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 https://youtu.be/qeH9vdKFJP8
#1. (A)[Not lost on] the provost was the fact that cooperating with Sinskey might help mitigate any punitive backlash he might suffer for his inadvertent involvement in this crisis. But now Sinskey has me in custody.
As soon as the plane had parked inside the government hangar at Ataturk Airport, Sinskey and her team had deplaned, and the head of the WHO ordered the provost and his few Consortium staff members (B)[to stay aboard].
The provost had attempted (C)[to step] outside for a breath of air but had been blocked by the stone-faced pilots, who (D)[reminded him that] Dr. Sinskey had requested that everyone (E)[remained aboard].
#2. Woodrow Wilson's administration (F)[was openly hostile to] black people. Wilson was an outspoken white supremacist who believed that black people were inferior. During his campaign for the presidency, Wilson promised to (G)[press for] civil rights. But once in office he forgot his promises. Instead, Wilson ordered that white and black workers in federal goverment jobs (H)[are segregated from] one another. This was the first time such segregation had existed since Reconstruction! When black federal employees in Southern cities (I)[protested the order], Wilson had the protesters fired. In November, 1914, a black delegation asked the President (J)[to reverse] his policies. Wilson was rude and hostile and refused their demands.
#1. (A), (B), (C), (D), (E) 중에서 문법적으로 잘못된 것은?
#2. (F), (G), (H), (I), (J) 중에서 문법적으로 잘못된 것은?
[#1. 해석] 프로보스트에게 효과가 없지 않은 것은 신스키와 협력하는 것이 그가 이번 위기에 부적절하게 개입한 것에 대해 그가 겪을 수 있는 징벌을 완화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도 있다는 사실이었다. 하지만 이제 신스키는 나를 구류시켜 놓고 있다.
비행기가 아타튀르크 공항의 정부 격납고 안에 파킹 하자마자 신스키와 그의 팀은 비행기를 떠났고 WHO의 수장은 프로보스트(ㅎ 처장쯤)와 그의 몇 안 되는 직원들에게 비행기 탄 채로 있을 것을 명령했다.
프로보스트는 숨을 쉬려 밖으로 나가려 했지만 굳은 얼굴의 파일럿들이 막아섰는데 이들은 그에게 신스키 박사가 모든 사람이 탑승 상태를 유지하라고 요청했다는 점을 상기시켰다.
[#2. 해석] 우드로 윌슨 행정부는 흑인에 대해서 공개적으로 적대적이었다. 윌슨은 흑인들은 열등하다고 믿었던 노골적인 백인 지상주의자였다. 대통령 선거 운동 때 윌슨은 민권 운동을 밀어붙이겠다고 약소했다. 하지만 일단 취임하자 윌슨 대통령은 약속을 잊었다. 오히려 윌슨은 연방 정부의 직원들의 백인과 흑인을 서로로부터 분리시키라고 명령했다. 이는 재편입 이래로 그런 분리 책이 존재했었던 맨 처음이었다. 남부 도시들의 흑인 연방 직원들은 그 명령에 항의했을 때 윌슨은 항의한 직원들을 해고했다. 1914 년 흑인 하원 의원단이 대통령에게 그의 정책들을 되돌릴 것을 요청했다. 윌슨은 무례하고 적대적으로 그들의 요구들을 거절했다.
[정답] 1. (E)[*remained aboard] → [remain aboard]
2. (H)[*are segregated from] → [be segregated from]
[어휘 또는 표현]
be lost on ~ : ~에 효과가 없는
not lost on ~ : ~에 효과가 없지 않은
backlash : 반발, 반동
But now Sinskey has me in custody. "하지만 신스키는 나를 구류시켜 놓고 있다."
supremacist [səpréməsist] : (특정 집단의 우수성을 주장하는) 지상주의자
[해설]
'necessary, etc'(형용사) 뒤에 따르거나 'request, order, etc'(동사) 뒤에 따르거나 '동격 명사' 뒤에 따르는 '명령 가정법(Mandative subjunctive)을 일괄해서 '청유형 형용사, 동사, 동격 명사'로 용어를 통일하기로 한다. '원형'이나 'should 원형'이 사용되어야 한다.
Dr. Sinskey had requested that everyone (E)[*remained aboard].
→ Dr. Sinskey had requested that everyone (E)[remain aboard].
Wilson ordered that white and black workers in federal goverment jobs (H)[*are segregated from] one another.
→ Wilson ordered that white and black workers in federal goverment jobs (H)[be segregated from] one another.
'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so ~ that ~'에서 종속절의 주절화 + 주절의 종속절화 2 (0) | 2022.12.11 |
---|---|
strike 특수 형식 (2) (0) | 2022.12.08 |
양태 as의 도치형과 기능사 (0) | 2022.12.04 |
정중한 요청의 should 가정법 도치형 (0) | 2022.12.01 |
분사 후치 수식 내의 강조형 (0) | 2022.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