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의 what'에 해당되는 글 4건

  1. 2023.01.16 지역의 what 2
  2. 2022.09.20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808회] 1
  3. 2022.07.26 지역의 what
  4. 2021.01.16 편입 문법 3,000제+ 강의 [137회]
문법2023. 1. 16. 23:47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 https://youtu.be/S6nkGbfQERc

 

# ~ ~ Many of these outbreaks reached truly pandemic proportions, (A)[beginning] in Florida or Mexico and stopping only when they reached the Pacific and Artic oceans. Disease played (B)[the same] crucial role in Mexico and Peru as it did in Massachusetts. How did the Spanish manage to conquer (C)[where] is now Mexico City? "When the Christians were exhausted from war, God saw (D)[fit to send] the Indians smallpox, and there was a great pestilence in the city." When the Spanish marched into Tenochtitlan, there were (E)[so many] bodies that they had to walk on them. Most of the Spaniards were immune to the disease, and that fact itself helped to crush Aztech morale.

# (A), (B), (C), (D), (E) 중에서 문법적으로 잘못된 것은?

[해석] 이런 (전염병의) 발생들 중 많은 것들은 정말로 세계적으로 유행하는 규모에 이르러 플로리다와 멕시코에서 시작해서 오로지 태평양과 북극해에 이르렀을 때야 중단되었다. 질병은 매사추세츠에서 그랬듯이 멕시코와 페루에서도 같이 중요할 역할을 했다. 현재로 치면 멕시코시티에 해당되는 지역을 스페인인들은 어떻게 정복했을까요? "전쟁으로 기독교인들이 피곤해졌을 때 하나님이 적합하게도 인디언들에게 천연두를 보내주셨고 그 도시에 커다란 역병을 있었다." 스페인인들이 테노치티틀란에 진군해 들어갔을 때 시체가 아주 많아서 그 위를 걸어가야만 했었다. 대부분의 스페인인들은 이 질병에 면역이 있었고 이러한 사실 자체가 아즈텍 왕국의 사기를 박살 내는데 도움이 되었다.

[정답] (C)[where] → [what]

[어휘 또는 표현]

God saw (D)[fit to send] the Indians smallpox

'see fit to 부정사'는 가목적어 없이 그냥 목적 보어인 'fit'을 먼저 사용한다.

[해설]

[지역의 'what'] ⋆⋆

By the end of the Ice Age, the area that is now New England had been literally reformed by glacial activity. "빙하 시대 말에는 지금으로 치자면 뉴잉글랜드인 지역은 글자 그대로 빙하 활동에 의해서 형성되었다."

아무 생각 없이 그냥 'New England had been ~'을 써도 될 것 같은데 그냥 쓰게 되면 빙하시대에 'New England'라는 명칭이 없었다는 논리적 모순이 생긴다. 이를 피하기 위해 ‘지금으로 치면 'New England'에 해당되는’이라는 관계절을 동원해서 논리적인 모순을 피한다.

The first European people to live in what is now Alaska were Russians who had journeyed over to the west coast of North America in search of gold. 

"지금으로 치자면 알래스카에 해당하는 곳에 살았던 최초의 유럽인들은 금을 찾아서 북아메리카의 서부 해안을 따라 건너온 러시아인들이었다."

'the area which is now Alaska'에서 선행사인 'the area'와 'which'를 융합시켜 'what'으로 바꿀 수 있는데 이 경우의 'what'을 ‘지역의 what’이라 칭한다.

During the 1600's skilled shoemakers were scarce in what is now the United States. "1600 년대에 솜씨 좋은 구두 제조인들이 지금으로 치면 미국에 해당되는 지역에는 드물었다."

해석할 때는 그냥 빨리 'in the United States'로 이해하면 된다.

Rachel Thompson was born in Georgia on December 24, 1786 and died near what is today Stilwell, Oklahoma, on April 22, 1876. 

"레이첼 톰슨은 1786 년 12 월 24 일에 조지아에서 태어났으며 지금으로 치면 오클라호마 주의 스틸웰 인근에서 1876 년 4 월 22 일에 사망했다."

They were Arabs from what is now Libya, then called Tripoli.

"그들은 당시에는 트리폴리라 불렸던 지금으로 치면 리비아 출신이었다."

The Beaufort station was located not far from what is today Beaufort Avenue in Livingston, NJ. "보퍼트 역은 오늘날로 치자면 뉴저지 주 보퍼트 가에 해당되는 곳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했었다."

How did the Spanish manage to conquer (C)[where → what] is now Mexico City?

'where'는 'the place where'를 대신할 수 있어도 여전히 'where'는 'is'의 주어가 되지 못한다.

 
Posted by 연우리
편입 문법 3000 Plus2022. 9. 20. 14:53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https://youtu.be/FBztKLJaIRc

 

3912. [단국대학교 2018]

(A)[When asked] why anyone (B)[would] ever pay to see grown men (C)[threw] one another around in a ring, the wrestler said, "For (D)[those] who believe in our sport, no explanation is necessary.

3912. [지각 동사 목적어 + 원형 부정사]

정답 - C : [threw] → [throw] : ~하는 것을 보는 것은 동시적인 것이어서 전후 관계를 나타내는 'to'는 사용하지 않는다. 원형 부정사를 사용한다. 'threw'는 과거형으로 정동사이므로 옆에 주격의 주어가 있어야 한다. 그런데 'grown men'은 'see'의 목적격이어서 곤란하다.

[해석] 성인이 서로를 링에서 던지는 것을 보기 위해서 누가 돈을 지불하려 하겠느냐는 질문을 받았을 때 레슬러는 "우리 스포츠의 가치를 믿는 사람들에게는 설명이 불필요하죠."라고 대답했다.

3913. [수원대학교 2018]

Tomorrow, by the time John (A)[will pick] up Sue, he (B)[will have washed] the car (C)[and] bought her (D)[the corsage he ordered].

3913. [시간 부사절의 단순 미래는 현재형으로 대신]

정답 - A : [will pick] → [picks] : 의지 미래가 아니고 단순 미래인 시간 부사절에서(여기서는 'by' 때문에 확실히 부사절) 현재형으로 미래를 대신한다.

[해석] 내일 존이 수를 픽업할 때면 그는 세차도 했을 것이고 주문했던 코르사주도 그녀에게 사주었을 것이다.

3914. [숙명대학교 2018]

Ukraine is vulnerable (A)[to] Russian pressure and subterfuge. Its economy is (B)[in] great straits and remains heavily dependent (C)[on] Russian energy, especially natural gas. Some important reforms (D)[have introduced], but Ukraine still has a long way (D)[to go] in its struggle to establish a stable, independent democratic state.

3914. [능동과 수동]

정답 - D : [have introduced] → [have been introduced] : 개혁은 도입되는 것이므로 수동으로 사용되어야 한다.

A : vulnerable to ~ : ~에 취약한 : 형용사의 보어

B : in straits : 곤란에 처한 : 명사 앞의 전치사

strait [streit] : 해협; (흔히 straits) 곤경, 곤궁, (특히) 경제적 궁핍

C : dependent on ~ : ~에 의존하는 : 형용사의 보어 cf. independent of ~

[해석] 우크라이나는 러시아의 압력과 핑계에 취약하다. 그 경제는 커다란 곤경에 처해 있고 여전히 러시아의 에너지, 특히 천연가스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몇몇 중요한 개혁들이 도입되었지만 우크라이나는 여전히 안정적이고 독립된 민주 국가를 확립하려는 투쟁에 있어서 갈 길이 아주 멀다.

3915. *[명지대학교 2018]

The Spanish word for rice, arroz, comes from the Arabic word orez, giving us a clear signal of the origin of rice growing in Spain. The initial encroachment of the Moors (A)[into the Iberian Peninsula] was made in 711 by a small force (B)[was led by] Tariq ibn Ziyad near Gibraltar. Over the course of the next 60 years, almost all of the territory of (C)[what is] now Spain and Portugal was conquered, becoming al-Andalus, part of the Umayyad Caliphate, the empire (D)[centered on] Damascus that has continued the period of the expansion of Islam that began in the previous century during the lifetime of the prophet Muhammad.

3915. [후치 수식 분사 + '지역의 what']

정답 - B : [was led by] → [led by] : 'was (made)', 즉 정동사 뒤에 등위접속사도 없이 정동사(was)가 따르면 의악형이다. 후치 수식을 하려면 'was'를 없애고 과거 분사인 'led'를 사용하거나 아니면 앞에 'which'가 있어야 한다.

the Iberian Peninsula : 반도는 경계선이 불분명하므로 분명히 하기 위해서 정관사를 앞에 사용한다.

C : [what is] now Spain and Portugal : '지역의 what'에 해당된다.

D : 'center on'은 자동사와 타동사로 모두 가능하다. 본문에서는 타동사의 과거 분사로 사용되고 있다.

[해석] 스페인어로 쌀에 해당하는 'arroz'는 아랍어인 'orez'에서 왔는데 우리에게 스페인에서 자라는 쌀의 기원에 대해 분명한 시그널을 준다. 이베리아반도에 무어족이 처음으로 침입한 것은 711 년 타리크 이븐 지야드가 이끄는 지브롤터 근처의 작은 군대에 의해서였다. 이후 60 년에 걸쳐서 지금으로 치면 스페인과 포르투갈에 해당하는 지역의 거의 전부가 정복되어서 안달루스가 되었는데 그전 세기 예언자 무함마드가 살아있는 동안 시작되었던 이슬람의 팽창기를 지속했던 다마스쿠스를 중심으로 하는 제국인 우마야드 칼리프의 일부분이었다.

 
Posted by 연우리
문법2022. 7. 26. 15:15
728x90

[동영상 강의 유튜브 연우리 영어] →​ https://youtu.be/qfpJb7Y2_sc

# The Aztecs were not the first people to organize a rich and powerful state in Mesoamerica. They were preceded by the Toltecs, and they by other peoples going back into the mists of prehistory. The population of (A)[     ] is now Maxico rose and fell as empires came and went. Under the Aztecs, at the time of the Spanish conquest, there were at least five million souls under the direct control of Montezuma Ⅱ, the last of the Aztec rulers. Smaller states and tribes in the vicinity paid tribute to their Aztec overlords.

# 빈칸 (A)에 들어갈 단어는?

 

[해석] 아즈텍인들은 중미에서 부유하고 강력한 국가를 만든 최초의 민족은 아니었다. 그들 이전에는 톨텍인들이 있었고 또 이들 이전에는 선사 시대의 먼 옛날로 거슬러 가는 다른 민족들이 있었다. 지금의 멕시코에 해당되는 지역의 사람들이 제국들의 성쇠에 따라 흥하고 망했다. 스페인의 정복 시에, 아즈텍인들의 지배하에서 적어도 오백만 명의 사람들이 마지막 아즈텍 지배자인 몬테수마 Ⅱ세의 직접 통치를 받았다. 근처의 작은 나라들과 부족들은 아즈텍의 대군주들에게 공물을 바쳤다.

[정답]  (A) : what

​[어휘 또는 표현]

They were preceded by the Toltecs, and they (were preceded) by other peoples going back into the mists of prehistory.

'gapping'이 발생하고 있다.

A was followed by B : A 뒤에는 B

A was preceded by B : A 전에는 B

[해설]

아주 옛날에는 지금의 멕시코에 해당되는 이름이 없었겠지요. 그래서 그런 과거에 대해 기술할 때 그냥 멕시코라 하지 않고 'what is now Mexico'(지금으로 치면 멕시코에 해당되는 지역)라 칭하는 것이 모국어 화자의 논리이다. 여기서 'what'은 'the area which'에 해당되는 것으로 '지역의 what'이라 칭한다.

 

 

[지역의 'what'] ⋆⋆

By the end of the Ice Age, the area that is now New England had been literally reformed by glacial activity.

"빙하 시대 말에는 지금으로 치자면 뉴잉글랜드인 지역은 글자 그대로 빙하 활동에 의해서 형성되었다."

아무 생각 없이 그냥 'New England had been ~'을 써도 될 것 같은데 그냥 쓰게 되면 빙하시대에 'New England'라는 명칭이 없었다는 논리적 모순이 생긴다. 이를 피하기 위해 ‘지금으로 치면 'New England'에 해당되는’이라는 관계절을 동원해서 논리적인 모순을 피한다.

The first European people to live in what is now Alaska were Russians who had journeyed over to the west coast of North America in search of gold. "지금으로 치자면 알래스카에 해당하는 곳에 살았던 최초의 유럽인들은 금을 찾아서 북아메리카의 서부 해안을 따라 건너온 러시아인들이었다."

'the area which is now Alaska'에서 선행사인 'the area'와 'which'를 융합시켜 'what'으로 바꿀 수 있는데 이 경우의 'what'을 ‘지역의 what’이라 칭한다.

During the 1600's skilled shoemakers were scarce in what is now the United States.

"1600 년대에 솜씨 좋은 구두 제조인들이 지금으로 치면 미국에 해당되는 지역에는 드물었다."

해석할 때는 그냥 빨리 'in the United States'로 이해하면 된다.

Rachel Thompson was born in Georgia on December 24, 1786 and died near what is today Stilwell, Oklahoma, on April 22, 1876. "레이첼 톰슨은 1786 년 12 월 24 일에 조지아에서 태어났으며 지금으로 치면 오클라호마 주의 스틸웰 인근에서 1876 년 4 월 22 일에 사망했다."

They were Arabs from what is now Libya, then called Tripoli.

"그들은 당시에는 트리폴리라 불렸던 지금으로 치면 리비아 출신이었다."

The Beaufort station was located not far from what is today Beaufort Avenue in Livingston, NJ.

"보퍼트 역은 오늘날로 치자면 뉴저지 주 보퍼트 가에 해당되는 곳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했었다."

 

[ET21-1-1]0748. ⋆⋆ [고려대학교 2007-1]

(A)[Founded in] 427 in northeastern India, not far from (B)[where is today] the southern border of Nepal, and (C)[surviving until] 1197, Nalanda was one of the first great universities in (D)[recorded] history.

[ET21-1-1]0748. ['지역의 what']

정답 - B : [where] → [what] : 'where'는 'in which'로 본다면 주어가 없고 물론 '전치사 from'의 목적어도 없어서 곤란하다. 'is now ~'나 'is today ~' 또는 드물게 'is to become'이 나오면 'the area which'에 해당되는 일명 ‘지역의 what’을 써야 한다. ‘오늘날의 네팔 남쪽 국경’으로 해석할 수 있다. 427년에는 네팔이란 지명이 없는 문제를 논리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표현이다. 논리를 무시하고 'from the southern border of Nepal'로 그냥 빨리 이해해도 좋다.

A : 설립된 것이므로 과거 분사를 쓴 것이 맞다.

C : 1197 년까지 존속한 것은 자동사이므로 현재 분사를 쓴 것이 맞다.

A. C : 모두 분리된 전치 수식이다.

D : 이 경우 'history'는 불가산 명사로 정관사가 필요 없다.

[해석] 인도의 동북부 오늘날의 네팔 남쪽 국경에서 멀지 않은 곳에 설립되어서 1197년까지 존속했던 나란다는 기록된 역사상 최초의 위대한 대학교 중의 하나였다.

Posted by 연우리
편입 문법 3000 Plus2021. 1. 16. 04:36
728x90

[동영상 강의 유튜브 연우리 영어]  https://youtu.be/MNZwCZ9pDRs

[ET21-1-1]0748. ⋆⋆ [고려대학교 2007-1]

(A)[Founded in] 427 in northeastern India, not far from (B)[where is today] the southern border of Nepal, and (C)[surviving until] 1197, Nalanda was one of the first great universities in (D)[recorded] history.

[ET21-1-1]0748. ['지역의 what']

정답 - B : [where] → [what] : 'where'는 'in which'로 본다면 주어가 없고 물론 '전치사 from'의 목적어도 없어서 곤란하다. 'is now ~'나 'is today ~' 또는 드물게 'is to become'이 나오면 'the area which'에 해당되는 일명 ‘지역의 what’을 써야 한다. ‘오늘날의 네팔 남쪽 국경’으로 해석할 수 있다. 427년에는 네팔이란 지명이 없는 문제를 논리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표현이다. 논리를 무시하고 'from the southern border of Nepal'로 그냥 빨리 이해해도 좋다.

A : 설립된 것이므로 과거 분사를 쓴 것이 맞다.

C : 1197 년까지 존속한 것은 자동사이므로 현재 분사를 쓴 것이 맞다.

A. C : 모두 분리된 전치 수식이다.

D : 이 경우 'history'는 불가산 명사로 정관사가 필요 없다.

[해석] 인도의 동북부 오늘날의 네팔 남쪽 국경에서 멀지 않은 곳에 설립되어서 1197년까지 존속했던 나란다는 기록된 역사상 최초의 위대한 대학교 중의 하나였다.

 

[핵심 문법]  ⋆⋆'지역의 what'

By the end of the Ice Age, the area that is now New England had been literally reformed by glacial activity.

"빙하 시대 말에는 지금으로 치자면 뉴잉글랜드인 지역은 글자 그대로 빙하 활동에 의해서 형성되었다."

아무 생각 없이 그냥 'New England had been ~'을 써도 될 것 같은데 그냥 쓰게 되면 빙하시대에 'New England'라는 명칭이 없었다는 논리적 모순이 생긴다. 이를 피하기 위해 ‘지금으로 치면 'New England'에 해당되는’이라는 관계절을 동원해서 논리적인 모순을 피한다.

The first European people to live in what is now Alaska were Russians who had journeyed over to the west coast of North America in search of gold. "지금으로 치자면 알래스카에 해당하는 곳에 살았던 최초의 유럽인들은 금을 찾아서 북아메리카의 서부 해안을 따라 건너온 러시아인들이었다."

'the area which is now Alaska'에서 선행사인 'the area'와 'which'를 융합시켜 'what'으로 바꿀 수 있는데 이 경우의 'what'을 ‘지역의 what’이라 칭한다.

During the 1600's skilled shoemakers were scarce in what is now the United States.

1600 년대에 솜씨 좋은 구두 제조인들이 지금으로 치면 미국에 해당되는 지역에는 드물었다."

해석할 때는 그냥 빨리 'in the United States'로 이해하면 된다.

Rachel Thompson was born in Georgia on December 24, 1786 and died near what is today Stilwell, Oklahoma, on April 22, 1876. "레이첼 톰슨은 1786 년 12 월 24 일에 조지아에서 태어났으며 지금으로 치면 오클라호마 주의 스틸웰 인근에서 1876 년 4 월 22 일에 사망했다."

They were Arabs from what is now Libya, then called Tripoli.

"그들은 당시에는 트리폴리라 불렸던 지금으로 치면 리비아 출신이었다."

The Beaufort station was located not far from what is today Beaufort Avenue in Livingston, NJ.

"보퍼트 역은 오늘날로 치자면 뉴저지 주, 리빙스턴 시, 보퍼트 가에 해당되는 곳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했었다."

 

 

[ET21-1-2]0749. [성균관대학교 2005-1]

He (A)[awaited] final instructions (B)[about] (C)[giving] the reward to (D)[whomever] had found the (E)[lost] dog.

[ET21-1-2]0749. ['whoever'와 'whomever']

정답 - D : [whomever] → [whoever] : 'whomever'는 'anyone whom'에 해당되고 'whoever'는 'anyone who'에 해당되는데 결국 'who'를 쓸 것인지 'whom'을 쓸 것인지는 관계절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이다. 선행사 앞에 전치사가 있어도 다 'anyone'에 걸리는 것이기 때문에 선행사 앞의 전치사는 'whomever'와 'whoever'의 선택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had found'의 주격 관계사가 필요하므로 'anyone who'에 해당되는 'whoever'를 써야 한다. 물론 'whomever'를 쓸 자리에 'whoever'를 쓰는 것은 무방하다.

[해석] 그는 잃어버린 개를 발견하는 누구에게든 보상을 해주는 것과 관련된 최종 지시 사항을 기다렸다.

 

[핵심 문법] 'whoever'와 'whomever'

Whoever comes will be welcome. “오는 사람은 누구든지 환영한다.”

 Any person that comes will be welcome.

'whoever'는 부정형 명사를 선행사로 포함한다.

Whoever breaks this law deserves a fine. "이 법을 위반하는 사람은 누구든 벌금을 받아 마땅하다."

 Anyone who breaks this law deserves a fine.

'whoever'가 양쪽 절의 주어로 쓰이고 있는 예문들이다.

You may invite anyone ∥ ∥ you like whom.

→ You may invite anyone whom∥ you like θ.

→ You may invite whomever you like. "좋아하는 사람 누구라도 초청할 수 있다."

관계절에서 이동해 온 'whom'이 선행사인 'anyone'과 융합되면 'whomever'를 쓰게 된다. 그러나 비격식체에서는 'whom'을 'who'로 바꾼 뒤에 'anyone'과 융합하여 'whoever'를 쓸 수도 있다.

The senator depended on whoever / *whomever was willing to assist him.

"그 상원 의원은 자신을 기꺼이 도우려 했던 누구에게라도 의존했다."

A wise and experienced administrator will assign a job to whoever / *whomever is best qualified.

"현명하고 노련한 행정관이라면 자격이 가장 훌륭한 사람이면 누구에게라도 일을 맡길 거다."

전치사 다음에 나오니까 목적격인 'whomever'를 써야 할 것 같지만 'anyone'이 관계절에서 올라온 'who'와 융합되므로 'whoever'를 써야 한다.

이처럼 'whoever'를 쓸 것인지 'whomever'를 쓸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은 주절이 아니라 관계절의 흔적 자리에서 주격으로 쓰였는지 목적격으로 쓰였는지에 의해서 결정된다.

You shouldn't entrust any work with *whomever / whoever you think is careless with the truth in small matters.

"당신 생각에 작은 문제들에서 사실에 부주의한 사람이면 누구라도 어떤 일도 맡기지 않아야 한다."

삽입된 'you think'를 빼고 보면 주격 관계사임을 알 수 있다.

It's our belief that the banks will have to make account information available to whoever their customer decide they want the information to be made available to. "은행은 고객이 계좌 정보를 이용 가능하게 하길 원하는 어느 누구라도 게좌 정보를 이용할 수 있게 해야만 한다는 것이 우리의 믿음입니다."

'전치사 to'의 목적어이므로 원래는 'whomever'를 써야 하는데 대신 'whoever'를 쓰고 있다.

 

Posted by 연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