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 ~ as to ~'에 해당되는 글 2건

  1. 2021.06.08 'so ~ as to'와 'such as to'
  2. 2020.12.28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069회]
문법2021. 6. 8. 20:13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aWd5oL5fc-U

#1.   I should say, incidentally, that I am not (A)[   ] foolish as to be unprepared for disappointment. I am only too aware that I never received a reply from Miss Kenton confirming she would be happy about a meeting. However, knowing Miss Kenton as I do, I am inclined to think that a lack of any letter can be taken as agreement; (B)[     ] a meeting for any reason inconvenient, I feel sure she would not have hesitated to inform me. Moreover, I had stated in my letter the fact that I had made a reservation at this hotel and that any last minute message could be left for me here; that no such message was awaiting me can, I believe, be taken as further reason to suppose all is well.

 

#2.   I now find myself much indebted to the batman, for quite aside from assisting with the Ford, he has allowed me to discover a most charming spot which it is most improbable I would ever have found otherwise. ~ ~ ~ ~ My footwear is not (C)[    ] as to permit me easily to walk around the perimeter - I can see even from where I now sit  the path disappearing into areas of deep mud -  but I will say that (D)[    ] is the charm of this spot that on first arriving, I was sorely tempted to do just that. Only the thought of the possible catastrophes that might befall such an expedition, and of sustaining damage to my travelling suit, persuaded me to content myself with sitting here on this bench. ~ ~

 

#1. 빈칸 (A)에 들어갈 단어는?

#2. 빈칸 (B)에 들어갈 단어는?

#3. 빈칸 (C)와 (D)에 공통으로 들어갈 단어는?

 

[#1. 해석] 말이 난 김에 말인데 저는 실망스러운 일에 준비되어 있지 않을 정도로 어리석지는 않습니다. 전 켄턴 양이 만남에 대해서 좋다고 확인하는 답신을 결코 받은 적이 없었다는 것을 안타깝지만 너무도 잘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저는 정말이지 켄턴 양을 잘 알고 있어서 답신이 없었다는 것을 동의한 것으로 여길 수 있다고 생각하게 됩니다. 어떤 이유로도 만남이 만약 불편하다면 그녀는 네게 주저치 않고 알렸을 거라고 저는 확신합니다. 더욱이 저는 편지에서 이 호텔에 예약을 했으며 마지막 순간에도 제게 보내는 메시지를 여기에 둘 수 있다고 적었습니다. 그런 메시지가 절 기다리고 있지 않았다는 것은 제가 믿기로 모든 것이 다 잘되고 있다고 생각할만한 추가적인 이유가 됩니다.

[#2. 해석]   이제 저는 그 당번병 출신에게 많은 도움을 받은 것을 압니다. 왜나하면 포드 차를 손봐준 것은 차치하고도 그로 인해서 전 그렇지 않았더라면 결코 발견하지 못했을 가능성이 큰 아주 아름다운 곳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 ~ ~ 제 신발은 쉽사리 주변으로 걸어가게 허락했을 그런 상태가 아닙니다. 심지어 제가 앉아있는 자리에서도 길이 깊은 진흙 덩어리 지역으로 뻗어져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처음 도착했을 때 이 장소의 매력은 하도 대단해서 저는 그저 그렇게 하고픈 마음이 들었다는 점을 말하고 싶습니다. 그런 모험에 생길 수도 있는 재난과 제 여행복의 지속된 손상에 대한 생각만으로도 저는 여기 이 벤치에 앉아있는 것에도 만족하게 되었습니다.

[정답]    1. (A) : as       2. (B) : were        3. (C)와 (D) : such

 

[어휘 또는 표현]

knowing Miss Kenton as I do : 켄턴 양을 정말로 잘 알고 있어서

'as I do'는 분사 구문의 강조형입니다.

[해설]

2. (B)[were] a meeting for any reason inconvenient, I feel sure she would not have hesitated to inform me.

'I feel sure'는 맨 앞에 있다고 생각해도 됩니다. 귀결절(she would not have hesitated to inform me)이 가정법이므로 가정법의 조건절이 필요합니다.

= I feel sure {(if a meeting were for any reason inconvenient), (she would not have hesitated to inform me)}

'were'를 도치시키면 'if'는 탈락됩니다.

가정법 과거의 조건절과 가정법 과거 완료의 귀결절이 사용된 혼합 가정법인데 논리상 문제가 없습니다.

현재(일반적인 현재) 'a meeting is not for any reason inconvenient'가 사실이므로 사실이 아닌 것에 조건을 가정법으로 사용한 것이고 지금 이전에 'she hesitated to inform me'도 거짓일 것이므로 'she would not have hesitated to inform me'를 귀결절로 사용한 것뿐입니다.

1. I am not (A)[so] foolish as to be unprepared for disappointment

뒤에 'as to'가 따르면서 바로 뒤에 형용사 'foolish'가 있으므로 'so'를 사용해야 합니다.

3. My footwear is not (C)[such] as to permit me easily

뒤에 'as to'가 따르면서 단독으로 'is'의 보어가 되려면 'such'를 사용해야 합니다.

4. (D)[such] is the charm of this spot that on first arriving, I was sorely tempted to do just that

도치되었지만 'the charm'의 보어가 되면서 'that' 이하와 이어지면서 단독으로 사용되려면 'such'를 사용해야 하고 하도 '대단한'(또는 '지독한')으로 해석합니다.

 

Posted by 연우리
편입 문법 3000 Plus2020. 12. 28. 20:33
728x90

[동영상 강의 유튜브 연우리 영어]  https://youtu.be/S7hVUX9XWwA

[ET10-3-3]0438. [홍익대학교 2004-1]

The languages (A)[spoken by] the Alaskan Eskimos (B)[and] the Inuit of Northern Canada are (C)[such] similar as to be mutually (D)[intelligible].

[ET10-3-3]0438. ['so ~ as to ~'와 'too ~ to ~']

정답 - C : [such] → [so] : 형용사는 'so'로 수식한다.  so ~ as to V : 아주 ~해서 ~하다

[해석] 알래스카의 에스키모들과 캐나다 남부의 이뉴잇 족이 쓰는 언어는 아주 유사해서 상호 이해가 가능하다.

 

[핵심 문법] 'so ~ as to ~'와 'too ~ to ~'의 결과적 용법

He worked so hard as to pass the exam. “그는 열심히 공부해서 시험에 붙었다.”

→ He worked so hard that he passed the exam.

'so ~ as to ~'는 ‘아주 ~해서 ~하다’의 결과적 용법으로 쓰인다.

We arrived so early as to get good seats.

→ We arrived so early that we got good seats. ('could get'을 쓰면 목적 용법이 된다.)

It was too windy to go out. "바람이 너무 불어서 나갈 수가 없었다."

→ It was so windy that one could not go out.

'too ~ to ~'는 ‘너무 ~해서 ~할 수 없다’의 뜻으로 'so ~ that ~'으로 전환할 때는 'not'을 사용한다.

This stone is too heavy for me to lift.  "이 돌은 너무 무거워서 들 수 없다."

→ This stone is so heavy that I cannot lift it.

두 개의 절이므로 'so ~ that ~'에서는 목적어를 다시 사용해야 한다.

He is not so foolish as to believe it. “그는 그것을 믿을 만큼 어리석지는 않다.”

'so ~ as to ~'는 ‘~할 만큼 ~하다’로 ‘정도’를 표시할 경우도 있다.

 

 

[PT10-1]0439. ⋆ [중앙대학교 2010]

If you ask native speakers of English how the language is changing today, (A)[after hesitation] they will probably mention new vocabulary, or possibly (B)[some changes in pronunciation], but it is unlikely that grammar (C)[will be appeared] on the agenda. (D)[No error]

[PT10-1]0439. [수동 불가능한 동사]

정답 - C : [will be appeared] → [will appear] : 'appear'는 수동태가 불가능한 자동사.

A : 'hesitation'은 양쪽형 명사.

After a brief hesitation, he answered "Yes."  "잠깐 주저한 후에 그는 '네'라고 대답했다."

His father inquired and after hesitation he finally told him the incident.

"그의 아버지는 물었고 망설인 후에 결국 아버지에게 사건을 얘기했다."

B : [, or possibly some changes in pronunciation,]은 삽입적으로 병치되고 있다.

pronunciation : 양쪽형 명사지만 'in' 다음에는 대상을 한정할 필요가 없으므로 불가산 명사로 쓴다.

grammar

1) 집합적 불가산 명사 : 문법 : the set of rules that describe the structure of a language and control the way that sentences are formed

2) 가산 명사 : 문법(책) : a book explaining the rules of a language

vocabulary : 양쪽형 명사로 'a large vocabulary'와 'too much vocabulary'가 모두 사용 가능하다.

[해석] 영어의 모국어 화자들에게 영어가 오늘날 어떻게 변화고 있느냐고 물으면 이들은 망설이다가 아마도 새 어휘나 어쩌면 발음의 변화를 언급하겠지만 문법이 그 대상으로 등장하지는 않을 것이다.

 

 

[PT10-2]0440. [한국외국어대학교 2006-1]

This system (A)[was to] prove one of the most important (B)[instruments] in (C)[creating] a (D)[unified] Chinese cultural tradition; even today, many of the ancient characters (E)[are remained] in use.

[PT10-2]0440. [수동 불가능한 동사]

정답 - E : [are remained] → [remain] : 'remain'은 2형식 동사로 수동태로 쓰일 수 없다.

[해석] 이 시스템은 통일된 중국 문화의 전통을 창조하는데 가장 중요한 도구들 중의 하나로 밝혀지게 되는데 심지어 오늘날에도 이 고대 글자들 중 많은 것들이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PT10-3]0441. [건국대학교 2008-1]

If (A)[there's] one thing (B)[on which] (C)[all the] experts on human achievement agree, (D)[it's] the importance of setting goals. Success (E)[isn't happened] by accident.

[PT10-3]0441. [수동 불가능한 동사]

정답 - E : [isn't happened] → [doesn't happen] : 'happen'은 자동사로 수동태가 쓰일 수 없다. 'by accident'는 ‘우연히’라는 전치사구이고 ‘행위 주체 표시의 by’와는 무관하다.

[해석] 인간의 성취에 관한 모든 전문가들이 동의하는 한 가지가 있다면 그것은 목표 설정의 중요성이다. 성공은 우연히 일어나지 않는다.

 

Posted by 연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