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법2021. 12. 10. 21:05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 GJ0id_5nnF8

#    "So why did he do that?" 

   "Because he was (A)[made to], Helen. Simple as that."

   She stared at him.

   Someone forced him (B)[to do]," Reacher said. "He was forced (C)[to do it] and he was forced (D)[to take] the blame for it.

   "He was told to go home afterward and (E)[wait for] the arrest. That's why he took the sleeping pill. He was probably going crazy, sitting there waiting for the shoe to fall."

 

#  (A), (B), (C), (D), (E) 중에서 문법적으로 잘못된 것은?

 

[해석]    "그래서 그는 왜 그랬대?"

     "헬렌, 왜냐하면 하라고 해서. 당근 그런 거지."

     헬렌은 리처를 응시했다.

     "누군가 그렇게 하라고 강제로 그렇게 하게 시킨 거지. 그는 어쩔 수 없이 해야 했고 그 책임을 뒤집어쓸 수밖에 없었죠. 뒤에 집에 가서 체포를 기다리라는 말을 들었죠. 그게 수면제를 먹은 이유죠. 아마도 미칠듯했겠죠. 피할 수 없는 사태가 일어나길 기다리면서."라고 리처는 말했다.

[정답]    (B) : [to do] → [to do it]

 

[어휘 또는 표현]

[wait for the other shoe drop]

피할 수 없는 사태를 기다리다  : waiting for something to happen you feel is inevitable [19 세기나 20 세기의 뉴욕의 아파트 세입자들이 윗집에서 신발을 하나 벗어 떨어뜨리고 것을 듣고ㅓ 반복해서 다른 짝도 그리할 것을 피할 수 없다는 뜻으로]

Now that she has a good enough job to leave her husband, we're just waiting for the other shoe to drop.

"그녀는 이제 남편을 떠날 충분히 좋은 일을 가져서 우리는 피할 수 없는 사태가 벌어질 것을 기다리고 있다."

I kept waiting for the shoe to fall. It was almost like there was so much stuff in our way that we couldn't even see who the real person was behind it. "나는 피할 수 없는 사태가 일어나는 것을 기다리고 있었다. 그건 우리 길에 아주 많은 것들이 있어서 뒤에 조종하는 인물을 볼 수 없는 것 같았다."

간혹 'drop' 대신 'fall'를 사용하기도 한다.

[해설]

I saw him cross the street.

부정사의 'to'는 원래 '전치사 to' 출신으로 전후 관계를 나타냅니다. 눈에 들어와서 보게 되는 'see'는 동시점 적이므로 전후 관계를 나타내지 않고 원형 부정사를 사용합니다. 이는 'hear'도 마찬가집니다. [ㅎ 지각 동사]

I forced him to cross the street.

몽둥이라도, 총이라도 들이대서 강제하면 전후 관계가 발생해서 'to'를 사용합니다. [ㅎ 폭력적 사역]

John made me do that. "존 형이 하라고 해서요."

형이 하라 했을 때 안 하면 하도 자주 맞아서 즉시 합니다. 전후 관계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ㅎ 강제적 사역]

He had the secretary type the letter. "비서에게 타이프 치게 했다.'"

보스가 하라 하면 당근 바로 합니다. 돈도 받으니까. 전후 관계없습니다. [ㅎ 협력적 사역]

Let him go there.

가려 하는 것을 막지 않으면 바로 갑니다. 전후 관계 발생하지 않습니다. [허락]

He was seen to cross the street. "본 바에 따르면 게는 길을 건넜다."

수동태는 근거 제시로 논리 상의 전후 관계가 발생합니다. 그래서 수동이면 'to 부정사'가 살아난다고 하는 겁니다.

He was made to cross the street.

수동은 강제 당해서 어쩔 수 없다는 근거 제시가 되기에 전후 관계가 발생해서 'to 부정사'를 사용하게 됩니다.

"He was told to go home afterward and (E)[wait for] the arrest.

to {[go home afterward] and [wait for the arrest]}로 등위 된 구조입니다.

[본문]

Because he was (A)[made to], Helen.

수동이고 'to' 사용은 당연하고 'to'만 사용하면 대부정사라 하고 [이런 명칭도 없지만] 원형 이하 반복되는 'do that'이 생략됨을 표시할 수 있습니다.

Someone forced him (B)[*to do] → (B)[to do it]," Reacher said. "He was forced (C)[to do it] and he was forced (D)[to take] the blame for it.

폭력적 사역은 능동이든 수동이든 'to 부정사'를 사용하겠죠. 문제는 'to'는 일종의 기능사로 사용하면 '원형 이하' 반복되는 것이 생략됨을 표시합니다. 그런데 대조동사 'do'도 기능사이기에 기능사의 중복은 잘못된 표현입니다. 'to' 다음에 'can'을 사용할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집니다. 대부정사(즉, 기능사) 뒤에는 '대동사(do) + it(목적어)'를 사용하면 됩니다.

 

Posted by 연우리
편입 문법 3000 Plus2021. 12. 3. 13:48
728x90

[본문의 동영상 강의 연우리 영어 유튜브]  MD00CZjP-lc

[ET72-3-3]3145. (= [CT3-37]1593.)  [광운대학교 2007-1]

어법상 올바른 문장을 하나 고르시오.

(A) You may answer this letter if you need.

(B) Except for these few, most of the students are studying hard.

(C) I should send this book to him until the end of this week.

(D) Swimming is not so good way as jogging to lose unwanted weight.

[ET72-3-3]3145. [대부정사 + '전치사 by와 until' + 'so 형용사 명사']

정답 - B : 문두의 'except for'는 훌륭하다. 'these few'는 'students'가 역행 생략이 되어 있다.

[해석그 학생들 중에서 이 몇 학생들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열심히 공부하고 있다.

A : [need] → [need to] : 격식체에는 '대부정사 to'를 쓰는 것이 원칙이다.

[해석필요하면 이 편지에 답장하십시오.

C : [until] → [by] : 'until'은 앞에 지속의 개념이 있어야 한다책을 보내는 것은 단일 사건으로 지속의 개념이 없다마감 시간을 표시하는 'by'를 써야 한다.

[해석이 주 말까지는 이 책을 그에게 보내야만 한다.

D : [so good way] → [so good a way] : 'way'는 가산 명사 부정문일 때 앞쪽의 'as'는 'so'를 쓰는 것이 원칙이다물론 그냥 'as'를 쓸 수도 있다.

원래 '*a so good way'에서 'so good'을 부정관사 앞으로 보내면 'so good a way'가 되어야 한다.

[해석수영은 조깅만큼 원치 않는 살을 빼기 위한 좋은 방법은 아니다.

 

[핵심 문법대부정사(Pro-infinitives)와 기능사

You can borrow my pen, if you want to. "원하시면 제 펜을 빌려 쓰세요."

반복되는 것을 (여기서는 'borrow my pen') 생략하고 'to'만을 쓸 때 이를 '대 부정사'라 칭한다.

She borrowed my pen, although I told her not to. (not to = not to borrow)

You may stay here as long as you like.  "원하시는 만큼 여기 머물러도 좋습니다."

'like' 다음에는 대부정사를 쓰지 않는다반면에 'would like to' 결합된 숙어 형태이므로 대부정사 'to'를 써야 한다.

A : Why did you hit your brother, Jenny?

B : I'm sorry, but I didn't mean to.

부정사 'to'만 쓰면 반복되는 'hit him'이 생략되어 있음을 표시할 수 있다이런 점에서 부정사 'to'도 기능사에 해당된다고 말할 수도 있다.

A : Have you bought your textbooks yet?

B : I tried to, but they were all sold out. (buy them)

A : Will you go to Jane's wedding this weekend?

B : Yes, I am planning to. (go ~)

A : Can I go home now?

B : Sure. You may leave, if you want to. (leave)

A : Things don't work out the way I want them to. (work out ~)

B : That's life, you know.

A : I don't think I can help you with that project.

B : Don't you worry. I am not asking you to. (help me ~)

I'd like to come, but I don't have time to. (come)

They shouted to him to jump the ditch, but he was afraid to. (jump ~)

Deputy Scott Eccles is in trouble because he allegedly exposed himself at a woman's birthday party, after someone dared him to / *dared him to do dared him to do so.

'dared him to do'는 쓸 수 없다. 'do'가 기능사로 'expose himself at a woman's birthday party'가 생략되어 있음을 표시해야 하는데 대조동사인 'do'와 대부정사인 'to'도 기능사여서 두 개의 기능사가 충돌되어서 곤란하다이는 'to' 다음에 조동사(예컨대 'can')가 따르지 못하는 것과 유사하다대형태인 'do so'를 쓰는 것은 괜찮다대형태에서 쓰인 'do'는 대조동사가 아니라 대동사로서 'expose'만을 받고 목적어 이하는 'so'로 받는 것이기 때문이다.

People don't keep Christmas traditions the way they used to. (keep ~)

A : Do you go to the movies very often?

B : Not these days, but I used to. (go ~)

A : I thought Charlie and Ann were good friends.

B : Well, they used to be. (good friends)

'be 동사'인 경우 혼동을 피해 'used to be'를 사용한다.

She sometimes does things (which) you wouldn't expect her to do / *to.

"그녀는 종종 당신이 예기치 못한 것들을 행하곤 한다."

목적격 관계사 'which'는 ('that'이나 'zero 관계사'도 마찬가지관계절 내부로 돌아갈 '흔적 자리'가 있어야 하는데 대부정사인 'to'를 쓰게 되면 이하 반복되는 부분은 다 생략되었다는 뜻이 되므로 흔적 자리가 없어서 곤란하다그에 비해서 'to do'를 쓰게 되면 'do'의 목적어 자리가 'which'의 흔적 자리여서 문법적으로 맞는 표현이 된다.

 

[PT72-1]3146. [동아대학교 2004-2]

Seismographs are used to locate oil, to determine ocean depth, and _________ and measure earthquakes.

(A) detect         (B) to detect        (C) detecting        (D) be detecting      (E) are detecting

[PT72-1]3146. [부정사의 병치]

정답 - B : {to locate ~}, {to determine ~}, and {to [detect] and [measure] earthquakes}로 병치되어야 한다.

[해석지진계는 석유의 위치를 파악하고 바다의 깊이를 결정하고 지진을 탐지해서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PT72-2]3147. ⋆⋆ [한양대학교 2011]

밑줄 친 부분이 어법에 맞게 수정된 것을 고르시오.

Today the primary role of advertising may be to appeal and persuade rather than what it once did, educating and informing.

(A) what it once was, to educate and inform

(B) what it once did, to educate and inform

(C) educating and informing, what it once was

(D) education and information, what it once did

[PT72-2]3147. [보어 관계사 부정사의 병치]

정답 - A : what it(= the primary role of advertising) once was = the thing which it once was

여기서 'which'는 보어 관계 사이다. 간단하게는 '과거 한때의 광고의 주요 역할'로 해석된다.

B : '광고의 주된 역할이 했던 것(뜻이 통하지 않음) = 가르치고 알려주는 것'의 관계가 아니고 '과거의 광고의 역할 가르치고 알려주는 것'의 관계여야 한다.

C, D : 앞에 부정사가 나와 있으므로 동격부도 부정사로 써야 한다.

[해석] 오늘날 광고의 주된 역할은 과거 한때의 역할이었던 가르치고 알려주는 것이라기보다는 호소하고 설득하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Posted by 연우리
편입 문법 3000 Plus2021. 1. 22. 07:04
728x90

​[동영상 강의 유튜브 연우리 영어]  https://youtu.be/Nhj-qxd0Yog

[PT26-5]0906.  [상명대학교 2012]

I'm not sure why (A)[it was necessary] to evacuate (B)[the whole airport], but (C)[there was discovered a knife] in someone's bag (D)[after they had gone through] an electronic security check (E)[without being stopped].

[PT26-5]0906. [선택적 존재문]

정답 - C : [there was discovered a knife]  [there was a knife discovered] : 'a knife was discovered'로 써도 문제가 없을 것 같지만 신정보(a knife)가 갑자기 나오는 것을 피해서 이를 유도하기 위해 'there'를 먼저 쓰고 수동태의 'was'를 앞으로 보내 선택적 존재문의 기본 구조인 'there was'를 완성한 후에 주어를(a knife) 쓰고 그 뒤에 수동태의 과거 분사(discovered)를 사용한다.

[해석] 공항 전체에서 사람들을 소개하는 것이 필요한 이유를 나는 확신하지는 못하지만 그들이 제지당하지 않고 전자 보안 검사대를 통과한 후에 누군가의 가방에서 나이프가 발견되었다.

 

[PT26-6]0907.  [홍익대학교 2004-1]

__________ in history when remarkable progress was made within a relatively short span of time.

(A) Periods                                (B) Periods have been

(C) Throughout periods                (D) There have been periods

[PT26-6]0907. [선택적 존재문]

정답 - D : 원래는 'Periods have been in history'가 원래 순서이지만 신정보(처음 나오는 대상)이 문두에 나오는 것을 피하여 존재문의 형식으로 만들어 써야 한다. 먼저 'There'를 쓰고 'be 동사'가 있는 부분까지 'have been'을 쓰고 나머지 부분을 뒤에 따르게 한다. 그러면 ‘There have been periods in history ~'의 어순이 된다.

[해석] 역사에는 놀랄만한 발전이 비교적 짧은 기간에 이뤄지는 시기들이 있어왔다.

 

[PT26-7]0908. [고려대학교 2001-1]

(A)[There were] (B)[lots of] young (C)[boys and girls] (D)[dancing pop music].

[PT26-7]0908. [전치사 누락형과 선택적 존재문]

정답 - D : [dancing pop music]  [dancing to pop music] : '팝뮤직에 맞춰'의 뜻이므로 '전치사 to' 필요하다.

[해석] 많은 젊은 소년 소녀들이 팝뮤직에 맞춰 춤을 추고 있었다.

 

[PT26-8]0909. ⋆⋆ [총신대학교 2003-1]

There are not __________ people who don't like sweet candies.

(A) a few            (B) a lot          (C) many            (D) much

[PT26-8]0909. [존재문과 양쪽 부정]

정답 - C : A도 절대적으로 안 되는 것은 아니지만 의미상 C가 적합하다.

Many people like sweet candies.  존재문화  There are many people who like sweet candies.  양쪽 부정  There are not many people who don't like sweet candies.

A : 'a few people'은 존재문으로 바꾼 후 양쪽을 부정하면 같은 뜻이 되지 못한다.

A few people like sweet candies. “몇 사람은 달콤한 캔디를 좋아한다.”  존재문화  There are a few people who like sweet candies.  There are not a few(= many) people who don't like sweet candies. “달콤한 사탕을 싫어하는 사람은 많다.” : 문장의 부정이 되지 못하고 지역 부정(Local Negation)이 된다.

[해석] 달콤한 사탕을 싫어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 달콤한 사탕을 좋아하는 사람은 많다.

 

[PT26-9]0910. [계명대학교 2004-1]

(A)[There is] several people in the (B)[meeting room] (C)[waiting for] the meeting (D)[to begin].

[PT26-9]0910. [존재문의 주어와 동사의 일치]

정답 - A : [There is]  [There are] : 진짜 주어는 'several people'로 복수형이므로 복수 일치를 시켜야 한다.

B : the meeting room = the room for meeting

[해석] 회의실에는 몇 사람이 회의가 시작되기를 기다리고 있다.

 

[PT26-10]0911.  [성균관대학교 2011]

The lowest stockpiles in (A)[decades] mean there (B)[are] less grain to buffer the impact of drought, (C)[floods], and crop failures, (D)[making] prices (E)[more] volatile.

[PT26-10]0911. [존재문의 주어와 동사의 일치]

정답 - B : 존재문의 진짜 주어인 'grain이 불가산 명사이고 'less'를 썼으므로 단수 취급해서 'is'를 써야 한다.

D : 분사 구문의 계속적 용법이다.

[해석] 수십 년 내로 비축량이 가정 적다는 것은 가뭄과 홍수와 흉작의 충격을 완충시킬 곡물이 적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는 물가를 더 불안정하게 만든다.

 

[PT26-11]0912. [세종대학교 2009]

One of Franklin's good ideas was to set up a club where people could share their books. Anyone ______________ could stop in and read the books.

(A) who wanted                  (B) who wanted us

(C) who wanted to              (D) who wanted for

[PT26-11]0912. [대부정사]

정답 - C : 'who wanted to'에서 'to'는 대부정사로 'share their books'를 받는다. 앞 문장이 없다면 무조건 'stop in and read the books'를 받을 것이다. 하지만 'club'이므로 모든 사람이기보다는 참여하는 모든 사람들로 보는 것이 좋을듯하다.

[해석] 프랭클린의 좋은 구상들 중의 하나는 사람들이 책들을 공유할 수 있는 클럽을 만들자는 것이었다. 책들을 공유하기 원하는 사람은 누구나 들러서 그 책들을 읽을 수 있다는 것이었다.

[참고] Benjamin Franklin once worked as a printer. From his work, he realized how difficult it was to make books. However, he really enjoyed reading and wanted to get as many books as he could. Franklin came up with a good idea - to set up a club where people could share their books. At last, fifty members joined the club in 1732.

The club members were allowed to take the books home with them. This club, called Franklin's Club, is said to be America's first circulating library.

 

[PT26-12]0913. ⋆⋆ [동국대학교 2003-1]

"Bobby, can you type my paper?"

"I don't have time ________ right now."

(A) to do             (B) to           (C) to doing          (D) having reviewed

[PT26-12]0913. [기능사 + 대부정사]

정답 - B : '대부정사 to'는 일종의 기능사로 다음에 반복되는 'type your paper'가 생략됨을 표시하고 있다. 선행사는 'time'으로 원래 관계 부사 절이므로 다른 명사의 흔적 자리는 불필요하다.

I think it(입문서) might be able to answer some of your questions as I don't have time to right now.

A : 'to 부정사'의 'to'는 일종의 기능사여서 그 뒤에는 대조동사 'do'는 사용 불가능하다. 따라서 여기서 'to do'는 'do'가 대동사인데 목적어가 없어서 곤란하다.

[해석] “Bobby 내 과제물 좀 타이핑해줄래?”   “지금 당장은 할 시간이 없어.”

 

Posted by 연우리
편입 문법 3000 Plus2021. 1. 22. 07:01
728x90

[동영상 강의 유튜브 연우리 영어]  https://youtu.be/kIYlZu_OC2M

[ET26-2-2]0897. [울산대학교 2008-1]

You (A)[don't] (B)[have to] answer the question (C)[if] you don't (D)[want].

[ET26-2-2]0897. [대부정사]

정답 - D : [want]  [want to] : 격식체에서는 '대부정사 to'를 쓰는 것이 원칙이다.

[해석] 원치 않으면 질문에 대답할 필요는 없다.

 

[핵심 문법] 대부정사

대부정사의 영어 명칭은 '?pro-infinitive'(소위 'little pro')일까요? 사실 거의 사용되지 않는 명칭입니다. 'PRO-Infinitive construction'에서(소위 'big Pro') 'PRO-Infinitive'란 용어가 사용되기는 하지만 이는 우리가 말하는 대부정사와는 무관합니다.

I persudaded John [PRO] to read Al Gore's latest book.

여기서 'John'은 두 가지 기능을 합니다. 하나는 'to 부정사'의 '의미상의 주어(semantic subject)'이고 또 하나는 본동사인 'persuaded'의 '통사론적(구문론적)(syntactic) 목적어(obejct)'입니다. 지배와 결속 이론(Government and Binding Theory)에서 한 구성소는 한 개만의 통사론적 역할만을(one syntactic role) 하기 때문에 'PRO'라는 부정사의 주어 기능(syntactic role)을 하는 단위를 도입해서 설명하고 이를 'PRO-Infinitive'라고 하는 것이고 우리가 말하는 대부정사와는 무관합니다.

1) 기능사(어)(operator)의 종류

'운용소'라고 불리는 'operator'는 다른 문법 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이고 여기서는 그냥 쉽게 '기능을 하는 것'의 뜻으로 이해하면 됩니다. 보통 기능사는 'NICE' 기능(Negation, Inversion, Code, and Emphasis)을 한다고 합니다. 여기서는 우리가 지금 배우는 대부정사와 관련해서 간단하게만 다루기로 합니다.

① 첫 조동사

I can do it. (서법 조동사 (Modal Auxiliary))

He has gone. ('has'는 완료 조동사이면서 첫 조동사, 'gone'는 본동사)

He was kissing Rachel then. ('was'는 진행 조동사이면서 첫 조동사, 'kissing'은 본동사)

The window was broken. ('was'는 수동 조동사이면서 첫 조동사, 'broken'은 본동사)

② the 3 D's (do, does, did)

문장에 조동사가 하나도 없을 때 'do, does, did'가 조동사의 역할을 대신하게 되는 데 이를 '대조동사'라고 하는데 역시 기능사에 해당된다.

He loves her.

본동사인 'loves'밖에 없는 문장이다. 조동사가 하나도 없어서 문장을 부정하지(Negation) 못한다. '대조동사'를 사용해야 하는데 'loves'가 3인칭 단수형이어서 대조동사도 'does'를 사용한다.

He does love her. "그녈 사랑하는 거 맞다니까." (Emphasis)

대조동사인 'does'도 조동사이므로 뒤에는 원형인 'love'가 따르게 된다.

He does not love her.

기능사 다음에 'not'을 위치시키면 문장을 부정하게 된다. (Negation)

I do love you. "사랑한다니까." "사랑하는 거 맞다니까." (Emphasis)

I do not love you.

기능사 다음에 'not'을 위치시키면 문장을 부정하게 된다. (Negation)

Tom kissed Rachel yesterday. (본동사만(kissed) 존재)

Tom did not kiss Rachel yesterday.

조동사가 없는데 'kissed'가 과거형이므로 대조동사도 'did'를 사용하고 'not' 붙이고 원형 'kiss'를 사용하고 있다.

Tom has the book.

Tom does not have the book.

③ 본동사인 'be 동사 (am, is, are, was, were)

He is rich.

He is not rich.

다른 조동사가 없을 때 본동사인 'is'는 기능사이고 뒤에 'not'을 붙이면 문장을 부정하게 된다.

④ 부정사의 'to'

A : Can you kiss Rachel?

B : Yes, I can [kiss her].

기능사 'can'을 사용하면 원형 이하 반복되는 것을 표시하는(약속하는(Code)) 기능을 한다.

A : Did you kiss Rachel?

B : No, I didn't. But tomorrow I'm going to [kiss her].

우리가 흔히 말하는 대부정사인데 대부정사의 'to'도 기능사로서 원형 이하 반복되는 것을 표시하는(Code) 역할을 한다. '*to can'을 사용하지 못하는 것도 기능사가 중첩되기 때문이다.

⑤ 드물게 두 번째 조동사

A : Did the Sullivans return from their vacation?

B : They might have [returned from it]. I think I saw a light on in their house.

두 번째 조동사인 'have'(완료 조동사)가 기능사로서 뒤에 과거 분사 이하가 반복되는 것을 표시하고(Code) 있다.

2) 대부정사

You can borrow my pen, if you want to [borrow it]. “원하시면 제 펜을 빌려 쓰세요.”

기능사 'to' 다음에 반복되는 원형 이하를 'code'로 표시할 때 이 'to'를 쓸 때 이를 흔히 '대부정사'라 칭한다.

A : Would you like to join us for lunch?

B : Yes, I'd love to [join you].

A : Can I go home now?

B : Sure. You may leave, if you want to [leave].

Jane got the job, although she didn't expect to [get it].

A : Why did you hit your brother, Jenny? "제니, 너 왜 네 동생 때렸냐?"

B : I'm sorry, but I didn't mean to [hit him]. "죄송해요. 하지만 그럴 생각은 아니었어요."

I haven't washed up yet, but I'm going to [wash up]  "아직 설거지 안 했지만 하려고 해요."

You've switched the machine off. I told you not to, didn't I?

She borrowed my pen, although I told her not to. (not to = not to borrow it)

A : Have you bought your textbooks yet?

B : I tried to [buy them], but they were all sold out.

I don't dance much now, but I used to [dance] a lot. "지금은 춤 많이 안 추지만 전에는 많이 췄어."

People don't keep Christmas traditions the way they used to [keep them].

A : Do you go to the movies very often?

B : Not these days, but I used to [go to them very often].

A : I thought Charlie and Ann were good friends.

B : Well, they used to be [good friends].

​'be 동사'인 경우는 'used to'와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 'used to be'까지 사용한다.

A : Things don't work out the way I want them to [work out]? "일이 내가 원하는 대로 풀리지가 않아."

B : That's life, you know. "사는 게 그렇지, 알잖아."

A : Will you go to Jane's wedding this weekend?

B : Yes, I am planning to [go to it this weekend]. "응, 가려고 계획하고 있어."

According to Kelly, the true goal of training should be to get animals to do something because they want and choose to [do something], not because we force them to [do something].

"켈리에 따르면 트레이닝의 진정한 목적은 우리가 동물에게 하도록 강요해서가 아니라 동물들이 하길 원하고 선택하는 이유 때문에 뭔가를 하게 유도하는 것이어야 한다."

A : I don't think I can help you with that project.

B : Don't you worry. I am not asking you to [to help me with it].

Jane was chosen for the job although she didn't expect to be / *to  [chosen for it].

대부정사를 사용할 수 없다. 'to'만으로는 '과거 분사' 이하가 생략되었음을 표시할 수 없다. 수동 조동사인 'be'까지 사용해야 과거 분사 이하가 생략되고 있음을 표시할 수 있다.

She hasn't been promoted yet, but she ought  to be / *to  [promoted].

대부정사를 사용할 수 없다. 역시 수동 조동사 'be'까지 사용해야 한다.

They shouted to him to jump the ditch, but he was afraid to [jump it].

"그들은 그에게 도랑을 건너뛰라고 소리쳤지만 그는 그렇게 하기가 두려웠다."

형용사 뒤에도 대부정사가 사용될 수 있다.

I'd like to come, but I don't have time to [come].

명사 뒤에도 대부정사가 사용될 수 있다.

Deputy Scott Eccles is in trouble because he allegedly exposed himself at a woman's birthday party, after someone dared him to / *dared him to do / dared him to do so. "스콧 애클스 부관은 어려움에 처해 있다. 누군가가 그래 보라고 부추긴 후에 한 여자의 생일 파티에서 몸을 노출시켰기 때문이었다고 한다."

'*dared him to do'는 쓸 수 없다. 기능사인 'to'만 사용하면 되는데 'do'도 기능사로서 원형 이하가 반복되는 것을 표시하면 기능사가 충돌되어서 곤란하다. 'dared him to do so'에서는 'to'는 기능사가 아니고 'do'는 대조동사가 아니고 '대동사'로 'expose'를 받고 목적어 이하 나머지 부분은 'so'로 받은 복합 대형태이기 때문이다.

She sometimes does things (which) you wouldn't expect her to do / *to.

그녀는 종종 당신이 예기치 못한 것들을 행하곤 한다.”

목적격 관계사 'which' ('that'이나 'zero 관계사'도 마찬가지) 관계절 내부로 돌아갈 흔적 자리가 있어야 하는데 '대부정사인 to'를 쓰게 되면 '이하 반복되는 부분은 다 생략되었다'라는 뜻이 되므로 흔적 자리가 없어서 곤란하다. 그에 비해서 'to do'를 쓰게 되면 'do'의 목적어 자리가 'which'의 흔적 자리여서 문법적으로 맞는 표현이 된다. (cf. Trace theory)

You may stay here as long as you like. “원하시는 만큼 여기 머물러도 좋습니다.”

비교가 개입된 경우에는 대부정사를 사용하지 않는다. 보통은 접속사로 쓰이지만 'as long as'는 여기서는 동등 비교에서 나온 것이다. 뒤의 'as 이하'는 앞의 'as long'하고만 관련해서 연결된다. 'x' 만큼의 기간과 'y'만큼의 기간을 연결한 것뿐이다.

There are more flowers than there used to be. "전보다 꽃이 많다."

'x many flowers'와 'y more flowers'의 비교이다. 비교에서 의해서 'x many flowers'는 'than'으로 바뀐 후에 그대로 'used to be'는 남는다. 원래 존재문이므로 'be'는 있어야 한다.

I haven't done as much work today as I'd like to have. [done today]

"난 오늘 하길 원했었던 (그러나 못한) 만큼의 일을 하지 못했다."

'y much work'와 'x much work'의 비교이다. 'I like'은 자신의 원하는 것을 일반적으로 기술하는 것으로 부정사와 동명사를 다 사용할 수 있다. 반면에 'I would like to'는 지금이나 가까운 미래에 하고 싶은 소망을 겸손하게 말하는 표현이다. 식당에서 주문할 경우라면 'I'd like ~'을 사용한다. 본문에서는 'I'd like to have PP'는 '과거의 실현되지 못한 소망'을 나타내는 표현이다.

'I haven't done y much work today'와 'I'd like to have done x much work'을 비교로 연결한 것이다.

'y much work'는 'as much work'로 바뀌고 'x'는 자기 절의 앞으로 가서 'as'로 비교 종속절 접속사로 사용되고 'much work'는 필히 탈락된다. 'have'는 남겨두어야 '과거 분사 이후'가 생략됨을 표시할 수 있다.

3) 대 원형 부정사 

I wanted to borrow Tim's cassettes, but he wouldn't let me (  ) [borrow them].

'let 목적어 원형(bare) 부정사'에서 원형 부정사가(  ) 남아도 뒤에 반복되는 동사 원형 이하가 생략됨을 표시한다.

We can go somewhere else if you'd rather (   ) [go there].

'would rather' 뒤에는 원형이 오므로 그대로 안 쓰면 된다.

  

[ET26-2-3]0898.  [성균관대학교 2004]

But workers (A)[accepted] into the program would (B)[be allowed] to immediately, (C)[with] an employer's sponsorship, (D)[to begin] applying for a green card, which (E)[allows] permanent U.S. residency.

[ET26-2-3]0898. [분리 부정사]

정답 - D : [to begin]  [begin] : 분리 부정사가 쓰인 경우로 'immediately' 앞에 'to'가 있으므로 뒤에 다시 'to'를 쓰지 않아야 한다.

[해석] 하지만 이 프로그램에 받아들여진 노동자들은 고용주의 후원으로 미국 영주권을 허용하는 그린카드의 신청을 즉각적으로 시작하는 것이 허용될 것이다.

 

[핵심 문법] 분리 부정사

She has tried consciously to stop worrying about her career.

그녀는 자기 경력에 대해 그만 걱정하려고 의식적으로 애썼다.”

여기서 'consciously'는 'tried'를 수식하고 있다.

She has tried to stop consciously worrying about her career.

여기서 'consciously'는 'stop'을 꾸밀 수도 있고 'worrying'을 꾸밀 수도 있어 의미상의 혼동이 야기될 수 있다.

She has tried to consciously stop worrying about her career.

여기서 'consciously'를 확실하게 혼동 없이 'stop'을 꾸미도록 하기 위하여 어쩔 수 없이 'to'와 원형 사이에 놓았는데 이처럼 'to'와 원형 사이에 부사 어구가 낄 때 이를 분리 부정사라 칭한다. 다만 분리 부정사는 피할 수 있으면 쓰지 않아야 한다.

She has tried *to consciously make little of him.

She has tried to make little of him consciously. “그녀는 의식적으로 그를 깔보려고 애썼다.”

'to 부정사' 뒤에 다른 비정형 동사(준동사)가 오지 않을 때는 혼동의 여지가 없으므로 원칙적으로는 분리 부정사를 쓰면 안 된다.

His hardest decision was to not allow the children to go to summer camp.

그의 가장 힘든 결정은 아이들이 하기 캠프에 가는 것을 허락하지 않은 것이다.”

여기서 'not'을 'to' 앞에 놓으면 허락한 것은 아니다라는 뜻이 되므로 허락하지 않은 것의 뜻이 되도록 하기 위하여 'to' 다음에 'not'을 쓴 경우이다.

A : Did you ever visit her after she had retired? “그녀가 은퇴한 후 방문한 적이 있습니까?”

B : I intended to often enough, but seldom managed to.

충분히 자주 그러고 싶었지만 거의 그럴 수가 없었습니다.”

대부정사가 쓰일 때는 중간 부분이(visit her) 생략된 것이므로 분리 부정사는 아니다.

She would be the last person to even think of plagiarizing. 그녀는 표절은 생각조차도 못할 사람이다.”

No one invited me to so much as have a glass of water. 어느 누구도 물 한 잔조차도 권하지 않았다.”

He is now reluctant to so much as speak to her. “그는 이제 그녀에게는 말하기조차 꺼려 한다.”

'even' 또는 'so much as'가 초점사로 ‘~조차도의 뜻으로 구어체에서는 흔히 분리 부정사가 허용된다.

It had taken them a day to completely consume that filmmaker.

"그 영화 제작자를 완전히 사로잡는 데 그들은 하루가 걸렸다."

구어체에서 'completely'가 분리 부정사에 쓰인 경우이다.

 

[ET26-3-1]0899.  [숭실대학교 2003-1]

By 2007, American universities are projected to enroll 6.9 million men __________ 9.2 million women.

(A) compared with           (B) by comparing           (C) comparing to            (D) by contrast

[ET26-3-1]0899. [후치 수식의 능동과 수동]

정답 - A : 6.9 million men (which are) compared with 9.2 million women

D : in contrast to somebody ; by contrast with something

In contrast to his predecessor, Bush has little appetite for foreign travel.

"그의 전임자들과는 대조적으로 부시는 해외여행을 할 마음이 거의 없었다."

By contrast with history, evolution is an unconscious process. "역사와 대조적으로 진화는 무의식적인 과정이다."

[해석] 2007년에 미국의 대학들은 9 20만 명의 여학생과 비교되는 6 90만 명의 남학생을 등록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compared with / to
1) If you say, for example, that one thing is large or small compared with another or compared to another, you mean that it is larger or smaller than the other thing. (분사 구문)

The room was light and lofty compared with our Tudor ones.

"그 방은 튜더 시대의 방들과 비교했을 때 밝고 높았다."

Columbia was a young city compared to venerable Charleston.

"콜롬비아는 유서 깊은 찰스턴과 비교했을 때 어린 도시였다."

Compared with my child, yours seems a veritable angel. "내 아이와 비교하면 네 아이는 진짜 천사다."

Profits were good compared with last year. "수익은 작년과 비교하면 좋았다."

Compared to some of the things she's said, this was polite.

"그녀가 말한 것들 일부와 비교하면 이건 정중한 것이었어."

2) You talk about one situation or thing compared with another or compared to another when contrasting the two situations or things. (후치 수식)

Relative humidity is the amount of water vapor the air contains at a certain temperature compared with the amount it could hold at that temperature. "상대 습도란 일정 온도에서 공기가 함유할 수 있는 양과 비교했을 때의 그 온도에서의 공기가 함유하고 있는 물의 양을 말한다."

Women are smoking two extra cigarettes a week, compared with four years ago.

"여성들은 담배를 두 개를 더 피우고 있는데 이는 4 년 전과 비교된 것이다."

In 1800 Ireland's population was nine million, compared to Britain's 16 million.

"1800 년 아일랜드의 인구는 9백만이었는데 이는 영국의 천 6백만 명과 비교된다."

The Ohio branch produced 2,000 units per month, compared with a national average of 2,400 units per month.

"오하이오 지사는 월간 2,000 개를 생산하는데 이는 전국적으로 월평균  2,400 개와 비교된다."

as compared with / to

Our company has many advantages as compared with that of early men.

"우리 회사는 초창기 사람들의 회사와 비교하는 바 많은 장점들이 있다."

25% of school-age children smoke, as compared to 21% of adults.

"학령 아이들의 25%가 흡연하는데 이는 성인들의 21%와 비교된다."

Posted by 연우리