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법2021. 1. 9. 23:06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gSDC6uFC9cM

#  "There was a senior hematologist (A)[on the board] by the name of Dr. Carl Moore, who happened to be (B)[a friend of my father's] from St. Louis." Frei remembered years later. "I had always considered him (C)[a friend], too. But my presentation struck him (D)[to be] outrageous. He didn't (E)[deal in] pediatric disease like childhood leukemia, so he talked about Hodgkin's disease in adults. ~ ~"

 

#  (A), (B), (C), (D), (E) 중에서 문법적으로 잘못된 것은?

 

[해석]  "칼 무어란 원로 혈액학자 한 분이 위원회에 계셨는데 우연찮게도 세인트루이스 출신의 제 아버님의 친구분들 중의 한 분이셨다. 프레이는 후일 기억했다. "저도  항상 그분을 벗이라고 생각했죠. 하지만 제 프레젠테이션은 그분에게는 터무니없는 것으로 여겨졌죠. 그분은 소아 백혈병 같은 소아과 질환을 다루지 않으셔서 성인의 호지킨병에 대해 말씀하셨죠. ~ ~"

[정답]  (D)[to be] → [as]

 

[어휘 또는 표현]

hematologist [hìːmətάlədʒist] : 혈액학자 : (Gk haimat- haima : blood → New Latin hemat, hema- : blood)

leukemia [ljukíːmiə: [의학] 백혈병 : 백혈구계 세포의 종양성 증식 : (Gk leuco-, leuko- : white + emia : Gk -(h)aimia : blood)

leukocyte [lúːkəsàit] : 백혈구 : (Gk leuko : white + Gk cyt- : cell) 

pediatric [pìːdiǽtrik] : 소아과의  : (E paedo- : of children + Gk iatros : physician) ['ped'는 아이 또는 발, ㅎ pedophile(어린이에 대한 이상 성욕자)]

Hodgkin's [hάdʒkinz] disease : 호지킨병 : 림프선의 부기가 전신에 퍼지는 병

(A)[on the board]

인위 집단으로 앞에 전치사로 'on'을 사용한다. 자연 집단 예컨대 'family'면 'in'을 사용한다.

(B)[a friend of my father's = one of my father's friends

이중 소유격, 후치 속격에 해당되는 표현이다.

[해설]

I had always considered him (C)[a friend]

주어 consider A as / B = consider A to be B = consider A B

But my presentation struck him (D)[to be → as] outrageous. 

주어 strike A as B : A에게 주어는 B라고 생각되다

뇌의 영상 화면을 때린다는 뜻이다. '주어 = as ~'의 관계를 나타내는 특수 형식이다.

 

Posted by 연우리
문법2021. 1. 9. 03:42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VuIJHKwsiKQ

#  Why did the patrol stop? Why didn't they just keep going? Lingering in the neighborhood is exactly what the priest told them not to do. The priest went back to  the soldiers and (A)[pleaded with] them again. If they stopped the tear gas, he said, he would get the crowd (B)[to stop throwing] stones. The soldiers didn't listen. Their instructions were to get tough and be (C)[seen get tough] with thugs and gunmen. The priest turned back toward the crowd. As he did, the soldiers fired off another round of tear gas. The canisters fell at the feet of the priest, and he staggered across the street, (D)[leaning on] a windowsill as he gasped for air. In a neighbored so devout (E)[that four hundred] people would show up for mass on a typical weekday, the British Army gassed the priest.

 

# (A), (B), (C), (D), (E) 중에서 문법적으로 잘못된 것은?

 

[해석]  순찰차는 왜 멈췄을까요? 왜 그냥 계속 가지 않았을까요? 동네 근처에서 머문 것은 정확하게 신부님이 그들에게 하지 말라고 했던 것이다. 신부님은 군인들에게 가서 다시 설득했다. 최루탄을 멈추면 사람들을 설득해서 돌 던지지 않게 하겠다고 신부님은 말했다. 군인들을 듣지 않았다. 그들의 행동 지침은 거칠게 굴고 폭력배와 총을 든 녀석들에게는 거칠게 보이라는 것이었다. 신부님은 사람들에게 다시 돌아갔다. 그럴 때 군인들은 최루탄을 한 무더기로 쏘았다. 최루탄 통들이 신부님의 발밑에 떨어졌고 신부님은 비틀거리며 거리를 가로질러 유리 창턱에 기대어 숨을 쉬려했다. 평일날에 4백 명이 미사에 참가하는 신성한 동네에서 영국군이 신부님을 독가스로 중독시킨 것이었다.

[정답] (C)[seen get tough → seen to get tough]

 

[어휘 또는 표현]

patrol [pətróul] : [군사] 정찰[순찰] 대; 정찰[초계] 기; 순찰자; 순찰차; 순회, 순시 : (F : patte : paw +  gadrouille : dirty water → F patrouille : paddle in mud → patroulle → German Patrolle) [손으로(paw) 더러운 물이나 흙탕(mud)을 저어보는 데서 유래했다고 하는데 어원이 도움이 안 된다. 그냥 외우자.]

plead [pliːd] : 탄원하다, 간청하다; 변호하다, 변론하다; (변호, 변명으로) 항변하다  : (L placere : to please) [복잡한 어원 형성 과정은 무시하고 'please'로 기억하자.]

thug ʌg] : 폭력배, 악당  : (Hindi thag : swindler, cheat) [인도 식민지에서 영국인들이 불량한 인도인들을 부르던 인종 차별적인 언어에서.]

canister [kǽnəstər: 작은 깡통; (대포) 산탄  : (Gk kanna : cane, reed → Gk kanastron : wicket, basket → L canistrum, E cane) [어원과 상관없이 'can'(깡통)으로 연상하자.]

devout [diváut] : 경건한, 독실한; (한정적)[언행·소망 등이] 성실한; [사람이] 열성적인 : (L devovere → L devotus : devoted → O F devot, E devote) ['devote'와 같은 어원에서]

devote [divóut] : 바치다; 헌납하다; 일신을 바치다, 헌신하다  : (L de- : 강화사 또는 formally + vovere : to vow(맹세하다)) ['vote'도 맹세하고 하는 거죠.]

he would get the crowd (B)[to stop throwing] stones

'get'이 설득적 사역 동사임을 해석에 살렸다. 돌 던지던 것을 중단한 것이므로 동명사를 사용한 것은 적합하다.

[해설]

to get tough and be (C)[seen to get tough] with thugs and gunmen

수동은 본 것을 추론으로 '거치게 행동한 것'이므로 전후 관계가 발생해서 'to 부정사'를 사용해야 한다.

 

Posted by 연우리
문법2021. 1. 8. 16:17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j6t6K1ORScE

#  "Where is Bonnie?"

  "Of course, you can bring Quinn. He's been on my preferred list from the beginning. And who is Montalvo?"

  He wasn't going to give up. "A friend."

  "(A)[     ] can keep you safe? Now I wonder who would be able to ... Ah, I think I know. There was another man in that forest who was woods-savvy besides your Joe Quinn. I had to use all my wits to avoid him a few times. He was very stimulating." He was silent a moment. "But I really don't want you to be kept safe, Eve. ~ ~"

 

#  빈칸 (A)에 들어갈 단어는?

 

[해석]  "보니는 어디 있어요?"

   "물론, 퀸을 데려올 수 있죠. 그는 처음부터 선호 리스트에 올라와 있죠. 그리고 몬탈보는 누구여?"

   그는 멈출 작정이 아니었다. "친구."

   "당신을 계속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친구 말인가? 이제 누가 그럴 수 있을지 궁금하네. . . 아하, 이제 알겠네. 거 숲에서 조 퀸 말고도 숲을 잘 아는 다른 놈이 있더군. 몇 번인가 자식을 피하기 위해 기지를 다해야 했어. 자식 날 자극하데." 그는 잠시 침묵했다. "하지만 이브, 당신을 계속 안전하게 못 하지. ~ ~"

[정답]  (A) : Who

 

[어휘 또는 표현]

savvy [sǽvi] : 영민한; 잘 아는, 경험이 풍부한; 실제적 지식이 있는; (경험에서 얻은 실제적 지식; 알다, 이해하다 (L sabi : know, saber : to know, L sapere : to be wise)

[해설]

He wasn't going to give up. "A friend."

"(A)[Who] can keep you safe?

'말 이어가기 관계사'에 해당된다. 의문사가 아니다. 'A friend (,who can keep me safe)를 내가 이어서 말하면서 의문 부호를 붙여 질문하고 있다.

Posted by 연우리
문법2021. 1. 8. 16:00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 PicID62nZXc

#  "How can you feel like that? She's innocent. She's the victim, Joe . . ."

  "See, I'm hurting you again. God, I don't want to do that. I'm trying to work it out, but it's hard. I just hope to God it (A)[       ] Kistle who killed Bonnie. We have to put an end to this."

 

#  다음 중에서 빈칸 (A)에 들어가기에 적합한 것은?

A. is        B. was         C. will be       D. had been       E. would be

 

[해석]  "어떻게 그렇게 느낄 수 있나요? 겐 잘못이 없어요. 조, 그냥 희생자일 뿐 ..."

   "이봐요, 다시 자길 괴롭히고 있잖아요. 하나님 그러고 싶지 않아요. 해결하려고 애쓰지만 어려워요. 하나님 그냥 키슬이 보니를 죽인 게 맞으면 좋겠어요. 이건 우리 그만 끝내야 해요."

 

[해설]

'hope'는 'wish'와 달리 '모를 때 희망하는 것'이므로 주로 미래에 대해 많이 사용하지만 과거에 대해서도 모르면 사용할 수 있다. 강조 구문이 따르지만 'killed'가 과거이고 모르는 상황에 대한 'hope'이므로 'was'를 사용하는 것이 맞다.

Posted by 연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