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명사의 능동과 수동'에 해당되는 글 3건

  1. 2021.01.22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175회]
  2. 2021.01.22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173회]
  3. 2021.01.18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154회]
편입 문법 3000 Plus2021. 1. 22. 07:06
728x90

[동영상 강의 유튜브 연우리 영어]  https://youtu.be/dCpsoWly8gA

[PT26-13]0914. [세종대학교 2009]

You will learn how to cook fresh and (A)[filled] pasta perfectly, and how to handle several common ingredients (B)[using] in (C)[making] paste sauces, (D)[including] garlic, tomatoes, and fresh herbs.

[PT26-13]0914. [후치 수식의 능동과 수동]

정답 - B : [using]  [used] : ‘several common ingredients which are used’에서 ‘which are’가 생략된 경우이다.

A : {[fresh] and [filled] pasta}의 구조다.    filled : 이것저것 들어가 있는

[해석] 여러분들은 신선하고 여러 가지가 들어가 있는 파스타를 완벽하게 요리하는 방법과 마늘과 토마토와 신선한 식용 식물들을 포함한 파스타 소스를 만들 때 이용되는 몇 가지 공통된 성분들을 다루는 방법을 배우게 될 것입니다.

 

[PT26-14]0915. ⋆⋆ [영남대학교 2006-1]

DNA is the genetic material (A)[containing] within (B)[the nucleus] of a person's (C)[cells] that codes (D)[for different traits].

[PT26-14]0915. [후치 수식의 능동과 수동 + 이중 한정]

정답 - A : [containing]  [contained] : 'contain' 포함하다의 뜻으로 타동사로만 쓰인다. 뒤에 목적어가 없으므로 당연히 수동이어야 한다. 'the genetic material which is contained ~'에서 'which is'가 삭제된 경우이다.

[해석] DNA는 인간의 세포의 핵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상이한 특성들에 대한 정보를 지정하는 유전 물질이다.

 

[PT26-15]0916. [숙명여자대학교 2012]

다음 글에서 문법 혹은 문맥에 맞지 않는 표현을 고르시오.

The gadget that animals (A)[evolved] to achieve rapid movement is the muscle. Muscles are engines which, like the steam engine and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e energy (B)[storing] in chemical fuel to generate mechanical movement. The difference is that the immediate mechanical force of a muscle is (C)[generated] in the form of tension, rather than gas pressure as in the case of the steam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But muscles are like engines in that they often exert their force (D)[on] cords, and levers with hinges. (E)[In us] the levers are known as bones, the cords as tendons, and the hinges as joints.

[PT26-15]0916. [후치 수식 분사의 능동과 수동]

정답 - B : [storing]  [stored] : 'energy'를 수식하는 분사인데 뒤에 목적어가 없는 타동사이므로 수동인 과거 분사가 사용되어야 한다.

[어휘] gadget : 기기; 장치; 도구     internal combustion engine : 내연 기관

evolve : 진화[발달] 시키다; [논리·의견·계획 등을] 차츰 발전[전개]시키다; [결론·법칙 등을] 이끌어 내다; [냄새·증기 등을] 발하다, 방출하다; 발전[진화]하다; [작품의 줄거리가] 진전하다

immediate : 즉시의, 즉석의; 당면한, 목전의; 바로 이웃의; 직접적인; [관계 등이] 아주 가까운

tension : [역학] 장력(張力); (기체의) 팽창력, 압력; 긴장, 불안; 신장, 인장(引張)

hinge : 경첩; 요점, 중심점 lever : 지레, 지렛대; 수단,  cord : [해부] (), (), ()

exert : [힘이나 압력을] 발휘하다, 가하다 : put force or physical pressure on something; [지력·위력·권력 등을] 강력히 발휘하다, 행사하다; [영향 등을] 미치다; 열심히 노력하다

tendon : [해부] 힘줄, ()     joint : 관절     mechanical : 역학적인; 물리적인; 기계적인

[해석] 동물들이 빠른 속도를 얻기 위해 발달시킨 도구는 근육이다. 근육은 증기 기관이나 내연 기관과 마찬가지로 물리적인 움직임을 만들어 내기 위해 화학 연료 안에 저장된 에너지를 이용하는 엔진이다. 차이점은 근육의 즉각적인 물리적인 힘은 증기 기관이나 내연 기관의 경우의 기체 압력이 아니라 장력(張力)의 형태로 발생된다는 것이다. 하지만 근육은 종종 건()에 힘을 가하고 경첩이 있는 지레에 힘을 가한다는 점에서 엔진과 유사하다. 우리 인간의 경우 지레는 뼈로, ()은 힘줄로, 그리고 경첩은 관절로 알려져 있다.

 

[PT26-16]0917.  [서울여자대학교 2004-1]

(A)[Lake Baikal], located in Siberia, is the (B)[world's deepest] lake, containing more water than (C)[all five of] the Great Lakes of North America (D)[putting together].

[PT26-16]0917. [후치 수식의 능동과 수동]

정답 - D : [putting together]  [put together] : 타동사의 현재 분사는 능동이므로 목적어가 있어야 하는데 목적어가 없으므로 수동 의미인 과거 분사를 써야 한다.

put together = combined : 모두 합해

A : 'Lake ~'는 'professor'와 마찬가지로 관사 없이 그냥 쓴다.

[해석] 시베리아에 위치한 바이칼 호수는 세계에서 가장 깊은 호수로 미국의 오대호를 합한 것보다 많은 물을 담고 있다.

 

[PT26-17]0918. [세종대학교 2006-1]

Those hoping that the regime change in Berlin might give the EU a new pro-market drive _____.

(A) as well is likely to disappoint                         (B) are like to disappoint as well

(C) are likely to be disappointed as well               (D) is like to be disappointed as well

[PT26-17]0918. [부정사의 능동과 수동]

정답 - C : disappoint : 실망시키다, be disappointed : 실망하다

희망하는 사람들이 실망하는 것이므로 'be disappointed'를 써야 한다. 'be likely' 다음에는 부정사가 따른다. ‘또한의 뜻인 'as well'은 맨 뒤에 위치시킨다.

[해석] 독일 정부가 EU에 새로운 시장 우호적인 동력을 주게 되기를 희망하는 사람들도 또한 실망하게 될 것이다.

 

[PT26-18]0919. [영남대학교 2004-1]

The (A)[survival strategies] of the wildlife and the systems (B)[on which] they depend (C)[have] to (D)[manage] too.

[PT26-18]0919. [수동형 부정사]

정답 - D : [manage]  [be managed] : 주어인 'survival strategies(생존 전략)'은 관리되는 관계이므로 수동이어야 한다.

A : the survival strategies  the strategies for survival

[해석] 야생 동물들의 생존 전략들과 이들이 의존하는 시스템들도 또한 관리되어야 한다.

 

[PT26-19]0920. [동국대학교 2006-1]

The (A)[implied] thesis statement (B)[fits] the contents of the reading without (C)[being relied on] any outside information not (D)[supplied] by the author.

[PT26-19]0920. [동명사의 능동과 수동]

정답 - C : [being relied on]  [relying on] : 동명사의 내부에 목적어(any outside information)가 있으므로 능동형인 'relying on'을 써야 한다.

[해석] 그 논제 서술문이 의미하는 것은 작가에 제공되지 않는 어떤 외부의 정보에도 의존하지 않는다는 읽기의 취지에 적합하다.

 

Posted by 연우리
편입 문법 3000 Plus2021. 1. 22. 07:03
728x90

 [동영상 강의 유튜브 연우리 영어]  https://youtu.be/lm2BY91Ln3A

[ET26-3-2]0900.  [세종대학교 2011]

It remains ________ whether a respected economist will have the necessary clout to stick to the reform path.

(A) to see              (B) for seeing            (C) to be seen          (D) for being seen

[ET26-3-2]0900. [수동형 부정사]

정답 - C : 'whether 이하'가 진 주어로 결국 주어인데 볼 수는 없고 수동이어야 한다.

[해석] 존경받는 경제학자가 개혁 노선을 고수하기 위해 필요한 영향력이 있게 될는지는 아직은 두고 봐야 한다.

 

[ET26-3-3]0901. [덕성여자대학교 2008-1]

(A)[Offered] movies (B)[during flights] is one way airlines (C)[make sure] that passengers are (D)[not bored].

[ET26-3-3]0901. [동명사의 능동과 수동]

정답 - A : [Offered]  [Offering] : 동명사인 '~ movies during flights'에 목적어가 있으므로 능동형인 'Offering'을 써야 한다.

[해석] 비행 중에 영화를 제공하는 것은 항공사들이 고객들이 지루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한 가지 방법이다.

 

[PT26-1]0902. [계명대학교 2004-2]

I'm afraid we can't have coffee; there's _________ left.

(A) no         (B) none           (C) never            (D) not

[PT26-1]0902. [존재문의 명사]

정답 - B : 존재문에는 명사가 있어야 한다.

[해석] 커피를 마실 수 없을 것 같아요. 남은 게 없어요.

 

[PT26-2]]0903.  [계명대학교 2005-2]

_________ slow changes in the distribution of the earth's magnetic field.

(A) The           (B) How the            (C) Do the            (D) There are

[PT26-2]0903. [존재문]

정답 - D : 'Slow changes are in the distribution of the earth's magnetic field.'의 문장에서 처음 나오는 주제(Slow changes : 신정보)’가 갑자기 앞에 나오는 것을 모국어 화자는 매우 싫어한다. 그래서 우리말의 있잖아에 해당되는 새로운 주제가 나오는 것을 유도하는 부사로 'there'를 사용한다. 이점에서 'there'를 '유도 부사'라고 칭하기도 한다. 그런데 항상 'There are ~'의 순서를 이용하기 때문에 'There' 형식상의 주어라고 칭하기도 한다. 위문장을 우선 'There'부터 시작하고 'are'를 쓴 후에 진짜 주어인 'slow changes(새로운 주제 : 신정보)'를 도입하고 나머지 부분을 이어서 쓰면 된다.

설명이 좀 난해하므로 결론만 이용하기로 한다. 'There is nothing left.'의 문장이 나오면 'There'는 삭제하고 주어인 'Nothing'을 먼저 쓰고 'is left'가 따르는 식으로 이해하면 그만이다. 'There must have been accidents occurring recently.'가 나오면 'There'는 무시하고 진짜 주어인 'Accidents' 쓰고 다음에 'must have been occurring recently'로 이해하면 된다. 'There is a book here.'가 나오면 유도 부사 'there'는 무시하고 'A book is here(장소 부사)'로 이해하면 된다. '*A king lived.'는 갑자기 신정보인 'A king'이 먼저 나와서 틀린 표현으로 취급한다. 유도 부사 'There(있잖아)'를 먼저 쓰고 동사(lived)를 쓴 후에 새로운 주제인 'a king(신정보)'를 맨 뒤로 보낸다. 그러면 'There lived a king.'이 만들어진다. 다음 문장에 'He(= the king)'이 나오면 앞 문장의 신정보와 이 문장의 구정보가 가깝게 잘 연결된다.

A, B : 동사가 없어서 문장이 성립되지 못한다.

C : Do the slow changes ~ : 명령문인데 전혀 뜻이 통하지 않는다.

[해석] 지구의 자장의 분포엔 느린 변화가 있다.

 

[PT26-3]0904.  [울산대학교 2007-1]

I happen to know there is a treasure ______ in my garden.

(A) buried         (B) burying          (C) to bury          (D) buries

[PT26-3]0904. [선택적 존재문]

정답 - A : 선택적 존재문이므로 'there'를 삭제하면 'is'는 다시 아래로 내려갑니다. 그러면 'a treasure is ~ in my garden'이 된다. 따라서 ~ 부분은 수동태인 'buried'가 쓰여야 함을 알 수 있다.

집 정원에 묻혀있는 보물이 있다는 것으로 해석하는 것은 좋지 않고 보물이 집 정원에 묻혀있다는 것으로 해석하는 것이 좋습니다.

[해석] 보물이 우리 집 정원에 묻혀있다는 것을 우연히 알게 되었다.

 

[PT26-4]0905.  [삼육대학교 2006-1]

By the mid-eighteenth century _________ so many new immigrants entering the United States from Europe that the original colonies were overcrowded.

(A) it were             (B) were             (C) there            (D) there were

[PT26-4]0905. [선택적 존재문]

정답 - D : 유도 부사를 없애면 '~ so many new immigrants were entering the United States from Europe that ~'가 됩니다. 'so ~ that ~' 구문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존재문으로 바꾸면 'so'와 'that'의 거리도 가까워지는 효과를 가져다줍니다.

B : 'were'가 주어 앞으로 도치될 이유가 없다.

C : 주절에 정동사가 없어서 문장이 성립되지 않는다.

[해석] 18세기 중엽에는 아주 많은 이민자들이 유럽에서 미국으로 들어오고 있었기 때문에 최초의 식민지들은 사람들이 넘쳐났습니다.

Posted by 연우리
편입 문법 3000 Plus2021. 1. 18. 09:33
728x90

[동영상 강의 유튜브 연우리 영어]  https://youtu.be/xktc81rMu6o

[ET23-3-1]0812. ⋆ [숙명여자대학교 2009]

(A)[Founded] in 1906 and (B)[employed] an (C)[estimated] 50,000 people, the company has (D)[gained] a reputation (E)[for] size and tradition.

[ET23-3-1]0812. [분리된 전치 수식의 능동과 수동]

정답 - B : [employed] → [employing] : 목적어(an estimated 50,000 people)가 있으므로 능동인 현재 분사가 쓰여야 한다.

'The company, which was founded in 1906 and employs an estimated 50,000 people, has gained ~'에서 우선 'which was'를 없애고 비제한 후치 수식으로 전환하면 'The company, founded in 1906 and employing an estimated 50,000 people, has gained ~'가 되고 여기서 'founded in 1906 and employing an estimated 50,000 people'을 주어 앞으로 보내 분리된 전치 수식을 만든다.

C : 'estimated(추정되는 바)'가 있으면 복수여도 상관없이 부정관사(an)를 사용한다.

[해석] 1906년에 설립되고 추정되는 바 5만 명을 고용하고 있는 이 회사는 규모와 전통 면에서 명성을 얻고 있다.

 

 

[ET23-3-2]0813. [홍익대학교 2010]

Ragtime is (A)[a] musical form that synthesizes folk melodies and musical techniques (B)[into] a brief quadrille­like structure, (C)[designed] to be (D)[playing] on the piano.

[ET23-3-2]0813. [부정사의 능동과 수동]

정답 - D : [playing] → [played] : 선행사가 'a brief quadrille-like structure'이고 그 뒤에 관계절 'which is designed ~'에서 'which is'가 생략되고 만들어진 것이므로 부정사의 의미상의 주어도 'a ~ structure'이고 ‘연주되도록 만들어진’의 뜻이 되어야 한다. 따라서 수동형 부정사가 쓰여야 한다.

[해석] 래그타임은 포크 멜로디와 음악적 기교를 결합하여 피아노에서 연주되도록 만들어진 쿼드릴과 같은 짧은 구조로 만든 음악 형태이다.

 

 

[ET23-3-3]0814. ⋆ [영남대학교 2009]

The idea of a community (A)[chipped] in to receive a result greater than they could possibly achieve individually (B)[makes] me (C)[think of] open-source ... (D)[as in] software development and idea sharing.

[ET23-3-3]0814. [동명사의 능동과 수동]

정답 - A : [chipped] → [chipping] :

chip in : if people chip in, they each give some money to help pay for something : 돈을 추렴하다, 기부하다

: 동명사의 의미상의 주어가 'a community'이므로 능동형 동명사인 'chipping'을 써야 한다. 'chipping'은 후치 수식 분사가 아니다. 후치 수식이면 'idea of'에 이어지지 못한다. 지금은 수동형 동명사는 아니지만 수동형 동명사라면 'being chipped'여야 한다.

D : as I do (= think of open-source) in ~

software development ← development of software

idea sharing ← sharing of ideas

[해석] 공동체의 구성원들이 각자 어떻게든 성취할 수 있는 것보다 더 큰 결과를 얻기 위해서 구성원들이 돈을 추렴한다는 생각은 나로 하여금 소프트웨어의 개발과 아이디어의 공유의 경우에서와 마찬가지로 소스 공개에 대해 생각나게 한다.

[PT23-1]0815. ⋆ [계명대학교 2004-1]

Reading is to the mind ________ food is to the body.

(A) so           (B) that             (C) what             (D) for

[PT23-1]0815. [A is to B what C is to D]

정답 - C : A is to B what C is to D = A is to B as C is to D : A와 B의 관계는 C와 D의 관계와 같다.

[해석] 독서와 정신의 관계는 음식과 신체의 관계와 같다.

Posted by 연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