 있다.

He has never exhibited the self-confidence, bordering on arrogance, of his predecessor.

"그는 자신의 전임자의 자신감, 교만에 가까운 자신감을 결코 드러낸 바가 없다."

'which borders on arrogance'를 후치 수식 분사로 전환한 것이다.

Any conversations I had with Martha were short, bordering on abrupt

"내가 마사와 한 어떤 대화든 짧았고 거의 갑작스러웠다."

'bordering on'에서 본시 'on'은 전치사이므로 뒤에 형용사가 따르면 이상하다. 하지만 'nearly'의 뜻으로 부사처럼 사용되는 일종의 'patch'로 간주한다.

It's probably bordering on impolite but my kids do love asking their grandparents about life "in the olden days."

"거의 무례한 것에 가깝지만 제 애들은 조부모들에게 '옛 시절의' 삶에 대해서 묻기를 좋아한 건 사실이다."

'bordering on' 뒤에 역시 형용사가 따르지만 'patch'로 이해하면 된다.

[본문]

Marta found the young woman's insistence both unusual and bordering (B)[on] impolite

"마사는 이 젊은 여자의 주장은 한편으로 특하며 한편으로 무례에 가깝다고 생각했다."

형용사 앞에 'bordering on'이 사용되지만 역시 'patch'로 이해한다.

 

Posted by 연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