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법2021. 1. 6. 05:16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knOiLdbegBI

#   ~ ~ In the beginning, the two took calls from people who knew the Reynolds family, or who just wanted to express their sympathy. But then he and Reynolds (A)[began to talk] about what the murder said about California's justice system, and calls (B)[started coming] in (C)[from clear across] the state.

   Reynolds went back home and called a meeting. He invited everyone he thought (D)[that] could make a difference, and they sat in his backyard around (E)[a long wooden] table next to his outdoor barbecue. ~ ~

 

#  (A), (B), (C), (D), (E) 중에서 문법적으로 잘못된 것은?

 

[해석]  ~ ~ 처음에 두 사람은 레이놀즈 집안을 아는 사람들과 그냥 위로의 말을 전하기 원하는 사람들로부터 전화를 받았다. 하지만 그 후로 그와 레이놀즈는 그 살인이 캘리포니아 주의 사법 제도에 대해 뭘 말하는지에 대해 논의하기 시작했고 주 전역에 걸쳐서 전화가 들어오기 시작했다.

   레이놀즈는 집으로 가서 회의를 소집했다. 그는 변화를 만들 수 있다고 생각하는 모든 사람들을 초청해서 집 뒤의 바비큐 장소 옆의 긴 나무 의자 주변에 앉았다. ~ ~

[정답]  (D)[that] → [   ]

 

[어휘 또는 표현]

clear : (부사) 완전히, 모조리; 줄곧

from clear across ~ : ~의 전역에 걸쳐서, ~ 멀리 건너서

A : "It's a mighty cold day for a lady to be out in," said her escort. "Have you come a fer piece?"

"숙녀가 나가 있기에는 정말 추운 날씨네요."라고 그녀의 에스코트는 말했다. "멀리서 오신 거죠?"

B : "Oh, yes, from clear across the other side of town," she said, warming to the kindness in his voice. 

"오, 그래요. 멀리 시내 반대편에 건너왔어요."라고 그녀는 말하면서 그의 친절한 말에 따뜻함을 느꼈다.

[Gone with the Wind by Margaret Mitchell]

a fur piece : a long distance (fur : far)

It's a fur piece to the library. You'd best take the bus instead of walking. It's a pretty fur piece to the nearest big town.

"도서관까지는 멀어요. 걷지 말고 버스를 타야 해요. 가까운 큰 마을까지는 상당히 먼 거리에요."

he and Reynolds (A)[began to talk] ~

calls (B)[started coming] in ~

'시작 동사'는 부정사와 동명사를 다 사용할 수 있지만 보통 처음 시작이면 부정사를 사용하고 하던 일을 다시 시작하면 동명사를 사용한다.

'began to talk'는 처음 시작하는 것이고 'started coming in'은 처음엔 지인들, 이어서 주 전체에서 들어오는 것이므로 'coming'을 사용하고 있다.

(E)[a long wooden table]

객관적일수록 명사에 가깝게 위치시키므로 객관적인 'wooden'(재료)이 'table'에 가깝게 위치하게 된다.

얼핏 보면 대상을 한정하는 것이므로 정관사를 쓸 것 같지만 저자에게는 특정한 것이지만 독자들에겐 불특정한 것이므로 부정관사를 사용하고 있다.

[해설]

[주어 고정 조건(Fixed subject conditions)]

*I have something to say about the person who John says that θ talked to you.

"존의 말로 네게 얘기했던 그 사람에 대해 할 말이 있다."

접속사 'that'을 사용하고 그 절에서 주어를 이동시키고 흔적을 남길 수는 없다. 이를 '주어 고정 조건'(fixed subject condition)이라 한다.

I have something to say about the person who John says that you talked to θ.

"존 말로 네가 말했던 그 사람에 대해 할 말이 있다."

​여기선 주어는 'you'고 'to'의 목적어 자리에 흔적을 남긴 것으로 문제가 없다.

 

 

I have something to say about the person who / (  John says θ talked to you. 

 

이럴 경우에는 'that'를 탈락시키면 되고 그러면 'John says'는 삽입적 표현이 된다. 삽입적 처리가 되고 나면 주격 관계사도 생략할 수 있다.

[본문]

*He invited everyone he thought (D)[that] could make a difference, ~

→ He invited everyone he thought (D)[ ] could make a difference, ~

주어 고정 조건을 충족시키려면 'that'는 탈락시켜 'he thought'를 삽입 처리하고 나면 'everyone' 뒤에 주격 관계사는 생략해도 된다.

 

 

Posted by 연우리
문법2021. 1. 5. 05:55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 6ynQY8v4FfE

#   The wooden platform was evidently (A)[no longer] safe to (B)[to walk on it]. On the outermost planking you could still read a painted sign : Do Not Walk on the Track. The track was certainly not dangerous (C)[to walk on],  thought Allan. But who in his right mind (D)[would] voluntarily (E)[walk on] the platform?

 

#  (A), (B), (C), (D), (E) 중에서 문법적으로 잘못된 것은?

 

[해석]  나무로 된 플랫폼은 위에서 겉기에 안전한 상태가 아닌 게 분명했다. 제일 바깥 부분의 판자에는 '플랫폼 위로 걷지 마시오'라고 적힌 페인트로 칠한 것을 읽을 수 있었다. 플랫폼은 걷기에 위험하지 않은 게 확실하다고 알랜은 생각했다. 하지만 제정신인 사람이라면 플랫폼 위를 자진해서 걷지는 않을 것이었다.

[정답]  (B) : [to walk on it] → [to walk on]

 

[어휘 또는 표현]

track : 철도 선로, 궤도(rails); (미) 플랫폼

[해설]

'safe'와 'dangerous'는 'easy'와 마찬가지로 'easy 구문'(Easy construction)인 O-S 상승 구문에 해당한다.

To walk on the platform was not safe. → 외치 → It was not safe to walk on the platform

→ O-S 상승  The platform was not safe to walk on Ø.

O-S 상승 후에 흔적 자리에 대명사를 사용하면 안 된다.

To walk on the track was not dangerous. → 외치 → It was not dangerous to walk on the track

→ O-S 상승 The track was not dangerous to walk on Ø.

'B'는 흔적 자리에 대명사가 'it'가 있어서 틀렸고 'C'는 없어서 맞다.

 

Posted by 연우리
문법2021. 1. 4. 21:14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M9uo1sjwO7U

#   Langdon gave Sienna an impressed nod, apparently understanding her motives. If the police began questioning tourists, they might hear that Langdon and Sienna were headed (A)[   ] the costume gallery, which, according to the map on the wall before them, was at the far western end of the palace . . . as far as possible from the direction  (B)[    ] which they were now headed.

 

#  빈칸 (A)와 (B)에 들어갈 전치사가 맞게 짝 지어진 것은?

A.  (A) : for       (B) : in

B.  (A) : to        (B) : for

C.  (A) : for       (B) : for

D.  (A) : to        (B) : for

E.  (A) : by       (B) : in

 

[해석]  랭던은 시에나에게 인상적이라는 듯 머리를 끄덕이는데 시에나의 의도를 이해한 것 같았다. 만약 경찰이 관광객들에게 질문을 던지기 시작하면 랭던과 시에나가 코스튬 갤러리로 향해 갔다고 듣게 될 건데, 그들 앞의 벽에 붙은 지도에 따르면 그곳은 궁전의 서쪽 먼 끝에 있었고. . . 그들이 이제 가는 방향과는 가장 먼 곳이었다.

[정답]  A. (A) : for   (B) : in

 

[해설]

I am headed to the airport.

I am headed for the airport.

거의 같은 뜻이지마 'to'를 사용하면 거기 도착할 가능성이 더 많고 'for'를 사용하면 방향 표시로 우회하거나 딴 데로 갈 가능성이 조금 커진다.

The plane is heading to Dubai. "비행기는 두바이로 다가가고 있다."

비슷하지만 'be heading'은 더 능동적이고 'be headed'는 더 수동적이다. 차량의 운전자라면 'heading'를 선호하고 얻어 탔거나, 걷거나 달릴 경우도 주도하기보다는 앞선 사람을 따라간다면 'headed'를 선호한다. 

'to'를 사용할 경우에는 의도된 목적지(destination)를 나타낸다.

Oh, no! The plane is heading for those mountains. "안 돼! 비행기가 산으로 향하잖아."

'for'를 쓴 경우에는 의도된 목적지가 아니고 방향(direction)을 뜻할 수 있다.

The plane is heading for Dubai.

'for'를 쓴 경우도 목적지를 나타낼 수도 있기는 하다.

The plane is heading for Dubai at the moment, and will turn towards Cairo once it clears the English Channel.

"비행기는 현재 두바이로 향하고 있는데 일단 영국 해협을 벗어나면 카이로로 향할 것이다."

목적지를 나타낼 순 있지만 방향이 바뀔 수도 있다.

We're headed for the beach this weekend, so could you feed our cat?

"이번 주말에 우리 해변으로 갈 건데, 너 우리 고양이 대신 밥 좀 줄래?"

보통 'be headed for'를 많이 사용한다.

[본문]

Langdon and Sienna were headed (A)[for] the costume gallery

도망치듯 가는 것이고 방향이므로 'for'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B. 'to'를 사용한 것은 문맥 상 적합하지 않다.

We are headed in the direction of the airport. "우리는 공항 방향으로 향하고 있다."

뒤에 'direction'이 따르면 전치사는 'in'을 사용해야 한다.

[본문]

as far as possible from the direction (B)[in] which they were now headed

두 개의 절로 나눠보면 'they were now headed [in the direction]'이므로 동반 이동한 경우도 'in which'를 사용해야 한다.

[상징적 의미로 사용될 때]

겪게 되다  : if you are heading or headed for something, it is likely to happen to you soon

They're heading for disaster if they're not careful. "주의하지 않으면 재난을 겪게 될 거야."

The country is heading for recession. "이 나라는 불경기로 접어들고 있다."

think Sam's headed for a nervous breakdown. "내 생각에 샘은 신경 쇠약에 걸릴 거 같아."

'headed'가 사용된 경우인데 보통은 'heading'을 사용한다.

 

Posted by 연우리
문법2021. 1. 2. 18:12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xadENwjL_nY

#1.  "Behold the length," said Dr. Sewal. "We are looking at perhaps twenty-feet of bowel. Twenty feet, gentlemen! And this is only the small intestine. I have left the large bowel in situ. Contained within the belly of every single one of you is this most marvelous (A)[   ] organs. Think of it as you sit there, digesting your breakfasts. No matter your station in life, rich or poor, old or young, within the cavity of your belly you are like every other man."

 

#2.  It is sometimes said that butlers only truly exist in England. Other countries, whatever title is actually used, have only menservants. I tend to believe this is true. Continentals are unable to be butlers because they are as a breed incapable of the emotional restraint which the English race can capable of. Continentals - and by and large the Celts, as you will no doubt agree - are as a rule unable to control themselves in moments of strong emotion, and are thus unable to maintain a professional demeanor other than in the least challenging (B)[   ] situations. If I may return to my earlier metaphor - you will excuse my putting it so coarsely - they are a man who will, at the slightest provocation, tear off his suit and his shirt and run about screaming. In a word, 'dignity' is beyond such persons. We English have an important advantage over foreigners in this respect and it is for this reason that when you think of a great butler, he is bound, almost by definition, to be an Englishman.

 

#3.  "I've found . . . employment here, in the city." Disgusting though his work with Jack Burke might be. "It's enough to pay for tuition."

   "Your father contributes nothing?"

   "He has little to send."

   "I hope he was more generous with Sophia. She deserved better."

   Norris was startled by the mention of that name. "You know my mother."

   "While my wife Abigail was still alive, she and Sophia were the dearest (C)[  ] friends. But that was years ago, before you were born." He paused. "It was a surprise to us both when Sophia suddenly married."

   

# 빈칸 (A)와 (B)와 (C)에 공통으로 들어갈 단어는?

 

[#1. 해석] "보라 저 길이를."이라고 시월 박사는 말했다. "우린 아마도 20 피트 길이의 창자를 보고 있는 것이다. 20 피트! 그리고 이것은 오로지 소장이다. 대장은 원래의 위치에 두었다. 여러분 한 명마다 뱃속에 들어있다. 이 가장 놀라운 기관이. 여기 앉아서 아침 먹은 것을 소화시키고 있는 것을 생각해보라. 삶에서 어떤 신분이든, 가난하든 부자든, 젊든 늙었든 여러분은 배의 공동에서는 모든 다른 사람과 같습니다."

[#2. 해석] 때로 집사는 진정으로는 영국에서만 존재한다고 합니다. 실제로 어떤 직함을 사용하든 다른 나라들에는 오로지 남자 하인이 있을 뿐입니다. 저도 이를 사실이라고 믿는 편입니다. 대륙인들은 집사가 될 수 없는데 그것은 이들이 하나의 종족으로서 영국인들이 할 수 있는 감정의 절제를 할 수 없기 때문이다. 대륙인들 그리고 대체로 켈트족들은 여러분들이 확실히 동의하듯이 대개 감정이 격해진 순간에 스스로를 절제하지 못하고 그래서 가장 힘들지 않은 상황을 제외하고는 직업적인 품행을 유지할 수 없기 때문이다. 제가 이전의 비유로 돌아가서 말하면, 여러분이 제가 거친 표현을 사용하는 것을 용서하시면 이렇게 말하겠습니다. 이들은 아주 약간만 건드려도 불끈해서 정장과 셔츠를  찢어버리고 이리저리 나대면서 소리를 지르게 되는 사람입니다. 한 마디로 말하면 그런 사람들은 '품위'를 모르는 사람들입니다. 우리 영국인은 이점에서 외국인들보다 우월한 점이 있습니다. 그리고 바로 이러한 이유에서 위대한 집사를 생각하면 그는 거의 집사란 정의에 의해 영국인입니다.

[#3. 해석] "전 찾았어요. . . 여기 시내에서 일자리를." 잭 버크와 일하는 것은 혐오스러운 것이기는 했지만. "수업료를 내기에 충분해요."

   "자네 아버지는 아무것도 보태주지 않고?"

   "아버님은 보낼 게 거의 없으셔요."

   "자네 아버지가 소피아에게 더 후하게 대했으면 하는 생각이 드네. 소피아는 더 좋은 대우를 받았어야 했어."

   노리스는 그 이름이 언급된 것에 놀랐다. "제 어머니를 아시는군요."

   "내 아내인 애비게일이 여전히 살아 있었을 때 아내와 소피아는 서로 가장 소중한 친구였어. 하지만 그건 아주 오래 전이고 자네가 태어나기도 전이었지." 그는 잠시 말을 멈추었다. "소피아가 갑자기 결혼하게 되었을 때 그건 우리 두 사람에게 다 놀라운 일이었지."

[정답]  (A)와 (B)와 (C) : of

 

[어휘 또는 표현]

behold : ~을 주시하다, 지켜보다(observe); 바라보다, 보다; 이해하다; (감탄사) 보라; 주의하라  : see or observe (a thing or person, especially a remarkable or impressive one)  : (O E  be- : thoroughly  +  haldan : to hold)  [게르만어에서 '잡다'의 뜻으로 쓰이지만 '보다'의 뜻으로는 영어에서만 나타난다. ㅎ 눈으로 잡으라는 뜻으로 이해하자.] 

beholder : 보는 사람; 구경꾼

in situ [in sáitjuː] : 본래의 장소에; [의학] 자연 위치에, 정상 소재로; [건축] 원 위치에

station : (옛 투) 사회적 지위, 신분; 계급

demeanor : 행실, 처신, 품행; 표정, 태도

[해설]

[최상급의 'stilted style'(죽마 표현)]★★

stilted [stíltid] : [문체·말씨·태도 등이] 거드름 피우는, 으스대는; 딱딱한; 과장된; 허풍 떠는; 죽마에 탄 : (Middle E stilte, Low German stilte : pole)  [죽마를 타면 '딱딱하고', '으스대는' 모습에서]

[죽마(竹馬)(stilts)

강이나 저습지를 건너기 위해 고안된 도구. 동아시아에서는 아이들이 죽마 놀이를 즐겼는데 죽마고우(죽마지우)란 표현도 여기서 생겼다.

Tom is the tallest (*student) of all (the) students. "톰은 모든 학생들 중에서 가장 키가 큰 학생이다."

우리 말과 달리 영어는 'student'의 반복은 비문으로 간주됩니다. 지금은 역행 필수 생략이 적용된 경우입니다.

Tom is the tallest student of all (*(the) students).

뒤에 반복되는 'students'를 순행 필수 생략을 한 경우입니다.

He was the most dangerous (*enemy) of enemies. "그는 적 중에서도 가장 위험한 적이다."

'of' 뒤에 'all'도 없이 (부정형) 명사구(enemies)가 따르면서 반복되는 'enemy'가 필수 역행 생략된 경우이다.

We parted the best (*friends) of friends. "우리는 더없이 친한 치구로 헤어졌다." [직역 : 우리는 친구들 중에 최고의 친구로 헤어졌다.]

이런 표현들은 그냥 'the most dangerous enemy'나 'the best friends'로 써서 무방할 텐데 이런 식으로 조금은 딱딱하고 으스대는 마치 죽마를 탄 듯한 표현이라고 해서 'stilted style'이라고 한다.

She was not pretty at the best of times but after she'd been crying she looked really ugly.

"그녀는 가장 좋은 때에도 예쁘지는 않았지만 계속 울고 있었던지라 정말 추해 보였다."

Life on a Chinese river barge was, at the best of times, uncomfortable and monotonous. 

"중국 강의 바지선의 선상 생활은 가장 좋은 때에도 불편하고 단조로웠다."

해석할 때는 우리말에 맞게 의역하면 된다.

(A) this most marvelous (A)[of] organs

1830 년 보스턴을 배경으로 지도 교수가 학생들에게 한 말이므로 '죽마 표현'이 이해가 된다.

(B) the least challenging (B)[of] situations

1956 년 여름 집사 스티븐스가 쓴 글로 가즈오 이시구로는 시대와 상황에 맞게 '죽마 표현'을 사용했다.

(C) the dearest (C)[of] friends 

1830 년 보스턴을 배경으로 학장이 한 말로 역시 '죽마 표현'에 해당된다. 

 

Posted by 연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