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 Z94COt7KSDs
#1. "Hey kid. You really know how to pick winners," Sidney enthused. "I oughta take you to Vegas for a weekend."
"Don't bother, Dad. Those six-foot showgirls aren't my type."
"What makes you so sure--I mean, that's not what I mean," Sidney protested, finally organizing his thoughts and urging, "Come on Sandy, isn't this a dream (A)[ ] true? Don't you want to buy anything?"
"Yeah," his son responded sardonically. "As Groucho said, 'I'd like to buy back my introduction to Greg Morgenstern.'"
#2. Yury thanked Allan heartily for his promises to help, and said straight off that Marshal Beria, Yury's boss, intended to give the Swedish expert a one-off 100,000 American dollars, on condition that Allan's help led to the production of a bomb.
--We'll figure it out, said Allan.
The contents of the bottle shrank steadily while Allan and Yury talked about everything on heaven and earth (except politics and religion). They also touched upon the atom bomb problems and although the topic really belonged to the days to (B)[ ], Allan decided to give him a couple of simple tips and then a couple more.
#1. 빈칸 (A)에 본문에서 한 단어를 찾아서 적합한 형태를 넣으시오.
#2. 빈칸 (B)에 빈칸 (A)의 답을 알맞은 형태로 넣으시오.
[#1. 해석] "헤이, 아들. 너 정말 이기는 거 찍을 줄 아네. 주말에 라스베이거스에 데려가야겠네."라고 시드니는 열광했다.
"아버지, 신경 쓰지 마삼. 180 넘는 쭉쭉 빵빵은 제 타입 아니에요."
"우찌 그랴 확신 하누. 내 말은 그런 뜻은 아닌데." 시드니는 따지듯 말하면서 결국 생각을 정리해서 따졌다. "아이고 샌디, 이건 꿈이 실현된 거잖아? 사고 싶은 게 아무것도 없다는 겨?"
아들은 빈정대듯 말했다. "사고 싶지요. 그루초(마르크스)가 말했듯이 '전 그렉 모르겐 슈타인 교수 소개받은 거 돈 주고 취소하고 싶어요."
[#2. 해석] 유리는 돕겠다는 약속에 진심으로 감사하며 유리의 보스인 베리야 원수가 알란의 도움이 폭탄 제조로 이어진다는 조건으로 이 스웨덴 전문가에게 단발로 10만 미국 달러를 줄 의향이 있다고 즉시 말했다.
"뭐, 그야 예상되는 거죠."라고 알란은 말했다.
술 병에 든 것이 꾸준히 줄어들면서 알란과 유리는 지상의 모든 것에 대해 얘기했다. (ㅎ 정치와 종교만 제외하고) 이들은 핵폭탄 문제들도 언급하기는 했고 그건 앞으로의 시대에 속한 주제지만 알란은 두 개의 정보를 주고 또 두 개를 더 주었다.
[정답] 1. (A) : come 2. coming
[어휘 또는 표현]
oughta = ought to
six-foot showgirls : 1 피트는 12 인치 [ㅎ 발 하나], 1/3 야드, 30. 48 센티미터 : 대략 180이 넘는 쭉 빠진 여자들
showgirl : (뮤지컬이나 나이트 쇼 등에서 화려하게 차려입은) 코러스 걸; 연기보다 용모에 더 자신 있는 여배우
straight off[away] : 즉시, 곧
straight out : (구어) 솔직히; 철저하게; 단도직입적으로 [ㅎ 세금 없이 그냥]
one-off : 한 사람[한 번]만의 (것)
[해설]
the days to (B)[come]
앞으로의 날들을 수식할 때 현재 분사는 전치 수식으로 부정사는 후치 수식으로 사용한다.
[상태 수동태와 후치 수식]
It really is a dream come true. "그건 정말로 꿈이 실현된 것이다."
'a dream come true'는 관계절로 전환하면 'a dream which has come true'와 같은 뜻이다. [실현된 결과적 용법]
관계절에서 'has come'은 'having come'으로 전환할 수 없다. 일단 상태 수동태로 전환시킨다.
'a dream which is come true'로 상태 수동태로 사용할 수 있다. [실현된 현재의 상태를 중시하는 표현]
Spring has come. "봄이 왔다."
Spring is come. "봄이 와 있다."
God is come to save us! "하나님이 와 계시네. 우릴 구하러."
'a dream which is come true'의 관계절에서 'which is'는 생략될 수 있다.
= 'a dream come true'
이처럼 상태 수동태일 때 후치 수식의 과거 분사가 뒤에 사용될 수 있다.
Her graduation is a dream come true. "그녀의 졸업은 실현된 꿈이다. (꿈이 실현된 것이다.)
'a dream which has come true' → 'a dream which is come true' → 'a dream (which is) come true."
Was this a dream come true for you? "이것이 너에게 실현된 꿈이었어?"
→ 'a dream which had come true for you' → "a dream which was come true for you'
시점이 과거여서 'had pp'와 'was pp'가 사용된 차이가 있을 뿐이다.
It really is a dream coming true. The dream is in the process of coming true; it has not come true yet.
"그건 정말 실현되고 있는 꿈이야. 꿈은 실현되는 중인 거야. 즉 꿈은 아직 실현되지 않았어."
현재 분사 'coming'을 사용하면 진행의 의미가 그대로 나타나게 된다.
It really is a dream that comes true. This alternative describes the moment a dream comes true.
"그건 정말로 실현되는 꿈이야. 이 표현은 꿈이 실현되는 순간을 묘사한다."
현재형의 관계절을 사용하면 즉시 동사로 꿈이 실현되는 순간을 묘사하는 표현이다.
What I saw was a dream coming true.
→ I saw a dream coming true. "난 꿈이 실현되고 있는 것을 보았어."
일종의 유사 강조 구문으로 '목적어 + 현재 분사'를 지각 동사가 취한 것과 다름없다.
[본문]
Come on Sandy, isn't this a dream (A)[come] true? "아이고 샌디, 이건 꿈이 실현된 거잖아?"
상태 수동태로 과거 분사가(come) 후치 수식이 된 형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