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법2022. 5. 30. 16:11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MKkbkLj5RKk

#  "That's impossible," he protested. "They were just showing the titles (A)[when I left]."

  "I'm sorry," Greg commiserated. "(B)[It doesn't look like] she had a very big role"

  "Did she at least (C)[get to saying] something?" Sandy asked with disappointment.

  "Just a couple of words," Morgenstern answered. "And then a kind of last gasp before (D)[she hit the deck]."

  "That's all? Just a lousy walk-on?"

  "Well," his teacher jested amiably, "I'd call it more of a 'die-on.' But I tell you, she looked like a million bucks."

  "Damn it," Sandy railed. "She must have gotten typecast. I mean it always looked like whenever they had a part where someone croaked they gave it to her. I'm telling you, that's what killed her career before she had a chance (E)[to prove herself]."

 

#  (A), (B), (C), (D), (E) 중에서 문법적으로 잘못된 것은?

 

[해석]  "저건 말도 안 돼."라고 그는 부르짖었다. "내가 나갈 때 막 타이틀을 보여주고 있었는데."

  "안됐구먼. 그다지 큰 역할을 맡지 못한 거 같아."라고 그렉 교수는 가엾다는 듯 말했다.

  "최소한 뭘 말할 수는 있었나요?"라고 샌디는 실망해서 물었다.

  "그저 두어 마디. 그리고 뭐 하기도 전에 뭐 꼴깍했지."라고 모르겐슈테른 박사는 대답했다.

  "그게 다예요? 그냥 비참한 단역이에요?"

  "음, 나는 걸 '바로 죽는 역'이라 하는데. 하지만 정말이지 미모는 백만 달러 짜리 야."라고 그의 교수님은 상냥하게 농담을 하셨다.

  "제기랄. 겐 이미지가 고정된 배역을 맡은 거야. 제 말은 누군가가 죽는 역이 있을 때마다 게한테 배역을 주는 거 같아요. 정말이지 그게 자신을 입증해볼 기회를 갖기도 전에 커리어를 끝장낸 거죠."라고 샌디는 큰 소리로 불평을 해댔다.

[정답] (C) [get to saying → get to say]

 

[어휘 또는 표현]

commiserate [kəmízərèit] : ~에게 동정하다, ~을 가엾게 여기다; 동정하다, 조의를 표하다   : express or feel sympathy or pity; sympathize  (L miser : wretched → com : with + miserari : to lament → commiserari)  ['miser'는 구두쇠의 뜻이지만 고어로는 '불쌍한 사람'의 뜻이고 'misery'(비참, 고통)과 같은 어원으로 '같이 아파하는 것이 동정하는 것으로 생각하면 된다.]

gasp : 헐떡임, 숨참; [놀람 등으로] 숨이 멎음; 헐떡거리며 하는 짧은 말

last gasp : 마지막 헐떡거림, 죽을 때

walk-on : 단역 (배우)

die-on : 바로 죽는 배역

rail : 욕하다, 악담하다; (큰소리로) 불평하다 : complain : (M F railler : to tease or joke : L ragere : to roar) [의성어 출신으로 어원 불명 '철도'나 '난간'과 무관한 단어인데 '폭폭[ㅎ 기차] 짖어대며 불평하는 것으로 연상하자.]

typecast : 고정된 이미지의 배역

croak [krouk] : [개구리·까마귀 등이] 개골개골 [깍깍] 울다; 투덜거리다 (속어) [사람이] 죽다, 뻗다; 푸념  

[M E 의성어, 크록, 끄록]

hit the deck : 기상하다; 활동할 준비를 하다; 바닥에 엎드리다, 몸을 대던 지다  [원래 'the deck'은 '배의 갑판', 여기 나와야 '기상'이고 '작업 준비'인 데서]

[해설]

[get to 부정사]

(상황상) 가능하다; (상황상) ~할 기회가 있다, 주어지다 : to have the opportunity to do something; you are enabled or given the opportunity to do something

'변화형 동사'의 대표 꼴인 'get'은 변화를 나타낼 뿐이고 기본적으로는 ★'be to 용법'과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 'be to 용법'의 '가능'에 '변화'의 개념이 동반된 표현인 셈이다. 이런 표현 등으로 인해서 현대 영어에서 'be to 용법'이 그리 많이 보이지 않는 법이다.

1) (상황상) 가능하다  : A circumstance or choice enables you to do something

We got to meet all the stars after the show. "우린 쇼가 끝난 후에 모든 스타들을 만나는 게 가능했다."

I enjoy my work as a translator because I get to work at home a lot. (= I can work at home because the situation makes it possible.) "내가 번역 일을 좋아하는 것은 (정황상) 집에서 많이 일하는 게 가능해서이다."

What I dislike about my work is that I don't get to travel much. 

"내가 내 일을 싫어나는 것은 (정황상) 별로 이동할 일이 없어서이다."

I hardly ever get to meet people in my work. I feel very isolated. 

"일하면서 사람들을 (상황상) 거의 못 만나게 된다. 난 아주 외롭다."

I never get to see her now that she's moved to California. 

"난 그녀를 (상황상) 만날 수 없다. 이제 캘리포니아로 이사 가버린 상태여서."

Here, I get to go shopping a lot. "이곳에선 쇼핑 가는 게 가능해져서 좋지요."

A : Why do you work at home? "왜 집에서 일하려고 해요?"

B : I get to spend a lot of time with you and the kids. "자기하고 애들하고 많은 시간을 보내는 게 가능하잖아요."

2) (상황상) ~할 기회가 있다, 주어지다  : Being given an opportunity

She gets to travel all over the place with her job. "그녀는 일하면서 거기 온 동네를 다닐 기회가 생기죠."

The part that I like most about my work is that I get to travel in my work. 

"내가 내 일을 아주 좋아하는 것은 일하면서 여행할 기회가 주어지기 때문이다."

People who are arrested traditionally get to make a phone call. 

"체포된 사람들은 전화 한 통을 할 기회가 주어지는 게 전통이다."

We (should) at least get (a chance) to call our lawyer. "우린 적어도 변호사에게 전화할 기회가 주어진다."

괄호는 모국어 화자의 쉽게 이해시키려는 설명인데 문법적으로는 'be to 용법'으로 그냥 이해하면 된다.

We are allowed to call our lawyer. "우린 변호사에게 전화하는 것이 허용된다."

패러프레이즈 하려면 'be allowed to ~'가 더 쉽다. 

A : Has anything good come out of this week-long snowstorm? "이 긴 일주일 눈보라에서 좋은 게 뭐야?"

B : I get to spend a lot of time with you and the kids. (= I have the opportunity to spend a lot of time with you and the kids.) "자기랑 애들이랑 함께 많은 시간을 보내는 것이 가능해지잖아 / 보낼 기회잖아."

I am a musician -- I *get to / can play the piano.

"나는 음악가야. 피아노도 당근 칠 수 있지. *(정황상) 피아노 치는 게 가능하지"

순수하게 능력을 말하는 경우에 'can'을 대신해서 'get to'를 사용할 수 없다.

3) 시작하다 : to begin to do or be

You're getting to be just like your mother. "넌 딱 네 엄마를 닮아가고 있구나."

드물게 '시작하다'의 뜻으로 사용된 경우이다.

 

[get to(전치사) 명사 or 동명사]

'be to 용법'과 ★상관없는 용법이다. 손이나 몸이 닿는 것(reach), 접촉하는 것(contact)이나 틈내서 일손을 대는 것을 뜻한다.

1) (물리적으로) 닿다 : To physically reach something

I just can't get to that box on the top shelf without the ladder. "사다리가 없이는 맨 위 선반에 손이 닿지 않아서."

2) (목적지에) 도착하다; 가다  : To arrive at a destination; to reach a point of

When do you guys think you'll get to the party? "너네들 파티에 언제 (몸이) 도착할 거라고 생각하냐?"

Where did you get to last night? I was expecting you. "어젯밤에 어다 갔었어? 너 기다리고 있었잖아."

I wonder where my glasses have got to. "내 안경 어디로 가버린 거야."

Where's Annabel got to? She should be here by now. 

"애너벨은 어디로 가버린 거야? 지금이면 여기에 있어야 하는데."

3) 연락 가능하다 : To be able to contact someone

A : Has anyone been able to get to Aunt Mildred? Is she OK? 

"누구 밀드레드 이모와 연락되었어? 괜찮으시데?" (흔히 전화로 접촉)

B : Yeah, I talked to her yesterday. "응, 어제 대화했어."

4) 얘깃거리로 하다, 다루다; 하게 되다 : To address or tackle something, such as a task; to arrive at a topic of discussion

Money? We will get to that in a minute. "돈, 그건 잠시 후에 얘기할 거다."

Let me finish washing the silverware and then I'll get to those other dishes

"은 식기들을 닦는 거 끝내고 다음에 거 다른 접시들을 손댈게."

Before you get to cleaning the kitchen, let me ask you this question, and then I will leave you alone to finish your task. "너 부엌을 치우는 거 하기 전에 이 질문을 먼저 할게. 그리고 너 혼자 일을 끝내게 놔둘게."

['get to cleaning' means 'start the cleaning process']라고 모국어 화자가 패러프레이즈 해 놓았지만 원래는 '손을 대어 다루다'의 뜻이다.

cf, Before you get to go out with your friends, your mother insists that your room be tidy.

"네가 친구들과 나가는 게 (상황상) 가능하려면 그전에 너네 엄마는 방부터 치우라고 하실 거야."

['get to go out' means 'permitted to go out'.]라고 모국어 화자가 패러프레이즈 해 놓았는데 'get to 부정사'의 경우이다.

We got to talking about old friends from school. "우린 학교 때 친구들에 대해 얘기하게 되었다."

5) (수를 쓰려고) 접촉하다  : To confront someone, typically someone inaccessible, in order to influence them illegally, such as through bribery or threats

If they suddenly changed their story, it's because one of his thugs got to them first. "게들이 갑자기 얘기를 바꿨다면(직설법 인정 과거 조건) 그건 그의 갱단의 한 명이 그들에게 먼저 손을 썼기 때문이야."

6) (건드려) 성가시게 하다 : To bother someone

As much as I enjoy the spring, it's not long until my allergies start to get to me.

"난 봄 아주 좋아하지만, 머지않아 알레르기가 건드려 짜증 나게 할 거야."

 

[본문]

"Did she at least (C)[get to say] something?"

'시간을 내서 말하게 되는 것'이 아니고 '사정, 정황상 뭐라도 말한 것'이므로 부정사를 사용해야 한다.

E : ~ before she had a chance (E)[to prove herself]

'chance'가 '기회'의 뜻이면 부정사를 사용하고 '가능성'의 뜻이면 'of ~ing'를 사용한다.

 

'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to what(의문사] degree  (0) 2022.06.01
자동사 과거 분사 상태 수동태의 후치 수식 ★★  (0) 2022.05.30
notwithstanding 용법  (0) 2022.05.30
call과 'what' or '단계 국면의 as'  (0) 2022.05.30
but for  (0) 2022.05.30
Posted by 연우리
문법2022. 5. 10. 02:04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 r1UnC8cn3gs

#     They argue over who will (A)[get to riding] the gryphon but Widget relents when Celia tells them the story of the (B)[nine-tailed] fox just behind it, (C)[which suddenly sounds] much more appealing. As soon as they disembark, a second ride is requested. For the subsequent trip through the loops of silver clockwork and tunnels they (D)[end up on] a serpent and a rabbit with no complaints (E)[to be heard].

 

#    (A), (B), (C), (D), (E) 중에서 문법적으로 잘못된 것은?

 

[해석]    애들은 누가 그리핀을 타게 될지에 대해 다투지만 위젯은 셀리아가 그리핀 바로 뒤에 있는 구미호 이야기를 해주자 누그러진다. 이게 갑자기 더 매력적으로 들여서 그렇다. 내리자마자 다시 타겠다고 한다. 은 시계 장치의 고리와 터널을 통과하는 다음번에는 애들은 드디어 뱀과 토끼에 이르게 되자 불평이라곤 없게 된다.

[정답]     (A) [get to riding] → [get to ride]

 

[어휘 또는 표현]

gryphon [grífən] : 그리핀 : 독수리의 날개, 사자 몸뚱이를 한 괴물 = griffin, griffon [ㅎ 'Gryffindor' 해리 포터]

serpent [sə́ːrpənt] : 뱀; 악마, 사탄  : (L serpere : to creep, crawl → 현재 분사 serpens : crawling → 과거 분사 serpent- ) [기는 존재에서]

relent [rilént] [사람이] 누그러지다, 상냥스러웠다, 마음이 부드러워지다; 마음이 풀리다; [비·바람 등이] 약해지다  :  (L lentus : flexible → re- : back + lentare : to bend) [ㅎ 갈대처럼 뒤로 휘어지는 데서, 'pliant'의 'plicare'도 'fold, bend'의 뜻으로 널리 사용되는 데 'relent'는 사용 저변이 아주 좁다.]

relentles[riléntlis] 사정없는, 가혹한, 가차없는; [적·바람 등이] 무자비한; 완고한 [이 단어가 훨 많이 사용되죠. 가짜로 대신 차용하지 않는대서, 원래는 뒤로 휘어지는 법이 없는 데서]

[가차없다] 

본뜻 가(假借)(거짓 가 + 빌릴 차)는 한문 글자 구성의 여섯 가지 방법 중의 하나로, 어떤 말을 나타내는 적당한 글자가 없을 때 뜻은 다르지만 음이 같은 글자를 빌려서 쓰는 방법이다. 독일, 불란서 등이 좋은 예다. '가차없다'라는 임시로 빌려 쓰는 것도 안 될 정도로 어떻게 해볼 도리가 없는 상황을 가리키는 말이다

바뀐 뜻 : 일의 주도권을 가진 쪽에서 조금도 사정을 봐주지 않는 것, 또는 용서 없음을 가리키는 말이다.

[해설]

B : nine-tailed fox : '명사 -ed'형 꼬리 아홉개 달린 여우, 구미호

D : 2형식 관점형 : 끝에 가서 'are up on'

E : 'no complaints were to be found'가 'with 구문으로 전환된 것이다.

['get to 부정사'와 'get to 동명사']

[get to 부정사]

get to do something : ~하게 되다 : to have an opportunity to or be allowed to; be able to  [어찌어찌하다가 이어지는 데서]

On New year's Eve I got to stay up late to watch the ball drop on Times Square. 

"망년회 날 나는 늦게 안 자고 있다가 타임스 스퀘어에서 공을 떨어뜨리는 것을 목격했다."

How do you get to play tennis so well? (= How are you able to play tennis so well?) 

"어떻게 해서 그렇게 테니스를 잘 하게 되었어?"

[get to 동명사]

get to doing something : ~하기 시작하다 : to start doing something; to be ready to begin or deal with [이어지면, 닿으면 시작하는 것에서]

He got to thinking that it was all his fault. "그는 그것이 모두 그의 잘못이라는 생각이 들기 시작했다."

Recently I've got to wondering why I am in this job. 

"최근에 나는 내가 왜 이런 일을 하고 있는지 궁금증이 들기 시작했다."

[본문] 

They argue over who will (A)[get to ride] the gryphon ~

기회가 주어지느냐의 문제이므로 'get to ride'를 사용하는 것이 맞다.

 

Posted by 연우리
구동사2022. 5. 4. 05:03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 M5-ORgp5RHY

#1.    Well, we have come to the time in our lives when our oldest, 9, is ready to stay up later than the other kids. His 7 year old brother doesn't like it. "Mom, why does he (A)[     ] to stay up later than me?" is the question that we were getting. He had to go to bed at 7:00--the same time as his 5 and 3 year siblings, so his question was completely reasonable.

 

#2.    I (B)[      ] to run, but Jem caught me. "Don't go to him," he said, "he might not like it. He's all right, let's go home. I just wanted to see where he was."

 

#3.    It could be (C)[      ] to run but it might not be as useful or efficient as it is under linux.

 

#1.   빈칸 (A)에 들어갈 단어는?

#2.   빈칸 (B)와 (C)에 공통으로 들어갈 단어는?

 

[#1. 해석]    음, 우린 살면서 장남인 9 살 애가 나머지 애들보다 더 늦게까지 깨어있을 준비가 되는 시간에 이르게 됩니다. 7 살 동생은 이게 맘에 들이 않았습니다. "엄마, 왜 형은 나보다 늦게 머물 수 있는 거예요?"는 우리가 받게 되는 질문이었다. 자긴 7 시에 취침이었는데 5 살, 3 살 형제와 같은 시간이었다. 그래서 게의 이런 질문은 완전히 합당한 것이었다.

[#2. 해석]    나는 움직여 달려 가려 했지만 젬 오빠가 날 붙잡았다. "아빠에게 가지 마. 좋아하지 않을 수 있어. 괜찮으실 거야. 집에 가자. 그냥 어디 계신 지 알고 싶었던 거뿐이야."라고 오빠는 말했다. 

[#3. 해석]    건 구동되게 할 수 있지만 리눅스 때만큼 유용하고 효율적이지 않을 수도 있어.

[정답]     1. (A) : get          2. (B)와 (C) : made

 

[해설]

[get to 부정사]

get to do something : ~하게 되다 : to have an opportunity to or be allowed to; be able to  [어찌어찌하다가 이어지는 데서]

On New year's Eve I got to stay up late to watch the ball drop on Times Square. 

"망년회 날 나는 늦게 안 자고 있다가 타임스 스퀘어에서 공을 떨어뜨리는 것을 목격했다."

How do you get to play tennis so well? (= How are you able to play tennis so well?) 

"어떻게 해서 그렇게 테니스를 잘 하게 되었어?"

[get to 동명사]

get to doing something : ~하기 시작하다 : to start doing something; to be ready to begin or deal with [이어지면, 닿으면 시작하는 것에서]

He got to thinking that it was all his fault. "그는 그것이 모두 그의 잘못이라는 생각이 들기 시작했다."

Recently I've got to wondering why I am in this job. 

"최근에 나는 내가 왜 이런 일을 하고 있는지 궁금증이 들기 시작했다."

[make to 부정사]

~하려 하지만 : If you make to do something, you are just going to do it when something interrupts you.

[재귀 목적어 필수 생략형으로 '자세를 만들다, 취하다'의 뜻으로 이해한다. ]

I made to leave but she called me back. "난 떠나려 했지만 그녀가 나를 다시 불렀다."

Posted by 연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