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법2020. 12. 12. 01:13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_5bzGIx586A

#   ~ ~ Every time a mention came up, Kistle was glued to the TV set. He kept telling Murdock that everyone in the country knew about the man who killed Bonnie Duncan, recognized his power, and they'd made him a superstar. Then one night when he was stoned, he told Murdock he'd been the one who'd killed her."

   Eve moistened her lips. "How? Where?"

   Montalvo shook his head. "Do you think I wouldn't (A)[         ] you? Murdock said he didn't tell him any more, and after he came down from the drugs he never mentioned it again. He might not even remember he told him."

   "Murdock probably wouldn't be alive if he (B)[       ]," Joe said. 

 

#  빈칸 (A)와 (B)에 들어갈 것이 적합하게 짝 지어진 것은?

        (A)                      (B)

A.   tell              -         were

B.   tell              -         did

C.   have told       -         had

D.   have told       -         did

E.   have told       -         were

 

[해석]  ~ ~ 언급이 될 때마다 키슬은 TV에 붙어 있었다. 그는 머독에게 계속해서 말했다. 이 나라의 모든 사람이 보니 덩컨을 죽인 사람에 대해 알고 있으며 자신의 힘을 인하고 있다고 그들이 자신을 슈퍼스타로 만들었다고 말했다. 그리고 어느 날 밤 마약에 취해서 자신이 보니를 죽인 사람이라고 머독에게 말했어."

    이브는 입술을 적시며 물었다. "어떻게요? 어디서요?"

    몬탈보는 머리를 가로저었다. "당신은 내가 알았다면 말하지 않았을 거라고 생각하는 거요? 머독이 그러대요. 키슬은 더 이상은 자신에게 말하지 않았데요. 약에서 깨어난 후에는 다시는 언급하지도 않았데요. 그는 어쩌면 말한 것도 기억하지 못하고 있을 거예요."

    "머독은 키슬이 기억하고 있었다면 아마도 지금 살아있지도 못 할 거예요."라고 조는 말했다.

[정답]  C. have told   -   had

 

[어휘 또는 표현]

stoned [stound] : [과일이] 핵이 있는; 핵을 제거한; (비격식) (서술적) (술·마약에) 아주 취한

come down from ~ : (마약·술)에서 깨어나다 : to become sober again after using drugs or alcohol

He's starting to come down from whatever he took. "그가 먹은 무언지는 몰라도 깨어나기 시작하고 있다."

How long does it take to come down from ecstasy? "엑스터시는 깨어나려면 얼마나 시간이 걸립니까?"

[해설]

[본문]

Do you think I wouldn't (A)[have told] you? Murdock said he didn't tell him any more, and after he came down from the drugs he never mentioned it again. "당신은 내가 알았다면 말하지 않았을 거라고 생각하는 거요? 머독이 그러대요. 키슬은 더 이상은 자신에게 말하지 않았데요. 약에서 깨어난 후에는 다시는 언급하지도 않았데요."

'더는 말하지 않았다'라고 했으므로 자신도 몰랐다는 뜻이므로 숨어 있는 조건절은 'if I had known how and where' 정도이고 '알았더라면 당신에게 말하지 않았을 거라고 생각해요.'가 귀결절에 해당된다. 가정법 과거 완료의 조건절이 숨어 있는 가정법 과거 완료의 귀결절에 해당된다.

Murdock probably wouldn't be alive if he (B)[had]

"머독은 키슬이 기억하고 있었다면 아마도 지금 살아있지도 못 할 거예요"

가정법 과거 완료의 조건절에 가정법 과거의 현재 언급의 귀결절이 사용된 혼합 가정법에 해당된다. 'had'만 사용하면 '과거 분사 이하'는 생략되었음이 표시된다. 'if he(Kistle) had remembered he(Kistle) told him(Murdock)'를 간단하게 반복을 피하여 'if he had'만 사용하고 있다.

D : 'did'를 사용하면 'did remember ~'로 '지금 (기억하지 못하고 있지만) 기억하고 있다면'의 뜻인 가정법 과거로 문맥에 적합지 않다.

E : 'were'를 사용하면 'were remembering ~'으로 진행형을 사용한 것도 이상하고 가정법 과거가 쓰인 것도 문맥에 맞지 않다.

 

'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were to 가정법 (제안의, 실현 불가능하지 않은)  (0) 2020.12.17
종속절 접속사 that  (0) 2020.12.15
take a chance [or chances] with / on ~  (0) 2020.12.13
have 협력적 사역 동사  (0) 2020.12.10
단계 또는 국면의 as (1)  (0) 2020.12.08
Posted by 연우리
문법2020. 12. 10. 21:18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M6pBuooqQyo

#1.  "Maybe," Mitchell said. "But I have to investigate all possibilities. Whether you like it or not."

  "I got nothing to hide," Whiteside said.

  "I'm sure. I'll (A)[     ] Special Agent Abrahms send that video to the behavioral analyst at the Phoenix field office. We'll know soon whether or not she's lying. And I'll (B)[     ] my team search the back of Collins' cruiser. If there's no truth to Audra Kinney's allegations - well then, you have nothing to worry about. Do you?"

  "No," Whiteside said. "I don't."

 

#2.  He knows me, Eve had said.

   Yes, he did, and that would be (C)[the most dangerous] weapon Montalvo had in his possession.

   "Would you like coffee, Eve? Or how about orange juice? It's pretty--" Jane's cell phone rang and she took it out of her pocket and checked the ID. "It's my agent, Eve. I can have (D)[him to call] back."

   "No, go take the call. I'm not letting you put your life (E)[on hold] for me." She went to the sideboard and poured herself a cup of coffee. "Shoo."

   Jane hesitated. She was probably (F)[being] idiotically protective. Eve wouldn't (G)[accept hovering from] anyone. She punched the button on her phone as she headed for her bedroom. "If you need me, give a shout."

 

#1. 빈칸 (A)와 (B)에 공통으로 들어갈 단어는?

#2. (C), (D), (E), (F), (G) 중에서 문법적으로 잘못된 것은?

 

[#1. 해석]  "어쩌면요. 하지만 전 모든 가능성들을 조사해야만 해요. 당신이 좋든 싫든."이라고 미첼은 말했다.

   "난 감추는 거 없어요."라고 화이트사이드는 말했다.

   "그러시겠죠. 아브람즈 요원에게 그 비디오 피닉스 현장 사무실의 행동 분석가에게 보내게 할게요. 우린 오드라가 거짓말하고 있는지 아닌지 곧 알게 되겠죠. 그리고 제 팀이 콜린즈의 순찰차 뒤를 수색하게 할 거에요. 만일 오드라의 주장들에 사실이 없으면, 그러면 걱정할 거 없지요. 그렇지요?"

   "예, 그러면 걱정할 거 없지요."라고 화이트사이드는 말했다.

[#2. 해석] '그는 나를 안다.'라고 이브는 말했던 적이 있었다.

   맞다, 그는 알았고 그게 몬탈보가 보유한 가장 위험한 무기일 거다.

   "이브, 커피 한 잔 할래요? 아니면 오렌지 주스라도? 그거 꽤--" 제인의 핸드폰이 울렸고 제인은 주머니에서 핸드폰을 꺼내서 누군지 확인했다. "이브[엄마] 제 에이전트에요. 다시 걸라고 할까요?"

   "아니 전화받아. 나 때문에 네 삶을 유보시키는 거 싫어." 제인은 식기대로 가서 스스로 커피 한 잔을 따라부었다. "숴이"

   "제인은 망설였다. 그녀는 아마도 멍청하리만큼 엄마를 보호하려 하고 있었다. 이브는 따라다니는 건 누구라도 허용하지 않으실 거다. 제인은 핸드폰을 누르고 자기 침실로 향했다. "저하고 얘기하시려면 크게 말하세요."

[정답]   1. (A)와 (B) : have   2. (D)[him to call → him call]

 

[어휘 또는 표현]

[put ~ on hold] 

1) 목적어 사람 : (끊지 않고) 기다리게 하다

The bank always puts you on hold when you try to get through to them.

"당신은 통화를 바라지만 은행은 항상 전화를 (끊지 않고) 기다리라고 한다."

2) 목적어 something : 보류하다, 연기하다 : to pause, postpone, or suspend an activity

Do you mind if we put date night on hold for a few weeks until we get done with this project at work.

"우리가 회사에서 이 프로젝트를 끝낼 때까지 우리 데이트하는 밤을 몇 주 연기해도 괜찮겠어요?"

shoo [ʃuː] : 숴(이) 개· 을 쫓는 소리; 숴(이) 하고 소리를 쳐서 쫓다

[해설]

비디오 보내고 수색하게 하는 것에는 당연 협력하는 관계이므로 '협력적 사역'의 'have'를 사용한다. 즉시 협력하는 것이므로 전후 관계가 없는 원형 부정사가 뒤에 따른다.

I can have (D)[him call] back.

대리인에게 부탁하면 당연 협력하는 관계로 전후 관계가 없으므로 원형 부정사를 사용해야 한다.

 

[협력적 사역 'have'과 강제적 사역 'make'과 기타]

had my wife kiss me. "난 아내에게 내게 키스하게 했다."

아내는 협력하는 게 보통이죠. 협력하는 것도 거의 동시적이기 때문에 'have'를 '협력적 사역'이라 하고 전후 관계가 없는 원형 부정사를 사용한다.

My father made me kiss her. "아버지가 무서워 그녀에게 키스했다."

He made me do it. "형아가 하라고 했어요." [ㅎ 안 그러면 맞아 죽음]

'make'는 '강제적 사역'으로 하라면 즉시 하기 때문에 전후 관계가 없으므로 원형 부정사를 사용한다.

My father forced me to kiss her. "아버지의 우격다짐에 난 그녀에게 키스했다."

우격다짐, 손을 쓰든가 해서 그 후에 키스하게 되는 것이므로 전후 관계가 있으므로 'to 부정사'를 사용했다.

I know what it's like to have children grow up and suddenly vanish.

"아이들이 자라서 갑자기 사라지게 되는 것을 경험하는 것이 어떤 건지 나도 알아요."

'경험의 have'는 동시적이므로 원형 부정사를 사용한다.

wanted him to marry her.

원하는 것과 결혼은 동시적인 관계가 아니므로 'to 부정사'를 사용한다.

I *persuaded him to kiss her, but he didn't. "난 그를 설득해서 그녀에게 키스하게 했다. 하지만 그는 안 했다."

'persuade'는 결과를 발생시키는 동사로 '했다' 그래놓고 하지만 '안 했다.'라는 이상한 문장이 된다.

tried to persuade him to kiss her, but he didn't

"설득해서 키스하게 하려고 애는 썼지만 그는 키스하지 않았다."

'try'를 붙여서 사용하면 시도만을 언급하기에 훌륭한 문장이 된다.

 

Posted by 연우리
문법2020. 12. 8. 17:27
728x90

[동영상 강의 유튜브 연우리 영어] →​ https://youtu.be/vhthu3x3qFI

#1.  Political power (A)[   ] we witness it today -- the elections, the obsession with presidential activities, and so on -- is a charade, and the growing intensity of coverage is a sign that traditional executive power no longer exists. Power is, rather, in the whole system, a fact that the media frenzy around politics seeks to obscure. ~ ~

 

#2.  The existence of time thus relies on the absence of a particular symmetry: things in the universe must change from moment to moment for us even to define a notion of moment to moment that bears any resemblance to our intuitive conception. If there were perfect symmetry between how things are now and how they were then, if the change from moment to moment were of no more consequence than the change from rotating a cue ball, time (B)[    ] we normally conceive it wouldn't exist.                                           

                                                       [브라이언 그린의「우주의 구조」226쪽에서]

 

#1. 빈칸 (A)에 들어갈 단어는?

#2. 빈칸 (B)에 들어갈 단어는?


[#1. 해석] 오늘날 우리가 목격하는 바의 정치권력은 -- 선거, 대통령의 활동에 대한 관심과 기타 등등 -- 일종의 제스처 게임이고 보도의 강도가 커지는 것은 전통적인 행정 권력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는 징후이다. 오히려 권력은 전체 시스템에 있는데 이는 정치에 대해 열광적인 미디어가 감추고자 하는 사실이다.

[#2. 해석] 따라서 시간의 존재는 특정한 대칭의 부존재에 의존한다. 우리가 심지어 우리의 직관적인 개념과 조금이라도 유사한 순간순간의 개념을 정의하기 위해서도 우주의 사물들은 순간순간 변화해야 한다. 만약 지금 존재하는 모습과 과거에 존재했던 모습 간에 완벽한 대칭이 존재한다면, 만일 순간에서 순간으로의 변화가 큐볼을 회전시키는 것으로 인한 변화와 마찬가지로 중요하지 않다면, 우리가 보통 생각하는 바의 시간은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정답] 1. (A) : as          2. (B) : as

[어휘 또는 표현]

symmetry [símətri] : (면·선·중심·축에 관하여) 대칭; (전체에 대한 부분의) 균형, 평형, 조화

(sym + metry) [함께 측정되는 데서] -metry : '측정(법)'의 뜻

asymmetry [eisímətri, æs-] : 불균형, 비대칭(성)(↔ symmetry) : (a : not + sym + metry) [함께 측정되지 않는 데서]

[해설]

(A) : 관계절 같아 보이지만 주어(we), 동사(witness), 목적어(it)가 다 있으므로 관계절은 아니다. 이럴 때 관계사와 비슷하게 쓰이는 'as'가 있는데 이를 '단계와 국면의 as'라 하고 흔히 '~ 하는 바의'로 해석한다.

(B) : 'we normally conceive it'은 관계절 같아 보이지만 주어, 타동사, 목적어가 다 있으므로 관계절일 수 없다. 이럴 때 관계사와 비슷하게 쓰이는 'as'가 있는데 이를 '단계와 국면의 as'라 하고 흔히 '~ 하는 바의'로 해석한다. 밑에서 이 '단계와 국면의 as'에 대해서 자세히 다루기로 한다.

 

['단계 또는 국면의 as']

This is freedom as we generally understand it.

“이것이 우리가 일반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에서의 자유이다.”

He soon fell asleep and dreamed of his home when he was a boy.

“그는 곧 잠에 떨어졌고 소년 시절의 집에 대한 꿈을 꾸었다.”

‘when 절’이 형용사 절로 앞의 명사를 수식할 수 있듯이 ‘as 절’도 형용사 절로 앞의 명사를 수식할 수 있는데 'as'의 경우에는 절 내부에 수식하는 명사를 대명사로 받았을 때에 한해서 쓰인다. 이때 'as'는 ‘~할 때의; ~하는 단계에서는; ~하는 한에서’의 뜻으로 쓰이는데 이를 ‘단계 또는 국면의 as’라고 칭한다. 그리고 능동문일 때는 분사와 관련해서 혼동의 여지가 없다.

Life as we know it is based on the element carbon. "우리가 아는 바의 생명체는 탄소 원소에 바탕을 둔다."

The Soviet Union as we have known it no longer exists. "우리가 알아 왔던 바의 소련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

The slide rest, as it came to be called, has many uses. (slide rest : 활판) 

"그렇게 불리게 되었던 바의 활판은 많은 용도가 있다."

= What came to be called the slide rest has many uses. "소위 활판이라 불리게 되었던 것은 용도가 많다."

'as'가 'call'과 함께 쓰였을 때는 'what S call ~'와 거의 같은 뜻으로 해석한다.

This is Seoul as seen from the air. “이것이 공중에서 본 서울이다.”

→ This is Seoul as it is seen from the air.

수동문으로 나올 때는 'as' 다음에 나오는 ‘대명사 + be’가 흔히 생략되기 때문에 과거 분사의 후치 수식 앞에 'as'가 나와 있는 것처럼 보여서 비문처럼 보이기 쉬우므로 조심해야 한다.

The English language as (it is) spoken in America is quite different from its archaic counterpart.

“미국에서 쓰이고 있는 영어는 옛날 영어와는 아주 다르다.”

His second statement agrees with facts as stated by the other witnesses.

"그의 두 번째 진술은 다른 증인들이 기술한 바의 사실들과 일치한다."

The President announced that he himself would act upon the evidence as presented to him by the congressional committee. "대통령은 그 자신은 그 하원 위원회가 그에게 제시한 바의 증거에 따라 행동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Which of the following is an example of an animal using an inner compass as described in the passage?

"다음 중에서 어느 것이 글에서 묘사된 바의 동물이 내부의 컴퍼스를 사용하는 예입니까?"

No material in modern dance was neutral. The core of the art became an obsession with meaning and allegory as expressed in bodies. "현대 무용의 소재는 중립적이지 않다. 무용 예술의 핵심은 몸으로 표현되는 바의 의미와 알레고리에 집착하는 것이 되었다."

They saw, through such dance sequences as "Three Gobi Maidens," and "A Study in Lacquer," desires and conflicts expressed through bodily movements. "'3 명의 고비 처녀'와 '래커 칠을 한 서재'와 같은 그런 무용 시퀀스를 통해서 그들은 욕망과 갈등이 몸의 움직임을 통해서 표현되는 것을 보았다."

한 번은 ‘단계 또는 국면’의 ‘as + 과거 분사’로 한 번은 'saw 목적어 + 과거 분사'로 사용되고 있다.

Time is not a merciful master, as we all know. “시간은 자비로운 주인이 아니다, 주지의 사실이지만.”

'as we all know'에는 대명사도 없으므로 ‘단계 또는 국면의 as’일 리가 없고 'as'는 앞 문장 전체를 선행사로 하는 계속적 용법의 관계절이다.

Football and baseball as they are played in the United States today are basically modifications of games that originated in England.

→ Football and base ball as played in the United States today are basically modifications of games that originated in England. “현재 미국에서 행해질 때의 축구와 야구는 기본적으로 영국에서 시작되었던 게임의 변형이다.”

‘단계 또는 국면’의 의미는 사라지겠지만 굳이 관계절로 전환하려면 'as' 없이 'which are played ~' 또는 'that are played ~'로 써야 하고 과거 분사의 후치 수식 용법을 쓰려면 'as' 없이 'played ~'를 써야 한다.

 

 

Posted by 연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