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조 구문'에 해당되는 글 2건

  1. 2021.04.22 Cleft sentence (강조 구문 or 분열문)
  2. 2021.01.19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158회]
문법2021. 4. 22. 18:00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_d69IAH9cDk

 "I wanted to be prepared."

  "(A)[   ] what?"

  A fire sparked in her icy blue eyes. "For whatever (B)[  ] is you think is so important."

#1. 빈칸 (A)에 적합한 단어는?

#2. 빈칸 (B)에 적합한 단어는?

[해석] "전 대비하고 싶었어요."

   "뭐에 대비하고 싶었는데?"

   얼음같이 푸른 눈에 불꽃이 튀었다. "당신이 아주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 뭐든지에 대해서요."

[정답] 1. (A) : For       2. (B) : it

[해설]

1. 'be prepared for ~'이므로 되묻는 경우에도 전치사 'For'를 사용해야 한다.

2. 뒤의 'is' 와 연결되는 것은 강조 구문의 'it' 밖에 없다.

= For whatever it is (that) you think is so important. [whatever = anything which]

강조 구문에서 '주격 관계사 that'는 생략될 수 있다. 물론 'you think'는 삽입 절이다.

강조 구문과 삽입 절 다 무시하고 "For whatever is so important."로 빨리 파악하면 좋다.

[강조 구문(분열문(Cleft Sentence))]

분열문(Cleft Sentence)은 하나의 문장에서 강조하고 싶은 부분을 두 번 사용해서 두 개의 문장으로 분열시킨(cleave) 후에 다시 관계사를 이용하여 하나의 문장으로 합친 것을 말한다.

1) 주어와 목적어의 강조 구문

① Simon did it.

② It was SimonSimon did it.

③ It was Simon ∥ that ∥ who did it.

④ It was Simon ∥ that ⇔ who ∥ θ did it.

①에서 주어인 'Simon'을 강조하고 싶으면 'Simon'을 두 번 사용해서 두 개의 문장으로 분열시킨다.

②에서 형식상의 주어 'It'을 사용하고 시제가 과거면 'was', 현재면 'is'를 사용한다.

③에서는 일단 'that'를 상정한 후에 두 번째 나오는 'Simon'을 관계사인 'who'로 바꾼다.

④에서 'that'과 'who'의 투쟁 관계가 발생한다.

It was Simon that / who / ( ) did it.

'that'과 'who'가 싸워서 'who'가 이기면 'who'가 쓰이고, 'that'이 이기면 'that'가 쓰이고 둘 다 사망하면 'zero 관계사'가 쓰인다.

이처럼 강조 구문에서는 선행사가 고유 명사(Simon) 일 때 마치 뒤에 제한 관계절이 따르는 것 같아서 이상해 보이지만 문제가 없으며 흔히 주격 관계사는 생략하지 못한다고 하지만 여기서는 'zero 관계사'를 사용해도 'It was'가 강조 기능을 하고 원래의 문장인 'Simon did it'이 뒤이어 나와도 절을 구분하는 인식상의 문제가 없기 때문에 아무런 상관이 없다. 단 'zero 관계사'보다는 'that'과 'who'가 선호된다.

It is they who are complaining. "바로 그들이 불평을 하고 있어."

강조 구문에서는 인칭 대명사(they)도 강조 부분에 쓰일 수 있다. 'they'가 복수여도 상관없이 'It ' 다음에는 'is'가 쓰인다.

Sometimes it seems like it's only the bad people who stay healthy and prosper.

"때론 바로 나쁜 사람들만이 건강을 유지하고 성공하는 것 같아 보인다."

흔히 'it ~ who 강조 구문'이라 칭한다.

I loved Mary, not Jane.

It was Mary. I loved Mary, not Jane.

It was Mary ∥ that ∥ I loved whom, not Jane.

It was Mary ∥ that ⇔ whom ∥ I loved θ, not Jane.

It was Mary that / ( ) / whom I loved θ, not Jane. "바로 메리를 내가 사랑했던 거야, 제인이 아니라."

흔적 자리가 목적어일 때 간혹 'whom'이 쓰이지만 'that'나 'zero 관계사'를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Tom speaks French with great ease.

It is French. Tom speaks French with great ease.

It is French ∥ that ∥ Tom speaks which with great ease.

It is French ∥ that ⇔ which ∥ Tom speaks θ with great ease.

It is French that / which / ( ) Tom speaks θ with great ease. "바로 불어를 톰이 유창하게 구사한다."

본시 시제가 현재이므로 'is'가 사용되고 있으며 사람이 아니므로 'which'가 쓰이고 있다.

It is French that Tom speaks *it with great ease.

관계사와 마찬가지로 흔적 자리에 대명사를 써서는 안 된다.

It's little (   ) the like of him knows θ of the sea.

목적격 관계사가 생략되어 있는 형태이다.

2) 소유격 강조 구문

Critics will praise Martha's work.

It is Martha. Critics will praise her work.

It is Martha ∥ that ⇔ whose work ∥ Critics will praise θ

It is Martha whose work critics will praise. "바로 마사가 작품을 비평가들이 칭찬하는 사람이야."

'her work'를 'whose work'로 바꾼 후 관계절로 연결하면 된다. 이를 'It ~ whose N' 강조 구문이라 한다.

It is animals and plants which lived in or near water whose remains are most likely to be preserved.

"바로 물속이나 물가에서 사는 동식물들이 잔존물이 가장 보존될 가능성이 크다."

[부사와 전치사 구의 강조 구문]

It is very rarely that / *which one comes across a dead body, except, of course, on the roads.

"아주 드물게만 죽은 몸체를 만나게 되는데 물론 길 위에서를 제외하고는."

It is only by chance that / *which such a fate is avoided. "오직 우연하게만 그런 운명은 피해진다."

강조할 때 부사나 전치사 구는 'which'로 받을 수 없기 때문에 'that'만을 사용한다.

It is in the spring time that / when the orange trees are beautiful. "바로 봄에 오렌지 나무는 아름답다."

It is always in New York that / where I come across strange things.

"내가 이상한 일들을 겪게 되는 것은 항상 뉴욕에서이다."

강조하는 부분이 시간이나 장소 부사 구일 때 간혹 'when'이나 'where'가 쓰이는 경우도 있다.

It was on Thursday that /?when the schedule was announced. "바로 목요일 스케줄이 발표되었다."

It was in Boston that / ?where they held the tea party. "바로 보스턴에서 그들은 티 파티를 열었다."

의문시하는 사람들도 있으므로 'that'를 쓰는 것이 바람직하다.

I did not go to bed until five in the morning. "아침 다섯 시까지는 잠자리에 들지 않았다."

It was not until five in the morning that I went to bed. "아침 다섯 시에 비로소 잠자리에 들었다."

'not'과 'until five in the morning'을 묶어서 변화 시점을 강조한 것이다.

Not until five in the morning did I go to bed. "아침 다섯 시에 비로소 잠자리에 들었다."

부정 어구의 선행(fronting)으로 인한 도치이다.

[부사절의 강조 구문]

I didn't go there because my wife was ill. "난 거기 가지 않았어, 아내가 아팠기 때문에."

It was because my wife was ill. I didn't go there because my wife was ill.

It was because my wife was ill ∥ that ∥ I didn't go there because my wife was ill.

It was because my wife was ill that / *which I didn't go there. "바로 아내가 아팠기 때문에 거기 가지 않았다."

강조하는 부분이 'which'로 받을 수 없는 부분(because 절)일 때는 그 부분을 삭제한다. 따라서 이런 경우에는 'which'를 사용할 수 없다.

I did not realize I'd lost my wallet until I got home.  "집에 도착할 때까지는 지갑을 잃어버린 것을 몰랐다."

It was not until I got home that I realized I'd lost my wallet. 

"바로 집에 가고 나서야 지갑을 잃어버린 것을 알았다."

'not'과 'until I got home'을 묶어서 변화 시점을 강조한 것이다.

Not until I got home did I realize I'd lost my wallet.

부정 어구의 선행(fronting)으로 인한 도치이다.

[의문사 강조 구문]

What drove him mad? "무엇이 그를 미치게 만들었어?"

It was what What drove him mad

It was what ∥ that ⇔ which ∥ drove him mad

It was what that / ( ) / which drove him mad

What was it that / ( ) drove him mad?  "바로 무엇이 그를 미치게 만들었어?"

'의문사 what'이 강조될 때 'that'이나 'zero 관계사'가 쓰인다. 'which'는 쓰이는 빈도가 아주 낮다.

I wonder what it was that / ( ) drove him mad. (간접 의문문) "바로 무엇이 그를 미치게 만들었는 지 궁금하다."

What is it ( ) ails you, at all?  “도대체 무엇이 당신을 괴롭히고 있습니까?”

강조 구문의 'is it'을 빼고 보면 이해하기 쉽다.

What is it you have θ ? "바로 무엇을 가지고 있어?"

'의문사 what'을 강조하면서 'that'이 생략된 경우이다. 'is it'을 'do'로 바꾸면 쉽다.

A : Tell me what it is that you suspect.  "바로 뭘 의심하는지 나에게 말해라."

B : I have a feeling someone is embezzling money. "누군가가 돈을 횡령하고 있다는 느낌이야."

What do you suspect?

You suspect what?

It is what that you suspect

What is it that you suspect?

Tell me what it is (that) you suspect. (간접 의문문 어순)

We had to find out who it was who was promoting violence.

"우리는 바로 누가 폭력을 조장하고 있었는지를 찾아내야만 했다."

'who was promoting violence'에서 의문사인 'who'를 강조하면서 관계사는 'who'를 쓰고 있는데 간접 의문문이므로 'who it was'의 어순이 되고 있다.

Who was it that / who / ( ) was promoting violence? (직접 의문문 'who'의 강조)

'Who was promoting violence?'의 의문사 강조 구문이다.

Posted by 연우리
편입 문법 3000 Plus2021. 1. 19. 04:19
728x90

[동영상 강의 유튜브 연우리 영어]  https://youtu.be/IVydsAvaryk

[PT23-16]0830. [세종대학교 2011]

The city is ________ by one man.

(A) small enough to be run                   (B) too small for being running

(C) too small to run                             (D) small enough to have run

[PT23-16]0830. [수동형 부정사]

정답 - A : 'enough'는 부정사와 연결된다. 'by'가 있으므로 수동형 부정사인 'to be run'이 쓰여야 한다.

B : 'too ~'는 부정사와 연결되어야 한다.

C : 'by'가 있으므로 능동형 부정사는 곤란하다.

D : 능동의 완료 부정사가 쓰일 이유가 없다.

[해석] 그 도시는 한 사람에 의해서 운영될 정도로 충분히 작다.

 

 

[PT23-17]0831. [인천대학교 2007-1]

Twenty percent of the budget surplus has been set aside to ____________ in research and development.

(A) have been reinvested                      (B) be reinvesting

(C) be reinvested                                 (D) being reinvested

[PT23-17]0831. [수동형 부정사]

정답 - C : 남은 예산의 20%는 재투자되는 것이므로 수동형 부정사가 쓰여야 한다.

[해석] 남은 예산의 20%는 연구 개발에 재투자되기 위해 따로 떼어놓는다.

 

 

[PT23-18]0832. [숭실대학교 2007-1]

Emma resented __________ to make coffee for everyone at the faculty meeting.

(A) asking            (B) being asked            (C) to be asked             (D) to be asking

[PT23-18]0832. [수동형 동명사]

정답 - B : 'resent'는 동명사를 목적어로 취하고 요구당한 것에 화가 난 것이므로 수동형 동명사를 써야 한다.

[해석] 에마는 교직원 회의에서 모든 사람에게 커피를 타라는 요구에 분개했다.

 

 

[PT23-19]0833. [홍익대학교 2007-1]

Our two sons, from the day they learnt that they have a grandfather, have insisted ________ to him.

(A) at taking                    (B) at having taken

(C) on being taken             (D) on having been taken

[PT23-19]0833. [수동형 동명사]

정답 - C : insist on ~ing : ~할 것을 요구하다    take 사람 to ~ : 데리고 가다;   be taken to ~ : ~에게 데려다주다 : 동명사의 주어도 'our two sons'이고 자신들을 데려다줄 것을 요구하는 것이므로 수동형 동명사를 써야 한다.

[해석] 우리의 두 아들은 자신들에게 할아버지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된 날부터 할아버지에게 데려다줄 것을 요구해왔다.

 

 

[PT23-20]0834. ⋆ [경희대학교 2008-1]

"I remember (A)[told by] a number of doctors, 'Oh, you have (B)[plenty of time],' even when I was 38, " says Claudia Morehead, 47, a (C)[California insurance lawyer] who is finally pregnant, (D)[using donor eggs].

[PT23-20]0834. [수동형 동명사]

정답 - A : [told by] → [being told by] : 'tell'은 '말하다'의 뜻이고 'be told'는 '듣다'의 뜻이다. 'being told (by a number of doctors) 'Oh, you have plenty of time''에서 따옴표 부분은 직접 목적어로 그대로 남아 있다. '(a number of doctors) telling me ~'에서 간접 목적어인 'me'가 수동태로 바뀐 것일 뿐이다. 'my being told (by a number of doctors) ~'에서 ‘주절의 주어 I’와 동일해서 'my'는 탈락된 것이다.

[해석] "나는 내가 38살인 때도 의사들이 '오, 당신에겐 많은 시간이 있어요.'라고 말하는 것을 들었던 것이 기억납니다."라고 기증된 난자를 이용해서 결국 임신을 한 캘리포니아 주의 한 보험 전문 변호사인 47세의 클라우디아 모어헤드는 말했다.

 

 

[ET24-1-1]0835. ⋆ [고려대학교 2004-2]

The children (A)[soon] forgot that it (B)[were] their parents (C)[who] had encouraged them (D)[to continue] their education.

[ET24-1-1]0835. [강조 구문]

정답 - B : [were] → [was] : 강조 구문에서는 강조된 부분의 단수와 복수에 상관없이 과거 면 'was', 현재면 'is'가 사용된다. 'it ~ that ~ 강조 구문' 대신 'it ~ who 강조 구문'이 사용되고 있는 경우이다.

[해석] 아이들은 자신들에게 학업을 계속하라고 권했던 이가 바로 자신들의 부모였음을 곧 잊었다.

 

[핵심 문법] 강조 구문(분열문(Cleft Sentence))

분열문(Cleft Sentence)은 하나의 문장에서 강조하고 싶은 부분을 두 번 사용해서 두 개의 문장으로 분열시킨(cleave) 후에 다시 관계사를 이용하여 하나의 문장으로 합친 것을 말한다.

1) 주어와 목적어의 강조 구문

 Simon did it.

 It was Simon. Simon did it.

③ It was Simon ∥ that ∥ who did it.

④ It was Simon ∥ that ⇔ who ∥ θ did it.

①에서 주어인 'Simon'을 강조하고 싶으면 'Simon'을 두 번 사용해서 두 개의 문장으로 분열시킨다.

②에서 형식상의 주어 'It'을 사용하고 시제가 과거 면 'was', 현재면 'is'를 사용한다.

③에서는 일단 'that'를 상정한 후에 두 번째 나오는 'Simon'을 관계사인 'who'로 바꾼다.

④에서 'that'과 'who'의 투쟁 관계가 발생한다.

It was Simon that / who / ( ) did it. "바로 사이먼이 그랬어요." "그렇게 한 건 바로 사이먼이에요."

'that'과 'who'가 싸워서 'who'가 이기면 'who'가 쓰이고, 'that'이 이기면 'that'가 쓰이고 둘 다 사망하면 'zero 관계사'가 쓰인다.

이처럼 강조 구문에서는 선행사가 고유 명사(Simon) 일 때 마치 뒤에 제한 관계절이 따르는 것 같아서 이상해 보이지만 문제가 없으며 흔히 주격 관계사는 생략하지 못한다고 하지만 여기서는 'zero 관계사'를 사용해도 'It was'가 강조 기능을 하고 원래의 문장인 'Simon did it'이 뒤이어 나와도 절을 구분하는 인식상의 문제가 없기 때문에 아무런 상관이 없다. 단 'zero 관계사'보다는 'that'과 'who'가 선호된다.

It is they who are complaining. "바로 그들이 불평하고 있어요." "불평하는 건 바로 그들이어요."

강조 구문에서는 인칭 대명사(they)도 강조 부분에 쓰일 수 있다. 'they'가 복수여도 상관없이 'It' 다음에는 'is'가 쓰인다.

Sometimes it seems like it's only the bad people who stay healthy and prosper.

"때로는 바로 나쁜 사람들만이 건강을 유지하며 성공하는 것 같아 보인다."

흔히 'it ~ who 강조 구문'이라 칭한다.

I loved Mary, not Jane.

It was Mary. I loved Mary, not Jane.

It was Mary ∥ that ∥ I loved whom, not Jane.

It was Mary ∥ that ⇔ whom ∥ I loved θ, not Jane.

It was Mary that / ( ) / whom I loved θ, not Jane. "바로 메리를 난 사랑했어, 제인이 아니라."

흔적 자리가 목적어일 때 간혹 'whom'이 쓰이지만 'that'나 'zero 관계사'를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Tom speaks French with great ease.

It is French. Tom speaks French with great ease.

It is French ∥ that ∥ Tom speaks which with great ease.

It is French ∥ that ⇔ which ∥ Tom speaks θ with great ease.

It is French that / which / ( ) Tom speaks θ with great ease. "바로 불어를 톰은 아주 쉽게 말한다."

본시 시제가 현재이므로 'is'가 사용되고 있으며 사람이 아니므로 'which'가 쓰이고 있다.

It is French that Tom speaks *it with great ease.

관계사와 마찬가지로 흔적 자리에 대명사를 써서는 안 된다.

It's little ( ) the like of him knows θ of the sea. "바다에 대해서는 그와 같은 사람은 정말 거의 모른다."

목적격 관계사가 생략되어 있는 형태이다.

2) 소유격 강조 구문

Critics will praise Martha's work.

It is Martha. Critics will praise her work.

It is Martha ∥ that ⇔ whose work ∥ Critics will praise θ

It is Martha whose work critics will praise. "비평가들이 그 작품을 칭송하려는 사람은 바로 마사이다."

'her work'를 'whose work'로 바꾼 후 관계절로 연결하면 된다. 이를 'It ~ whose N' 강조 구문이라 한다.

It is animals and plants which lived in or near water whose remains are most likely to be preserved.

"그 유해들이 보존된 가능성이 가장 큰 것들은 물속이나 물 근처에서 살았던 동식물이다."

 

 

Posted by 연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