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법2020. 12. 20. 03:52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pHfwe9aBsws

#1.  She liked him. (a)[Unlike his brother, Liam was easy to talk and quite charming.] (b)[Women must flock to him, she thought, because of his easy smile and his good looks.] (c)[He also had a roguish sense of humor.] (d)[He made her laugh telling stories about pranks he and Colm pulled when they were boys.] (e)[Spending the afternoon with Liam was the most pleasant time she'd had since arriving at the MacHugh holding.] Best of all, Liam never mentioned the reason she was there, and for that she was most thankful.

 

#2.  "So what exactly are you doing?" she asked as I picked up a hose.

  "We're going to run warm water between the skin and the glass in hopes we can peel the two apart without further damage," I replied.

  "And what if that doesn't work?"

  "Then we got a big fat mess," Fielding said.

  "Then we use a scalpel," I explained.

  But this was not necessary. After several minutes of a constant warm bath, I began to very slowly and gently separate the thick broken glass from the dead woman's face, the skin pulling and distorting as I peeled, making her all the more horrible to look (A)[     ]. Fielding and I worked in silence for a while, gently laying shards and sections of heat-stressed glass into a plastic tub. This took about an hour, and when we were done, the stench was stronger. What was left (B)[   ] the poor woman seemed more pitiful and small, and the damage to her head was even more striking.

 

#1. (a), (b), (C), (d)와 (e) 중에서 문법적으로 부적합한 것은?

#2. 빈칸 (A)에 들어갈 단어는?

#3. 빈칸 (B)에 들어갈 단어는?

 

[#1. 해석] 그녀는 그가 맘에 들었다. (a)[그의 형과 달리 리암은 말 걸기가 쉬웠고 아주 매력적이었다.] (b)[여자들이 그에게 몰려갈 거라고 그녀는 생각했다. 그의 편안한 웃음과 잘생긴 얼굴 때문에.] (c)[그는 또한 짓궂은 유머 감각이 있었다.] (d)[그는 그녀를 웃게 했다. 자신과 콜름이 소년 시절에 친 장난들에 대해 얘기하면서.] (e)[오후를 리암과 지내면서 그녀는 맥휴 영지에 도착한 이래로 가장 재미있게 시간을 보냈다.] 가장 좋았던 것은 리암이 자신이 거기에 있는 이유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다는 것이며 그에 대해 그녀는 아주 고마워했다. 

[#2. 해석]  "그래서 정확하게 뭘 합니까?"라고 내가 호스를 집을 때 말했다.

  "우린 피부와 유리 사이에 따뜻한 물을 부을 겁니다. 더 상하지 않게 하면서 둘을 까낼 수 있기를 희망하면서."라고 나는 대답했다.

  "그리고서 그게 효과가 없으면 어떡합니까?"

  "그땐 우린 아주 엉망진창이 되는 거죠."라고 필딩이 말했다.

  "그럼 우린 외과용 메스를 사용하지요."라고 나는 설명했다.

  하지만 이는 불필요했다. 몇 분간 따뜻한 물을 계속 붓자, 저는 아주 천천히, 부드럽게 두꺼운 깨진 유리를 사망한 여자의 얼굴로부터 분리하기 시작했다. 제가 벗길 때 말리면서 뒤틀리면서 그녀를 보기에 더욱 끔찍한 모습이 되게 했다. 필딩과 저는 잠깐 말없이 일을 하면서 부드럽게 열 압박을 받은 유리 조각과 부분들을 플라스틱 통에 넣었다. 이는 대략 한 시간이 걸렸고 우리가 끝냈을 땐 악취가 더 심해졌다. 이 불쌍한 여인의 남은 모습은 더욱 안타깝고 조그마해 보였으며 머리의 손상은 훨씬 더 뚜렷했다.

[정답] 1. (a)[Unlike his brother, Liam was easy to talk and quite charming.] → (a)[Unlike his brother, Liam was easy to talk to and quite charming.]     2. (A) : at      3. (B) : of

 

[어휘 또는 표현]

roguish [róugiʃ] : 악한[깡패]의; [행위가] 못된, 무법적인; [어린이·행위가] 장난기 있는, 짓궂은

in hopes (that) ~ / in high hopes (that) ~ / in the hope that ~ : ~되기를 희망하면서

He waited in hopes that she would show up. "그는 그녀가 나타나기를 희망하면서 기다렸다."

Their names can stay on the lists through the summer in hopes that spots open up.

"자리가 나기를 희망하면서 여름 내내 리스트에 이름을 올려놓는 것은 가능하다."

We are in high hopes that a cure for leukemia will be found soon.

"우리는 백혈병 치료제가 곧 발견되기를 희망하고 있다."

He strove to be well-behaved in prison, in the hope that he would be let out early on parole.

"그는 감옥에서 얌전히 굴고자 노력했다. 가석방으로 일찍 나가게 되기를 희망하면서."

scalpel [skǽlpəl] 외과[해부]용 메스

striking : 이목[주의]을 끄는, 인상적인; 현저한

[해설]

1. O-S 상승이 된 것이므로 'talk to'가 남아 있어야 한다.

2.  making her all the more horrible to look (A)[at ].

목적어(her)와 목적보어(horrible to look at)의 관계는 주어와 주격 보어의 관계와 같으므로 상승 후에도 'look at'이 남아 있어야 한다.

3. '~ 중의 남은 것'의 뜻이 되어야 하므로 전치사 'of'를 사용해야 한다.

 

[핵심 문법] O-S 상승(Easy Construction)

To read Rushdie's novels is tough. "Rushdie의 소설을 읽는 것은 힘들다."

→ It is tough to read Rushdie's novels. (외치)

→ Rushdie's novels are tough to read. "Rushdie의 소설은 읽기가 어렵다."

바로 위의 문장에서 'read'의 목적어가 보이지 않는 것은 그 목적어가 상승하여 'It을' 대신하여 쓰였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이처럼 '하위절의 목적어'를 '상위절의 주어'로 상승시키는 것을 'O-S 상승'이라고 말할 수 있다. 다만 전통적으로는  형용사가 'tough'인 관계로 'Tough Movement'(1967 Rosenbaum)라고 칭해져 왔다. 일부 대학 책들에는 'easy'로 대표되는 형태라는 점에서 'Easy  Construction(구문)'이라고도 칭합니다.

It is easy to please John.  "존을 기쁘게 하는 것은 쉽다."

→ John is easy to please. "존은 기쁘게 하기 쉬운 사람이다."

이 두 문장은 비슷하기는 하지만 약간은 뜻이 다르다. 'It'로 시작되는 것은 'easy 한 것'에 대한 기술인 반면 'John'으로 시작되는 것은 'John'에 대한 기술이다.

O-S 상승에 관련된 '형용사와 명사'는 대부분 '쉽다 또는 어렵다'의 '난이도'에 관한 것들과 개인의 '감정적 판단'과 관련된 것들이다.

[난이도 형용사] 

tough(어려운, 고된), easy, difficult, tricky(다루기 어려운), simple, hard, cumbersome(성가신, 다루기 어려운), impossible

[참고로 'possible'은 O-S 상승이 허용되지 않는다.]

[감정적 판단 형용사]

nice, fine, great, good, bad, odd, weird, strange, excellent,

fun, (un)pleasant(즐거운), pleasurable(기분 좋은, 만족을 주는), delightful(기쁨을 주는), amusing, interesting, impressive,  dull(지루한, 재미없는), comfortable, painful, terrible, horrible, boring, tedious, confusing, annoying, embarrassing, irritating, tiresome, loathsome, exhausting, depressing(의기소침하게 하는, 울적한)

safe, dangerous, risky, convenient

necessary, essential, important, desirable, rare(드문, 뛰어난), useful, instructive(유익한, 교육적인), educational, beneficial, awkward(어색한; 다루기 어려운), beautiful(훌륭한, 뛰어난), expensive(비싼), cheap(싼), ideal(이상적인; 비현실적인), illegal(불법인), fashionable(유행의; 현대적인)

On 30 August, it will become cheaper to make or receive calls while travelling in the EU.

→ O-S 상승  On 30 August, calls will become cheaper to make or receive Ø while travelling in the EU.

"8 월 30 일부터 EU에서 여행할 때 전화는 하거나 받기가 더 싸질 거다."

Games have become more expensive to make overtime while music remains the same.

"게임은 시간 외로 만드는데 비용이 더 비싸졌지만 음악은 그대로다."

→ 상승 해제  It has become more expensive to make games overtime while ~.

다시 가주어 'it'을 사용하고 원래 자리로 내려보내는 것을 '상승 해제'라고 칭한다.

[난이도와 감정 관련 명사]

a snap = a breeze = a cinch = a piece of cake = a walk in the park [손쉬운 일]

snap [snæp] : (미·비격식) 쉬운 일[과목]; [손가락으로] 똑 소리내기

breeze [briːz] : (속어) 쉽게 할 수 있는 일[것], 식은 죽 먹기; 산들바람, 솔솔바람; (영) 풍파, 싸움, 말다툼, 분쟁; (구어) 소문

cinch [sinʧ] : (비격식) 확실한 일, 쉬운 일; 반드시 기대를 충족시키는 사람[물건]; 꽉 잡기; (말의) 뱃대끈(girth)

This sun hat is a walk in the park to crochet. "이 챙만 있는 모자는 코바늘뜨기가 식은 죽 먹기다."

→ 상승 해제 It is a walk in the park to crochet this sun hat.

→ 외치 해제 To crochet this sun hat is a walk in the park.

a bitch(불쾌하고 어려운 것)

bitch [biʧ] : (미·비격식) 골치 아픈 것, 불쾌한 것; (비꼼) 굉장히 좋은 것; 암캐; 매춘부

a pain in the ass(성가신 일)

a pleasure(즐거운 일)

a delight(기쁜 일)

Nureyev is a delight to watch. "누레예프는 보기 즐겁다." (Nureyev[njuréiəf] : 소련 태생의 영국의 무용가)

→ 상승 해제 It is a delight to watch Nureyev.

→ 외치 해제 To watch Nureyev is a delight.

[S-S 상승 불가]

It is difficult for John to master French. "존이 불어를 마스터하는 것은 어렵다."

→ French is difficult for John to master. "불어는 존이 마스터하기 어렵다."

→ *John is difficult to master French.

'master'의 목적어 자리가 채워져 있으므로 'John'은 'to master'의 의미상의 주어라고 보아야 하는데 O-S 상승 유형에서 'for + 의미상의 주어'의 '의미상의 주어'를 주절의 주어 자리로 끌어올릴 수 없다.

→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John.  "존을 이해하는 것은 어렵다."

→ John is difficult to understand.  "존은 이해하기 어려운 사람이다."

똑같이 'John is difficult'로 시작되지만 'understand'의 목적어 자리가 빠져 있으므로 이번에는 훌륭한 문장이다.

It is hard to get along with Tom. "톰과 잘 지내기는 어렵다."

→ Tom is hard to get along with.  "톰은 잘 지내기 어려운 사람이다."

전치사의 목적어도(여기서는 'with') O-S 상승이 가능하다.

It is boring to be with her.  "그녀와 함께 있는 것은 지루하다."

→ She is boring to be with. "그녀는 함께 있기에는 지루한 여자다."

It is pleasant to stay with that man.  "그 남자와 함께 머무는 것은 즐겁다."

→ That man is pleasant to stay with.  "그 남자는 즐겁게 같이 지낼만한 사람이다."

It's fun to play this game. "이 게임을 하는 것은 재미있다."

→ This game is fun to play. "이 게임은 하기 재미있다."

It is impossible to make sense of that proposal.  "그 제안의 뜻을 이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 That proposal is impossible to make sense of.  "그 제안은 뜻을 이해하기가 불가능하다."

It is a piece of cake (= a cinch) to seduce Mary.  "메리를 유혹하는 것은 식은 죽 먹기다."

→ Mary is a piece of cake (= a cinch) to seduce.  "메리는 유혹하기 매우 쉬운 여자다."

That was nice to hear but hard to take seriously. "그건 듣긴 재밌었지만 진지하게 받아들이기는 힘들었다."

Balloons are much easier to handle, and are also vastly cheaper.

"기구들은 다루기가 휠씬 더 쉽고 또한 아주 더 싸다."

[다중 O-S 상승]

It is difficult to talk to her about politics. "그녀에게 정치에 관해 이야기하는 것은 어렵다."

→ Politics is difficult to talk to her about.  "정치는 그녀에게 말하기 어려운 분야다."

→ She is difficult to talk to about politics. "그녀는 정치에 관해 말하기는 곤란한 사람이다."

'about'의 목적어인 'politics'와 'to'의 목적어인 'her' 둘 중에서 어느 것이든지 O-S 상승을 시킬 수 있다.

It is hard for me to imagine anyone talking to her about politics.

"누군가가 그녀와 정치에 관해 이야기한다는 것은 나로서는 상상하기 어렵다."

→ Politics is hard for me to imagine anyone talking to her about.

"정치는 누군가가 그것에 관하여 그녀와 이야기하고 있는 것을 나로서는 상상하기 어려운 분야이다."

아주 멀리 떨어져 있어도 O-S 상승이 가능하다.

It is hard to imagine that anyone would enjoy these books.

"이러한 책들을 즐겨 읽는 사람이 있다고 상상하기는 어렵다."

→ *These books are hard to imagine that anyone would enjoy.

'that 절' 속의 목적어를 끌어올리는 것은 불가능하다. (cf, Island : 섬의 제약)

I consider John easy to please.  "나는 존은 기쁘게 하기 쉬운 사람이라고 여긴다."

The teacher made it easy to follow the lectures. "선생님은 강의를 따라 이해하는 것을 쉽게 만들었다."

→ The teacher made the lectures easy to follow. "선생님은 강의를 따라 이해하기 쉽게 만들었다."

'easy'가 목적 보어로 쓰인 경우들이다.

It is hard to consider John (to be) competent.  "존을 유능하다고 여기기는 어렵다."

→ John is hard to consider *to be competent.

→ John is hard to consider competent.  "존은 유능하다고 볼 수 없는 사람이다."

S-O 상승된 목적어를 다시 O-S 상승시킬 때 'to'가 반복되면 'to be'는 필히 생략해야 한다.

Nancy is an easy person to get along with. "낸시는 함께 잘 지내기 쉬운 사람이다."

Ulyses is a difficult book to read. "율리시스는 읽기 어려운 책이다."

위의 두 문장은 한정 용법(전치 수식)으로 쓰인 형용사에 연결된 경우이다.

*Pickled garlic was unusual to ask for.

Pickled garlic was an unusual thing to ask for.  "절인 마늘은 달라고 하기에는 유별난 것이다."

'unusual'은 O-S 상승이 불가능한 형용사인데도 한정 용법으로 쓰일 때는 허용되고 있다.

It took me three years to write this novel. "이 소설을 쓰는 데 3년이 걸렸다."

→ This novel took me three years to write.

It cost me 300 dollars to buy the MP3 player.

→ The MP3 player cost me 300 dollars to buy.

동사인 'take'와 'cost'도 유사한 O-S 상승을 허용한다.

This document will take a long time to process. "이 자료는 컴퓨터로 처리하는데 긴 시간일 걸릴 것이다."

→ 상승 해제 It will take a long time to process this document.

→ 외치 해제 To process this document will take a long time.

This book is worth ordering a copy of. "이 책은 한 권 주문할 만한 가치가 있다."

This is our country worth fighting for.  "이 나라는 위하여 싸울 만한 가치가 있는 우리의 나라이다."

동명사에도 O-S 상승과 비슷한 현상이 있다. 'of'와 'for'의 목적어가 보이지 않는데 각각의 주어와 동일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Posted by 연우리
문법2020. 12. 17. 22:04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Y7cmqfY_kKE

#  "Hypothetically speaking," he continued, moving (A)[closer still], "if the original sheet of paper is a mere one-tenth of a millimeter thick, and I (B)[were to] repeat this process . . . say, fifty times . . . do you know how tall this stack (C)[would be]?"

   Elizabeth bristled. "I do," she replied with more hostility than she intended. "It would be one-tenth of a millimeter (D)[time] two to the fiftieth power. It's called geometric progression. (E)[Might I] ask what I'm doing here?"

 

#  (A), (B), (C), (D), (E) 중에서 문법적으로 잘못된 것은?

 

[해석]  "이론적으로 말하면" 그는 계속 말하면서 더욱 가까이한다. "원래 종이는 밀리미터 두께의 1/10에 불과하고 이 과정을 제가 거듭하면, 이를테면 50 번을 하면 쌓아 놓으면 두께가 얼마나 되는지 아세요?"

   엘리자베스는 분노했다. "알지요."라고 대답하면서 의도했던 것보다 더 적개심을 갖게 되었다. "그건 1 밀리미터 곱하기 2의 50 승한 것의 1/10이 되지요. 등비수열이라고 하는 거죠. 저 지금 여기서 뭐하고 있는 건지 물어도 되지요?"

[정답]  (D) time → times

 

[어휘 또는 표현]

two to the fiftieth power = two (raised) to the fiftieth power : 2의 50 승

geometric progression : 등비수열

[해설]

A : closer still : 'still'은 비교급을 강화 수식할 때 흔히 후치 수식을 한다.

B, C : 'were to 가정법'은 흔히 실현 불가능한 가정법이라고(if the sun were to rise in the west) 하지만 본문에서처럼 '제안'을 할 때도 사용한다. 다 귀결절은 가정법과 같은 식으로 사용한다.

E : 'May I ~'보다 'Might I ~'가 조금은 더 겸손한 표현이 된다.

[배수 times]

It would be one-tenth of a millimeter (D)[time → times] two to the fiftieth power.

곱하기는 'time'이 아니고 'times'를 사용한다.

 

'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변화형 run과 steam  (0) 2020.12.21
O-S 상승 ★★★  (0) 2020.12.20
종속절 접속사 that  (0) 2020.12.15
take a chance [or chances] with / on ~  (0) 2020.12.13
숨어 있는 가정법 조건과 혼합 가정법(ㅎ 좀 어려운가?)  (0) 2020.12.12
Posted by 연우리
문법2020. 12. 15. 05:17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U2Ugj-oldcg

#   Joe turned to her when the door shut behind him. "Don't get your hopes up. It still might not be Kistle, Eve."

   "Don't tell me that," she said with sudden fierceness. "I'm going to keep on hoping. I have to hope." She sat down on the couch. "And right now I'm going through these reports and see if I can find anything to use against the bastard. All we know is that he has to be the best and he was some kind of Rambo." She looked down at the picture of Kistle. "And (A)[    ] he's been alive and laughing and killing all these years my Bonnie's been dead." She tried to steady her voice. "Can you get that FBI agent to check under the Hathaway name and see if he can come up with anything else? He might have used that name again later."

 

#  빈칸 (A)에 들어갈 단어는?

 

[해석]  문이 뒤에서 닫힐 때 조는 그녀를 돌아보았다. "큰 희망을 갖진 마세요. 이브, 범인은 여전히 키슬이 아닐 수도 있어요."

    "그런 소리 하지 마세요." 그녀는 갑자기 격하게 말했다. "전 계속 희망할 거예요. 희망해야만 해요." 그녀는 카우치에 앉았다. "그리고 바로 지금 저는 이 리포트들을 살펴보고 그 개자식에게 쓸만한 것 있나 찾을 겁니다. 우리가 아는 거라곤 그는 최고이며 뭐 람보 같은 존재였다는 거죠." 그녀는 키슬의 사진을 내려다보았다. "그리고 나의 보니가 죽어있는 이 세월 동안 이 개자식이 살아서 웃고 살인을 저질러 왔다는 것도 압니다." 이브는 목소리를 차분하게 하려 했다. "당신 그 FBI 요원을 설득해서 해서웨이란 이름으로 체크해서 뭐 다른 것을 알아낼 수 있는지 살펴보게 할 수 있으시죠? 키슬은 나중에 다시 해서웨이란 이름을 사용했을 수도 있어요."

[정답]  (A) : that

 

[어휘 또는 표현]

steady [stédi] : ~을 고정[안정]시키다; [남을] 진정시키다, 침착해지게 하다   steady one's voice : 목소리를 차분하게 하다  : (E stead : place(instead of) + -y) [자리를 고정시키는 데서]

[해설]

'And'는 뭔가를 병치시켜야 하는데 문맥 상 'All we know is that he has ~'와 이어져서 'And that he's been alive ~'로 병치되어야 하므로 빈칸에는 'that'이 들어가야 한다.

 

Posted by 연우리
문법2020. 12. 13. 18:35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bc0yPsQS3GQ

#  Montalvo shrugged. "And he's been doing this for years. He's probably an expert (A)[at] forging documents. I told you, he's very clever."

  "And how do you know that?" Eve asked. "It wasn't clever (B)[of him] to call me and run the risk I'd act fast enough to catch him."

  "Maybe he didn't intend to talk to you until he heard your name. Then he couldn't resist." He gazed down at the photo of Kistle. "And he evidently likes to (C)[take chances]. Not (D)[on the child killings]. He probably realizes how crimes against children arouse the public and he's extremely (E)[careful with] them. ~ ~

 

#  (A), (B), (C), (D), (E) 중에서 문법적으로 잘못된 것은?

 

[해석]  몬탈보는 어깨를 으쓱했다. "그리고 놈은 몇 년 동안 이 짓을 해왔어. 아마도 문서 위조는 도사일 거야. 제가 말했죠. 놈은 아주 영악해요."

    이브가 물었다. "당신이 그걸 어떻게 알아요? 저한테 전화해서 제가 그를 체포할 만큼 빠르게 행동할 위험을 초래한 걸 보면 그는 영악하지가 않은데요."

    "어쩌면 그는 당신 이름을 들을 때까지는 대화할 의도가 없었을 거예요. 그러다가 견디지 못 한 거죠." 그는 시선을 내려 키슬의 사진을 바라보았다. "그리고 그는 모험을 하는 것을 좋아하는 것이 분명해요. 아동 살해는 모험을 하지는 않지만요. 그는 아마도 아동에 대한 범죄가 어떻게 사람들을 분개시키는지 알고서 애들은 아주 조심해서 다루지요. ~ ~"

[정답]  (D)[on the child killings] → [with the child killings]

 

[어휘 또는 표현]

an expert on / in  / at ~ : ~의 전문가인

비슷하지만 'on'은 '주제에 대한 지식'이 전문가라는 뜻이고 'in'은 '지식의 활용'이 전문가라는 약간의 의미 차이를 갖는다.

My brother is an expert in foreign policy. "우리 형은 외교 정책을 펴는 데 전문가야."

We've asked to interview an expert on foreign policy. "우리는 외교 정책에 관한 전문가와 인터뷰했어."

He is an expert in kung fu. "그는 쿵후 도사야."

He is an expert on kung fu. "그는 쿵후라면 잘 알지."

구체성이 강할수록 'on'을 사용하기도 한다.

He is an expert in English grammar. "그는 영문법 도사야." 

He is an expert on the usage of prepositions. "그는 전문 분야가 전치사의 용법이야."

'at'을 사용하면 지점을 표시하므로 어떤 행동을 잘 한다는 뜻이고 'on'은 역시 지식에 관한 것이고 'in'은 'at'과 비슷하게 사용된다.

Dr. White is an expert at skiing. (= very good at skiing)

Dr. White is an expert on skiing. (= knows a great deal about the sport -- its history, etc.)

[본문]

He's probably an expert (A)[at] forging documents. "그는 아마도 서류 위조를 아주 잘할 거야."

It wasn't clever (B)[of him] to call me and run the risk I'd act fast enough to catch him.

사람의 성질을 나타낼 때는 'of'를 사용한다.

[be careful with]

다룰 때 조심하라는 뜻이다.

Be very careful with this stuff, it can be dangerous if it isn't handled properly. 

"이거 다룰 때는 매우 조심해라. 제대로 다루지 않으면 위험할 수 있다."

You will have to make a special effort to train your child to be careful with her pocket-money.

"당신은 자녀에게 용돈을 조심해서 아껴 쓰는 법을 가르치는 특별한 노력을 해야만 할 거다."

돈이 따르면 '아끼다'의 뜻을 함의한다.

I think you should be careful about talking of the rebels as heroes. 

"반군들을 영웅이라고 얘기할 때는 조심해야 한다."

'of'나 'about'는 '관해서 주의하다'의 뜻이다. 

[본문]

he's extremely (E)[careful with] them. "그는 아이들을 다룰 때는 극히 조심한다."

[해설]

[chance]

[ʧæns] : 기회; 가능성; 우연; 위험; 가망  : (L cadere : to fall → O F cheoir : to fall → O F cheance → Middle E chance)  [기본적으로 떨어지는 데서, 불어 거쳐서 스펠링이 엉망이 되었지만 'incident'(upon + cadere : to fall)나 'accident'(toward + cadere)와 같은 어원에서]

1) 가능성 : (양쪽 형 명사) :  the possibility that something will happen, especially something you want

What are the team's chances of success? "그 팀의 성공 가능성은?"

If we did move to London, I'd stand a much better chance. "런던으로 이사 가면 훨 가능성이 큰데."

2) 기회 : (가산 명사) : time or situation which you can use to do something that you want to do

Ralph was waiting for a chance to introduce himself. "랄프는 자신을 소개할 기회를 기다리고 있었다."

3) 우연 (불가산 명사) : the happening of something in a way that no one could have known, so that it seems to have no cause 

I bumped into her quite by chance in Oxford Street. "나는 아주 우연히 옥스퍼드 거리에서 그녀를 마주쳤다."

Do you by any chance know when the last bus leaves tonight?

"혹시라도 오늘 밤 마지막 버스가 떠나는 시간 알고 계세요?"

It was pure chance that they ended up working in the same office in the same town.

"그들이 같은 도시 같은 사무실에서 일하게 된 것은 정말 우연이었다."

Dave had thought of every possibility, he was leaving nothing to chance.

"데이브는 모든 가능성에 대해 생각했다. 어떤 것도 우연에 맡기지 않을 작정이었다."

That was quite a chance, finding them here. 

[ㅎ 우연한 사건(an unpredicted event, esp a fortunate one)은 가산 명사]

4) 모험, 위험 : (가산 명사) : a possibility that something bad will happen; a risk:

You don't get anywhere in life without taking chances.

"모험을 하지 않으면 인생에서 조금도 성공할 수 없다."

There's a chance of injury in almost any sport. "거의 어떤 스포츠에도 부상의 위험이 있다."

[take a chance / take chances]

모험을 하다; 위험을 감수하다 : to do things that are risky or dangerous 

'모험, 위험'의 뜻이므로 가산 명사이므로 'a'든 아니면 '-s'든 최소한 있어야 한다.

He's not afraid to take chances. "그는 모험을 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You're never going to find real success unless you're willing to take a chance now and then.

"가끔은 기꺼이 위험을 감수하지 않는 한 결코 진정한 성공을 하지는 못할 것이다."

[본문]

And he evidently likes to (C)[take chances].

'위험을 감수하다'의 뜻이므로 'take a chance'나 'take chances'를 사용해야 한다.

[take a chance or chances with ~]

관계나 관련해서의 뜻일 때는 'with'를 사용한다.

Don't take chances with COVID over the holidays. "공휴일에 코로나에 대해 모험을 하지 마라."

Oliver Stone believes Tom Cruise should "take chances" with roles instead of chasing box office records and fees.

"올리버 스톤 감독은 톰 크루즈가 흥행 성적이나 따르는 보상을 쫓지 말고 여러 역할에 이른바 '모험'을 해야 한다고 믿고 있다."

Don't take chances with your family's health – make sure you all get vaccinated against influenza every year! 

"가족의 건강 문제로 위험한 짓을 하지 마라. 매년 전부 다 확실히 백신을 맞게 해라."

[take a chance or chances on ~]

믿거나 의지할 때는 'on'을 사용한다.

Look, I was willing to take a chance on your idea, but it didn't pan out. I'm not sinking any more money into it now!

"이봐, 난 자네 아이디어 믿고 기꺼이 위험을 감수했지만 잘 안됐어. 이제 더 이상은 돈을 거기 넣을 수는 없어."

Lorraine didn't know me but she took a chance on my honesty.

"로레인은 날 모르지만 내 정직을 믿고 위험을 감수했다."

Monday is a day to take chances on achieving your goals and making decisions you have been procrastinating about. "월요일은 네 목표들을 달성하고 미뤄왔던 결정들을 할 거라고 믿고 위험을 감수할 날이다."

[본문]

Not (D)[on → with  the child killings]. = (He does) Not (like to take chances) with the child killings.

믿는 대상이 아니고 다루는 대상이므로 'with'를 사용해야 한다.

 

Posted by 연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