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 강의 유튜브 연우리 영어] → https://youtu.be/RO4T2_ZJuLg
#1. Allan woke when the driver kindly nudged him and announced that they had now reached Byringe station. Shortly afterward, the driver maneuvered the suitcase out the front door of the bus, (A)[ ] Allan close behind.
#2. Noah Bishop and his wife and partner, Miranda, were no more than half an hour later than planned in reaching the small, innocuous house in its normal Charlotte suburban neighborhood with its almost cookie-cutter houses, each (B)[ ] neat, spacious yards and the privacy of hedges and well-pruned trees, and the occasional nice, well-maintained fence.
#. 빈칸 (A)와 (B)에 공통으로 들어갈 단어는?
[#1. 해석] 운전수가 친절하게 가볍게 찌르고는 이제 Byringe(ㅎ 스웨덴어, 브린지링엔) 역이라고 말했을 때 알란은 깨어났다. 직후에 운전수는 슈트케이스를 버스 앞문 밖으로 옮겨주었고 알란은 근처에 서 있었다.
[#2. 해석] 노아 비숍과 그의 아내이자 파트너인 미란다는 계획보다 불과 30 분 더 늦게 도착했다. 샬로트의 교외 지역에 있는 흔히 보이는 작고 눈에 거슬리지 않는 집에 도착했다. 그 지역은 거의 붕어빵 같은 집들이 있었는데 각각의 집에는 정돈된 널찍한 마당과 울타리와 잘 가지친 나무들이 있고 그리고 가끔은 잘 관리된 멋진 담이 쳐져 있었다.
[정답] (A)와 (B) : with
[어휘 또는 표현]
cookie-cutter : 같은 모양의, 빼쏜; 진부한
no more than half an hour : 'no more than'은 비절 비교로 많지 않은 쪽에서 같다는 의미로 '겨우','고작' 등의 뜻이다.
no more than half an hour later than : 'later than'은 절 비교다. 비절 비교와 절 비교가 같이 사용된 예문이다.
'y late'가 있으므로 'x late'가 생략되어 숨어있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They were an hour later than planned in ~'의 구조이므로 두 개의 절로 분리해본다.
They were an hour y late
they were planned to be x late
'y late'는 'later'로 전환되고 'x'는 올라가서 'than'이 되고 반복되는 'late'는 탈락시키고 'they were'와 'to be'는 생략한다.
참고로 'plan'는 'it is planned that ~' 구문이 허용되고 S-S 상승도 드물게 사용된다.
본문은 'it was planned that they would be x late'에서 상승이 발생하여 'they were planned to be x late'가 된 경우이다.
It is planned that the restaurant will open next month. Thus, it is a restaurant which is planned to open.
"그 레스토랑은 다음 달에 오픈할 예정이다. 따라서 바로 레스토랑이 오픈하도록 예정되어 있는 것으로 이해한다."
상승을 이용하면 앞의 문장은 'The resaurant is planned to open next month.'가 된다.
In the future, it is planned that users will be able to rent out their unused parking spaces through the app.
"미래에는 사용자가 앱을 이용해서 사용되지 않고 있는 주차 공간들을 임대할 수 있도록 계획이 되어 있다."
Things don't always turn out the way they were planned to. "일은 계획되었던 대로 항상 되는 것이 아니다."
'대부정사'를 사용한 것은 S-S 상승이 되었다는 걸로 이해하면 된다.
[해설]
'with 구문에서 '(with) each with N'은 흔히 사용되는 표현으로 'each having N'보다 거의 압도적으로 'each with N'을 사용한다.
'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앞 문장을 선행사로 하는 비제한 후치 수식 분사 (0) | 2022.07.08 |
---|---|
Local Negation과 Sentence Negation (0) | 2022.07.08 |
lay waste (0) | 2022.07.08 |
분리된 요약의 관계사 (2) (0) | 2022.07.08 |
a works와 단수 일치 그리고 유한 집합 (0) | 2022.07.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